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가능해? 송강호·박찬욱 칸 영화제 수상으로 바뀌어 버린 한국 영화사 목록.list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TAR

이게 가능해? 송강호·박찬욱 칸 영화제 수상으로 바뀌어 버린 한국 영화사 목록.list

주모~~~~~!

라효진 BY 라효진 2022.05.30
올해로 75주년을 맞은 칸 국제영화제에 유독 많은 한국인들이 모였죠. 경쟁 부문에만 〈헤어질 결심〉과 〈브로커〉가 진출해 수상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는데요. 28일(현지시각) 폐막식이 열리기 직전 두 영화의 감독과 출연진 모두 참석을 요청받으며 수상은 거의 기정사실화됐습니다. 지금까지 칸에서 폐막식에 와 달라는 이야기를 들은 영화와 배우들은 대부분 상을 받았거든요.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송강호와 박찬욱 감독이 각각 남우주연상과 감독상을 가져갔는데요. 올해 한정으로 주어지는 75주년 기념상을 빼고 일곱 개의 주요 부문에서 한국인이 두 개의 트로피를 탄 거예요. 얼어 붙었던 극장가가 겨우 팬데믹 이전의 온기를 찾아가고 있는 이 시점에 몹시 반가운 소식이었습니다. 한국 영화사에 두 사람의 수상이 남긴 기록적 사건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송강호, 한국 배우 최초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각기 다른 영화 혹은 심사위원 자격으로 칸 레드카펫을 벌써 일곱 번째 밟은 송강호는 이번에 드디어 남우주연상을 손에 넣었습니다. 지금까지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연기상을 탄 한국 여성 배우들은 있었지만 남자 배우는 처음입니다. 사실 송강호는 〈기생충〉 당시에도 남우주연상의 주인공으로 거론됐지만, 영화가 황금종려상을 받으며 그의 수상은 어려웠어요.
 
수상자로 무대 위에 선 송강호는 프랑스어로 감사하다는 짧은 인사를 건넨 후 〈브로커〉의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강동원-이지은(아이유)-이주영-배두나 등 출연진에게 감사와 영광을 돌렸습니다. 그러면서 "같이 온 사랑하는 가족에게 큰 선물이 된 것 같다. 이 트로피의 영광을, 영원한 사랑을 바친다"라고 감격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2. 벌써 세 번째, 칸 영화제 트로피 수집 중인 박찬욱

 
박찬욱 감독에게 '깐느박'이란 별명이 괜히 붙은 게 아닙니다. 그가 처음 칸 영화제와 인연을 맺은 건 2004년인데요. 심사위원대상을 받은 〈올드보이〉는 임권택과 이창동 이후 또 한 번 한국 감독이 세계 무대에서 조명을 받는 계기가 됐죠. 5년 후엔 〈박쥐〉가 심사위원상을 탔습니다. 2017년에는 경쟁 부문 심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고요.
 
 
올해 〈헤어질 결심〉은 영화제 초반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최소 하나의 상은 가져갈 것이라는 예측이 중론을 이뤘죠. 역시나 감독상을 품에 안은 박찬욱 감독. 이로써 박찬욱 감독의 진열장엔 세 번째 칸 영화제 트로피가 놓이게 됐어요. 그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온 인류가 국경을 높이 올릴 때도 있었지만, 단일한 공포와 근심을 공유할 수 있었다"라며 "우리가 이 역병을 이겨낼 희망과 힘을 가진 것처럼 우리 영화도, 우리 영화인들도 영화관을 지키면서 영화를 영원히 지켜 내리라고 믿는다"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3.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서 한국 영화 2편이 동시에 수상

 
 
송강호의 남우주연상과 박찬욱 감독의 감독상은 각각의 의미도 깊지만, 이 상들이 같은 회차에 두 한국 영화에게 주어졌다는 점 역시 기록적입니다. 수많은 서구권 영화들 사이 아시아 영화는 대한민국의 〈헤어질 결심〉과 〈브로커〉, 이란의 〈레일라의 형제들〉 뿐이었습니다. 여기서 주요 부문 단 일곱 개의 상 중 한국 영화가 두 개를 탔다는 건 정말 놀라운 사건이네요.
 

#4. 칸 영화제 본상 섭렵한 한국 영화계

 
 
이제 한국은 칸 영화제 본상 일곱 개를 모두 받아 본 나라가 됐습니다. 2002년 임권택 감독이 〈취화선〉으로 감독상을 탔고, 2004년과 2009년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와 〈박쥐〉가 각각 심사위원대상과 심사위원상을 거머쥐었습니다. 2010년에는 이창동 감독이 〈시〉로 각본상을 탔고요. '칸의 여왕' 전도연은 〈밀양〉으로 여우주연상을, 송강호는 〈브로커〉로 남우주연상을 받았습니다. 〈기생충〉은 칸 영화제의 최고상 황금종려상의 영예를 누렸고요. 이처럼 국적 영화가 칸 영화제를 섭렵한 나라는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러시아, 그리고 한국 뿐입니다. 재미있는 건 송강호의 남우주연상 수상 덕에 〈밀양〉은 남녀 주인공과 감독이 모두 칸 영화제 본상 수상자인 작품이 됐다는 점이네요.
 
영화 〈밀양〉

영화 〈밀양〉

#제75회칸국제영화제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