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 프라이드! 2021년의 여성들 #한소희 #김소연 #김서형 #이하늬 #이영애 #전지현 #심은경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OCIETY

우먼 프라이드! 2021년의 여성들 #한소희 #김소연 #김서형 #이하늬 #이영애 #전지현 #심은경

'영 블러드' 한소희와 브라운관을 지배한 김소연, 김서형, 이하늬, 이영애, 전지현, 해외 시장을 개척한 심은경까지!

전혜진 BY 전혜진 2021.12.19
 

young Blood

지난해 〈부부의 세계〉로 혜성처럼 등장한 젊은 피. 그 존재감이 ‘반짝’ 이슈로 머물지 않고 올해까지 공고히 이어진 건 한소희의 온전한 힘이다. 웹툰 원작 드라마 〈알고 있지만〉으로 흔들리는 요즘 청춘의 민낯을, 넷플릭스 〈마이네임〉에서는 남성 중심이던 기존의 언더커버 장르를 고강도 액션으로 파워플하게 이끌었다. 흡연하고 타투를 몸에 새긴 과거의 사진을 편견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들에게 “그때의 나도, 지금의 나도 나다. 당시의 내 모습을 왜 부정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응수하고, 팬들과 주변을 향한 애정을 그림이나 글로 아낌없이 드러내는 모습은 더없이 솔직하고 사랑스럽다.  
 

The Great female Actors

드라마 속 우먼 파워가 어느 때보다 강력했던 한 해. 단지 여성의 비중이 커졌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 현상이 ‘트렌드’로 자리매김한 건 8할이 여성 배우들의 힘. 지난해의 기세를 모아 신들린 연기를 보여준 〈펜트하우스〉의 김소연, 여성의 새로운 욕망을 조명한 〈마인〉의 김서형. 코믹하게 악을 응징하는 여성 원 톱 히어로를 탄생시킨 〈원 더 우먼〉의 이하늬, 빌런도 여성이라는 신개념 장르를 이끈 〈구경이〉의 이영애, 여전한 존재감을 자랑하는 〈지리산〉의 전지현까지. 대중성과 작품성을 모두 잡은 이들은 여성 서사를 빛낼 뿐 아니라 장르적 재미까지 앞서 이끈다. 최근 일본을 무대로 자신만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 중인 〈군청 영역〉의 심은경도 물론이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