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ETY
[엘르 보이스] 요조숙녀 프로젝트
좋은 '여자' 말고 더 나은 내가 되기!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unsplash
「
어릴 땐 새해가 되자마자 ‘요조숙녀 프로젝트’라는 걸 시작했다. 프로젝트 항목은 다음과 같다. 욕하지 않기, 술 · 담배 끊기, 외모 가꾸기, 주변 사람에게 무작정 상냥해지기, 안 웃겨도 미소 짓기 등등의 지침을 세우고 위태롭게 지켜나가는 거였다. 나는 평소 성격이 드세거나 행동이 거칠다는 나무람을 자주 듣는다. ‘너는 너무’로 시작하는 부정 평가들이 내 안에 차곡차곡 쌓이다가 성인기를 기점으로 폭발에 이르렀다. 마침내 쐐기를 박은 건 시시한 남자친구 한 명이었다. “너는… 우리 엄마 아빠의 좋은 며느리가 될 수 없을 거 같아.” 내가 왜 그딴 게 돼야 하는가? 황당했지만 물음표 천국에 갇혀 화낼 타이밍을 놓쳤다. 헤어지고 난 후에도 그의 헛소리는 탁한 울림으로 남았다. 내가 여성스럽지 못해서 모욕을 들어야 한다면 그까짓 여성스러움을 쟁취하고 말겠다는 투지가 일었다. ‘쳇! 내가 여성스럽지 않다고? 그럼 세계 최고의 여자가 되어 보이겠어!’ 하는 로맨스 드라마 속 여주인공 같은 대사를 진심으로 뱉어보고 싶은 마음이랄까. 요조숙녀 프로젝트
」돌이켜보면 ‘요조숙녀’라는 말 자체가 어찌나 촌스러운지 모르겠다. 찾아보니 요조숙녀의 요조는 ‘그윽할 요’에 ‘정숙할 조’. 한 마디로 군자의 짝에 걸맞은 깊고 그윽한 심성을 가진 맑은 여성이라는 뜻이다. 나는 남자 집안에 잘 어울리는 사람이 되고자 안달복달했던 시절이 수치스럽다. 나고 자란 우리 집과도 원만한 합의를 보지 못했는데 도대체 어떤 헛꿈을 꾼 건지 모르겠다. 있다가도 없어지는 남자친구들 대신 항상 내 곁을 지켜주는 다른 숙녀(?)들에게 잘해야 한다는 후회가 따를 뿐이다. 매년 실패로 돌아간 ‘요조숙녀 프로젝트’는 결국 돈을 내서라도 인생에서 도려내고 싶은 흑역사로 남았다. 진짜 교훈은 헛발질에서 온다. 나는 요조숙녀 프로젝트로 인해 내가 거의 원시인이라는 걸 깨달았다. 절제란 묘한 것이다. 욕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고 있으면 재채기처럼 쌍욕이 나왔다. 숙녀에게 술과 담배가 웬 말이냐? 자문하다 보면 바로 그 행위만이 사는 이유처럼 느껴졌다. “코끼리를 절대로 떠올리지 말라”는 지시가 코끼리에 대한 맹목으로 이어지는 것과 비슷했다. 가끔 태초의 여자 웅녀가 떠오르기도 했다. 여자가 되기 위해 동굴에서 100일간 쑥과 마늘을 먹었다는 광기의 곰…. 까마득한 설화 속 행동이 어쩐지 나와 겹쳐 보였다.

©unsplash
나는 항상 궁금했다. 좋은 여자가 되기 위한 노력은 왜 나를 실패한 여자로 만드는 걸까? 여자로서 사랑받으려는 내 모습은 왜 이리 사랑스럽지 않을까? 시간이 흐른 지금은 어린 날에 던진 우매한 질문의 답을 알 것 같다. 온갖 무리수를 둬 애초에 좋은 여자, 사랑스러운 여자가 된들 수혜자는 내가 아니다. 누구의 무엇이 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존재감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니 ‘좋은 여자’라는 건 어쩌면 일종의 서비스명일지도 모르겠다. 나 아닌 모든 이가 나의 인내를 누리도록 세상에 내놓는 일이니 말이다. 나는 결국 무료 봉사에 흥미가 없기에 망한 셈이다.
그러나 최근의 내 다짐은 결국 요조숙녀 프로젝트와 닮아 있다. 천박한 말 좀 그만하기, 술 · 담배는 물론 배달 음식과 쇼핑과 SNS 끊기, 주변인에게 친절하기 등등. 그래도 예전처럼 숨 막히지 않는 이유는 목표가 변했기 때문이다. 좋은 여자 말고 더 나은 내가 되기. 그렇게 생각하니 매번 반복되는 실패도 온전해지는 과정의 일부 같다. 나는 여전히 누구네 엄마 아빠의 좋은 며느리는 못되지만, 대신 우리 엄마 아빠의 좋은 딸이 되고자 부지런히 정진한다. 이루지 못한 가정 대신 나만의 단칸방을 쓸고 닦으며 단란한 하루를 보낸다. 32세가 되도록 정숙하다는 얘긴 한 번도 듣지 못했지만 아무 이상 없다.

싫은 것들을 사랑하려고 글을 쓰는 1992년생. <젊은 ADHD의 슬픔>을 써 브런치북 대상을 수상했으며, 첫 소설 <언러키 스타트업>을 펴냈다.
Credit
- 에디터 이마루
- 글 정지음
- 아트 디자이너 김려은
- 디지털 디자이너 오주영
2025 가을 필수템 총정리
점점 짧아지는 가을, 아쉬움 없이 누리려면 체크하세요.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