건성 피부는 피부 자체에서 피지가 적게 생성돼 다른 영양물질과 함께 보습 장벽을 잘 만들지 못한다. 그래서 질감도 버석버석하고 거칠며, 쉽게 따가움이나 가려움을 느끼고 붉어진다. 세안 후 아무것도 안 바르면 하얗게 각질층이 일어나기도 한다. 수분을 직접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분막을 만들어 피부의 수분이 계속 증발하는 걸 막는 게 중요. 동∙식물성 오일은 피부에 유익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등 지질도 함유한 경우가 많다.
오일 베이스 클렌저는 메이크업을 잘 녹일 뿐 아니라 물로 씻어낸 후에도 어느 정도 오일 성분이 남아 피부에 일차 보습을 해준다. 클렌징 오일, 클렌징 밤, 오일 투 폼 등이 있는데 오일 투 폼은 폼 클렌저 성분도 상당량 들어 오일이나 밤보다 산뜻하니 심하지 않은 건성 피부에 적합하다. 매우 건조한 피부는 클렌징 오일을 쓴 후 폼 클렌저로 이차 세안을 할 필요가 없다. 특히 비누 같은 알칼리성 클렌저, 알코올을 다량 함유한 젤 클렌저(수분 베이스), 강력한 각질제거제를 피해야 한다.
CLEANSER 「 오일인데 오일만은 아닌 제품들 출시 러시
」 제품이 함유한 오일의 성질에 따라 보습력과 질감 등이 달라진다. 호호바 오일처럼 가벼운 것, 아보카도 오일처럼 묵직한 것, 시어버터나 코코넛 오일처럼 상온에서 고체인 것이 있는데 고체에 가까운 무거운 오일일수록 두꺼운 막을 만들어 매우 건조하고 찬바람에 예민해지는 피부에 적합하다. 한편 유화 기술의 발달로 질감은 오일인데 토너처럼 시원하기도 하고 끈적이지 않는 제품들이 많이 출시됐다. 유상과 수상이 절묘한 비율로 섞여 있거나, 오일 또는 수분을 캡슐화했거나, 두 가지가 토출되며 섞이거나, 층으로 분리돼 있어 흔들면 섞이는 방식 등이다. 이런 제품들은 답답하지 않으면서도 보습력이 좋고 건성 피부를 즉각적으로 매끈해지고 빛이 나게 해준다.
BALM & STICK 스킨케어는 토너부터 크림, 오일까지 유분이 적은 것부터 많은 것까지 차례로 바르는 게 정석이지만 피부가 많이 건조한 사람이거나 가벼운 오일 제품은 세안 후 바로 바르고 그 위에 크림을 도톰하게 발라도 좋다. U존은건성 피부라도 티존은 모공이 크고 블랙헤드, 여드름이 가끔 생긴다면 T존엔 오일을 바르지 않는다.
FOR FACE LIPS & EYES 특히 보디 오일은 샤워 후 물기가 있을 때 바로 발라서 수분을 가두는 게 키 포인트. 향이 있는 오일은 민감성 피부엔 자극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피부에는 보디 미스트보다 오래도록 은은하게 향을 뿜어내는 향기 제품이기도 하다. 샤워 오일은 유분을 다량 함유해 보습력 있는 보디클렌저다.
FOR BODY *지금 반드시 알아야 하는 뷰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그리고 생활의 지혜까지, '선배' s 어드바이스'는 매주 월요일 업데이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