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르보이스] 공복 등산이 배부른 이유
나정원이 아침마다 공복 등산을 나서는 이유.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 unsplash
눈뜨자마자 산에 오른다. 산을 한 입 가득 베어 문다. 밤새 모든 것을 소화시킨 텅빈 뱃속으로 야금야금 산 하나를 집어삼킨다. 요즘 나의 아침 식사다. 산을 한 입 베어 문다는 건, 그날 아침 제일 처음 만나는 공기를 마시는 일이다. 그 공기엔 나뭇잎 사이로 부는 바람과 싱그러운 풀잎 향, 흩날리는 구름 맛, 동쪽에 걸린 햇빛이 적절히 섞여 있다. 솜씨 좋은 거미집에 걸린 이슬을 보며 한 입, 성격 좋은 큰 개처럼 잎이 북슬북슬 달린 리기다 소나무를 쓰다듬으며 한 입, 발치에 통통 걸리는 솔방울을 주워 힘껏 던지며 한 입, 제피나무와 하이 파이브를 하며 또 한 입. 먹다 보면 배가 부르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와 뒷산에 오르곤 했다. 아침잠이 없는 건 유전인지 방문 여는 소리만 나도 눈이 반짝 떠졌다. 해가 미처 뜨지도 않은 어두컴컴한 하늘 아래를 할아버지와 걸었다. 밋밋한 평지를 걷다가 등산로 초입에 접어들면 발 아래만 보고 있어도 신기한 것들이 많았다. 흙과 돌, 거기에 떨어진 나뭇잎, 그 사이에서 튀어오르는 이름 모를 곤충들, 크기가 제각각인 돌, 그중에서 유독 예쁘게 반짝이는 돌, 길 가장자리로 돋아난 잡초들, 그 사이에 피어난 꽃과 열매, 눈을 들면 보이는 생경한 나무들, 지금은 알지만 그때는 모양으로 구분한 소나무와 아카시아, 상수리나무, 그 나무의 잎사귀들, 잎과 잎 사이로 숨바꼭질하는 빛의 무리. 할아버지와 나, 말없이 걸었지만 지루할 틈도 없었다. 그리 높지 않은 산이어서 일출 포인트에 금방 도착했다. 떠오르는 아침해를 보며 할아버지와 나는 늘 “야호!”를 외쳤다. 열 살도 안 된 내가 충분히 오를 수 있는 산이었지만 힘들지 않게 오른 건 아니었다. “할아버지, 어차피 내려 갈 건데 왜 힘들게 산에 올라가는 거야?” 할아버지는 대답 대신 빙긋 웃기만 했다.

© unsplash
나는 보통 5시 30분경에 일어난다. 새벽잠이 없는 체질이라 눈뜨는 게 어렵지 않다. 준비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면 안 된다는 게 나만의 규칙이라면 규칙. 양치만 하고 양말만 신으면 준비 완료. 들개 떼를 만난 적도 있지만 새벽 등산에 대한 두려움은 없다. 혼자 산길을 걸을 때 기억 저 편의 시간을 불러들이기만 하면 된다. 할아버지의 손을 잡고 걷던 그 새벽을 떠올리면 오히려 안온한 기분이 밀려온달까. 정상까지 천천히 걸으면 40분 정도 걸리는 거리를 30분 안에, 빠르면 20분 안에 주파한다. 처음엔 입구에서부터 숨이 찼다. 잠깐 앉아 물 한 모금 마셔야 하는 구간도 두어 군데 있었다. 꾸준히 하는 운동은 정직하게 체력으로 돌아온다. 이제는 정상까지 쉬지 않고 오른다. 그럼에도 마지막 계단 구간은 여전히 힘들다. 가쁜 숨을 몰아 쉬며 목적지에 도달하면 제일 먼저 반겨주는 것이 ‘오늘의 해’다. 오느라 고생 많았다고 눈부시도록 빛나는 금메달을 걸어준다. 밀렸던 땀이 긴장을 풀고 주르륵 쏟아진다. 단 30분만에 이 정도의 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도 공복 산행이 만족스러운 이유다. 정상의 바위에 걸터앉아 물 한 통 마시는 동안 오직 나를 위해 펼쳐진 것 같은 세상을 온전히 누려본다. 눈떠서 제일 처음 만난 해부터 아직 뜯지 않은 ‘오늘’을 받아 들고 하산한다. 내려갈 때는 좋아하는 음악을 크게 틀고 리드미컬하게 걷는다. 한껏 좋아진 기분으로 보는 세상은 올라갈 때와는 다른 풍경이다.
공복운동이 체지방 연소에 도움을 준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나의 경우 체중이 드라마틱하게 줄지는 않았다. 대신 체력이 좋아진 건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었다. 체력 방전 시간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 전에 없던 활력과 생기도 생겼다. 나에겐 만족도 높은 운동이지만 모두에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각자에게 맞는 운동이 있고, 에너지가 가장 활발한 시간대가 있다. 다양한 루틴을 실험해 보며 자신에게 꼭 맞는 운동을 찾아내기를. 언젠가 그것이 인생의 구원이 될 것이라 믿는다. ‘어차피 내려올 산을 굳이 오르는 이유를 이제는 알겠다’라고 썼다가 ‘아직도 알지 못한다’로 고쳐 쓴다. 끝끝내 듣지 못한 대답이 오늘도 나를 산으로 이끄는 힘이다. 나열할 수 없을 만큼 수많은 이유들이 매일 아침 갱신된다. 새롭게 곱씹다 보면 어느새 정상이다. 어린 내 손을 잡고 해가 뜨는 방향으로 걷던 할아버지는 이제 산이 됐다. 산할아버지를 만나러 나는 내일도 반짝 눈을 떠 운동화 끈을 묶을 것이다.
나정원
<엘르><보그걸> 에디터를 거쳐 현재 프리랜서로 자유로운 글을 쓰고 있다. 캠핑과 등산, 텃밭 등 ‘자연친화적인 모든 것’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
Credit
- 에디터 전혜진
- 글 나정원
- 아트 디자이너 이아람
- 디지털 디자이너 김민지
2025 가을 필수템 총정리
점점 짧아지는 가을, 아쉬움 없이 누리려면 체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