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ETY
치킨 전쟁이 매우 뜨겁다_돈쓸신잡 #60
논쟁의 주인공은 5000원짜리 치킨이었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unsplash
기존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는 똘똘 뭉쳐 통큰치킨을 공격했다. 골목 상권을 해치는 대기업의 횡포라며 여론전을 펼쳤다. 정치권까지 가세해 통큰치킨을 판매하는 대형마트를 저격했다. 통큰치킨에 환호하던 국민 여론 역시 조금씩 변화했다. 아무리 치킨을 저렴하게 판다고 하더라도 골목 상권까지 해치는 건 대기업이 할 일이 아니라며 비판하는 사람이 늘었다. 결국 통큰치킨은 일주일 만에 판매가 중단됐다.
「
그로부터 12년이 지난 현재. '제2의 통큰치킨' 대란이 펼쳐졌다. 최근 한 대형마트에서 6990원짜리 '당당치킨'을 출시했고, 곧바로 돌풍을 일으켰다. 출시 한 달이 조금 넘은 시점 누적 판매량은 30만 마리를 돌파했다. 통큰치킨 때처럼 마트에는 당당치킨을 사려는 사람들이 '치킨런'을 펼칠 정도다. 이를 지켜본 다른 대형마트 역시 제각각 가성비 치킨을 공격적으로 출시했다. 당연히 기존 치킨 프랜차이즈 입장에선 이 상황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 12년 전만 해도 어느 정도는 여론 환경이 우호적이었지만, 이번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그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다?
」이젠 기존 치킨 업계를 옹호하는 목소리는 매우 미약하다. 반대로 당당치킨을 응원하는 목소리는 심상치 않을 정도로 크다. 국민 여론을 감안하면 대형마트 치킨은 단순히 '가성비 상품'을 넘어서 일종의 정의에 가깝다. 심지어 기존의 치킨을 불매하자는 'NO 치킨' 짤방까지 돌아다닐 정도다.
「
문제는 인플레이션
」
unsplash
소비자에겐 이런 의문이 든다. "대형마트에선 6990원에 파는 치킨을 도대체 왜 2만 원 넘는 가격에 파는 것인가?" 물론 프랜차이즈 업계 역시 할 말은 많을 것이다. 대형마트 치킨과 비교하면 튀김옷에 들어가는 재료도 다양하고, 인건비나 재료값이 올라서 가맹점을 운영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 역시 급등했기 때문에 치킨값이 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고객에게 그런 상황을 일일이 다 헤아려달라고 설득하기엔 역부족한 상황이다.
「
앞으로 이런 가격 전쟁은 치킨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도 계속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인플레이션이 초래하는 부작용은 양극화다. 자산이 많거나 물가 상승에도 끄떡없을 만큼의 돈을 버는 고소득자는 인플레이션이 오더라도 큰 타격을 받지 않는다. 오히려 자산이 증가한다. 하지만 중산층 이하의 사람들에게 인플레이션은 일종의 형벌이다. 물가가 오르는 속도만큼 본인의 소득이 늘어나지 않는다면 실질적으로 소득은 감소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양극화가 심해지면 소비 시장 역시 중간이 사라지고 초고가 혹은 초저가 시장이 기형적으로 성장한다. 아예 비싸거나 아예 저렴해야 선택받는다. 비싸거나, 싸거나
」현재, 전쟁처럼 보이는 치킨 대란 역시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이중 시장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2~3만 원을 지불하고 치킨을 먹을 사람을 계속 먹을 테고, 이 가격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사람들을 위한 시장 역시 계속 성장할 것이다.
당당치킨에게 위기의식을 느낀 치킨 프랜차이즈들이 과연 소비자 눈치를 보며 가격을 내릴까? 아니다. 오히려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인플레이션의 힘은 막강하다. 통큰치킨의 가격은 5000원이었다. 12년 만에 다시 등장한 가성비 치킨의 가격은 6990원이다. 반값 치킨의 가격마저 그사이에 50% 올랐다.

.
Credit
- 글 조성준
- 에디터 김초혜
엘르 비디오
엘르와 만난 스타들의 더 많은 이야기.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