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ETY
[엘르보이스] 새해에는 귀를 열고, 마음을 열고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
“시간을 견디는 경험이란 삶의 모든 순간을 받아들이고 의미 없는 삶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노력이며, 흘러가는 감정에 집중하고 타인의 경험에 귀를 기울이는 시도다. 그 모든 시도와 노력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나는 믿는다. 인간은 다른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속에서만 자신의 몸 밖으로 나가볼 수 있다.” 한 해를 정신없이 떠나보내는 겨울의 한가운데서 김겨울의 산문집 <겨울의 언어>를 느리고 깊게 읽는다. 무언가를 마무리해야 하는 시점에 선물처럼 찾아온 책에 감사하며, 김겨울이 그토록 강조하는 경청의 세계로 들어간다. 우리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타인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기 위함이라 말하는 김겨울을 보며 새해를 그려본다. 각자 표현하고 외치는 것에 익숙한 세상이다. 집단에 스며드는 것이 아니라 내 단점을 개성으로 바꾸고, 나의 색을 더 선명하게 밝히는 것이 멋으로 느껴지는 사회다. 그런 멋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맞추는 것보다 튀는 것이, 기왕 나를 깎을 거라면 똑같은 모양보다 세상에 하나뿐인 조각상이 되는 게 더 좋다. 하지만 외침이 많아지면서, 다시 말해 모두가 외치느라 듣는 이가 없다. 들어야 한다는 건 알지만 외치기에 급급하다. 말은 많다. 가끔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 말들이 도시에 떠다니는 기분이 든다. 새해에는 귀를 열고, 마음을 열고
」강남구 역삼동에서 지냈던 2년 동안 나는 선릉역 4번 출구 앞 쿠팡 본사 앞에서 이어진 쿠팡 노조 시위를 수없이 마주했다. 4번 출구 앞에는 늘 영정사진처럼 만든 피켓들이 놓여 있었다. 일하다 사망한 배달 노동자들, 아무런 처우 없이 사지로 내몰리는 배달 노동자들. 불만이 있으면 일하지 말고 나가라는 듯한 회사의 태도에 화를 내며 8000명에 달하는 배달 노동자들의 환경을 개선하려는 외침이었다. 출퇴근길이어서 2년 동안 매일 그 앞을 지나다녔다. 어떤 날은 전단지를 받았고, 어떤 날은 서명을 했으며, 어떤 날은 줄지어 앉은 그들의 농성을 들었다. 그 앞을 지나갈 때면 나도 모르게 꽂고 있던 이어폰을 뺀다. 늘 봤던 피켓이지만 언제나 멈춰 글자를 읽는다. 전단지는 꼭 받는다. 돌아보면 그것은 회사에 항의하거나 그들이 원하는 로켓 배송을 탈퇴하는 것과는 다른 결의 몸짓이다. 내가 당신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고, 무관심한 듯 지나치는 사람 속에서도 누군가는 당신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있다는 말을 하고 싶었다. 그렇게 2년을 그곳에서 지내다 이사를 갔다. 마지막 날에도 그들은 외치고 있었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이야기를 들어줄까? 역삼, 선릉, 삼성. 출퇴근 시간만 되면 대한민국 인구가 여기에 다 모인 듯한 강남대로를 가득 채운 사람 중에서 경청하는 이들을 상상해 본다. 그 앞을 지나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잠시라도 발걸음을 멈추는 사람들이, 당신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는 몸짓을 주는 사람들이 더 늘어나기를 바라고 또 바란다.


1993년생 소설가. 2019년 첫 장편소설 <무너진 다리>를 펴낸 이후 <천 개의 파랑> <노 랜드> 등 소설을 부지런히 선보이고 있다. 동식물이 주류가 되고 인간이 비주류가 되는 지구를 꿈꾼다.
Credit
- 에디터 이마루
- 아트 디자이너 김민정
- 디지털 디자이너 오주영
2025 가을 필수템 총정리
점점 짧아지는 가을, 아쉬움 없이 누리려면 체크하세요.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