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ETY
[엘르보이스] 다정한 내 친구들에게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나는 글을 쓰는 사람이자, 두 아이의 엄마다. 그리고 최근 추가한 항목이 있다면 바로 ‘세상에서 가장 집을 많이 가진 여자’라는 것! 살아보지 않은 ‘도’가 없을 정도로 다양한 지역에서 살아본 나는 곧 열아홉 번째 이사를 앞두고 있다. 결혼 10년 만에 이사를 스무 번 넘게 한 나는 올해만 해도 두 번의 이사를 했다. 경주에서 계룡 그리고 다시 파주로! 잦은 이동은 뿌리내리지 못하는 헛헛함을 연상하게 하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 타고난 기질도 한몫했지만, 나는 머무는 지역마다 내 삶에 온기를 더하는 다정한 친구들을 잘 사귀었다. 유한한 지역살이, 예고된 이별 때문에 사람들에게 정을 붙이지 않을 법한데도 나는 꿋꿋하게 낯선 지역에서 인생 친구들을 만났다. 나보다 열 살은 족히 어린 수영 친구부터 위로 40년은 족히 넘는 할머니뻘 친구까지 말이다. 이쯤 되면 나의 다정함은 일종의 생존력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물론 이 말이 인간관계를 가식적으로, 작정하고 확장했다는 뜻은 아니다. 곧 이사 갈지도 모른다는 조건이 오히려 내게는 간절함으로 다가왔다. 어차피 떠날 사람에서 곧 떠나갈 아쉬운 친구, 떠나도 다시 만날 날을 고대하는 다정한 인간으로 남기를 바랐다.
문득 내 이런 의지는 어디에서 비롯한 건지 궁금해졌다. 그리고 곧 떠날 나를 반겨주고 응원해 주는 친구들의 다정한 마음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단순히 ‘정’이라고 정의할 수 없는 감정과 인간의 본질에 대해 궁금하던 찰나 한 권의 책을 만났다. <무엇이 우리를 다정하게 만드는가>의 저자 스테퍼니 프레스턴은 우리가 누군가를 돕거나 다정하게 다가갈 때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서술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타인을 돕는 것은 우리 몸에 심층적으로 내재된 ‘본능’이다. 새끼를 잘 돌보기 위해 인간의 신경계와 호르몬 체계가 발달해 오면서 이 회로를 통해 타인을 돕고 희생하거나 보살핀다는 것. 인간이 새끼를 돌보는 본능은 보상체계의 신경회로 덕분인데, 이 회로가 내 새끼만 돌보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끼와 비슷한 다른 대상도 돕게 만든다는 사실 또한 흥미롭다. 알고 보니 아이를 기르고 연약한 동물을 돌보는 것, 사회적 약자를 돕거나 몸이 아픈 가족을 살피는 것은 실제로 상당한 보상이 주어지는 일이었다. 도움이 필요한 어린이에게 도움을 주는 것만으로도 많은 양의 행복호르몬이 나오기 시작한다니! 아이 혹은 타인을 돌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접촉’은 우리에게 안정감을 선사하기도 한다.

낯선 사람에게 둘러싸여 살아가는 우리에게 로제토 마을의 이야기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다정함이 우리의 본능이라는 게 얼마나 다행인지! 이 욕구가 ‘완벽하지 않지만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동물들이 지닌 본능’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다정한 사람의 뇌를 들여다본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와 로제토 마을의 일화가 우리 안에 내재된 다정함의 회로를 끌어올리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길. 로제토 마을의 이웃처럼 살갑게 다가와 춤춰 주고 수영하고 맛난 걸 나눠 먹으며 인생의 고민을 듣고 공감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준 친구들에게 또다시 이별을 고하게 됐지만, 나 또한 지치지 않고 오랫동안 다정할 수 있기를. 우리는 서로에게 다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으니까.

전 에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그린 마인드> 편집장. 지금은 가족과 함께 서울을 벗어난 삶을 산다. 여성과 엄마로서 지속 가능한 삶을 고민하는 내용을 담은 <육아가 한 편의 시라면 좋겠지만>을 썼다.
Credit
- 에디터 이마루
이 기사엔 이런 키워드!
엘르 비디오
엘르와 만난 스타들의 더 많은 이야기.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