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은 질병이라고? ‘가짜’ 인플루언서의 공포 마케팅을 주의하라!_돈쓸신잡 #100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OCIETY

가난은 질병이라고? ‘가짜’ 인플루언서의 공포 마케팅을 주의하라!_돈쓸신잡 #100

박지우 BY 박지우 2023.06.01
바야흐로 인플루언서 시대다. 연예인들마저 방송이라는 본업보다는 유튜브 혹은 인스타그램 운영에 더 공을 들이는 경우도 많다. 그게 실제로 돈이 되기 때문이다. 인스타그램에 광고 게시물 하나만 올려도 웬만한 직장인의 몇 달 치 월급을 받으니까. 이젠 영향력 자체가 돈이다.
경제 섹터에서도 인플루언서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른 나이에 큰돈을 벌고 경제적 자유를 얻은 사람들이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해 자신이 이룬 것을 홍보한다. 소위 말해 퍼스널 브랜딩을 한다. 비싼 시계와 고급 스포츠카는 단골 아이템이다.
그다음엔 자신이 어떻게 부자가 됐는지 조금씩 썰을 푼다. 그러면서 슬슬 공포 마케팅을 시작한다. "가난은 질병입니다" "한 달에 1000만 원 못 벌면 게으른 겁니다" "하루에 30분만 투자해도 월급 이상을 벌 수 있습니다" 이런 자극적인 문구로 사람들에게 겁을 주고 조급함을 일으킨다. 그 뒤엔 유료 강의를 개설한다. 과연 이런 강의를 듣는다고 가난에서 탈출하고, 한 달에 1000만 원 이상을 벌며, 조금만 일하고 많은 돈을 버는 디지털 노마드 족이 될 수 있을까?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는 법

Unsplash

Unsplash

이른 나이에 평균 이상의 돈을 번다는 건 그 자체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뛰어난 역량을 갖췄다는 뜻이다. 필요하다면 그 사람들의 스킬을 돈을 내고서라도 배우는 것이 나쁜 선택은 아닐 테다.
다만 상대방이 진짜가 아니라면? 그 사람이 돈을 많이 버는 이유가 어떤 솔루션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오직 강의를 통해서 버는 것이라면?
더 쉽게 예를 들어보겠다. 어떤 사람이 주식 투자와 관련한 유료 강의를 한다고 치자. 그런데 정작 이 사람은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게 아니라 오직 강의로 돈을 번다면? 실제로 주식 투자 성적은 그다지 신통치 않다면?
물론, 이런 강의들이 엄밀한 의미에서 사기는 아닐 수도 있다. 몸이 그다지 좋지 않은 헬스 트레이너라고 할지라도 운동 이론만큼은 빠삭할 수 있고, 당연히 누군가에게 운동을 알려줄 수 있다.
 

판치는 소비자 기만

Unsplash

Unsplash

다만, 그런 유료 강의를 팔기 위해서 실제로 본인이 이룬 것보다 훨씬 더 과장해서 마케팅을 하는 건 아무리 좋게 보더라도 소비자 기만이다. 인플루언서 유료 강의 섹터는 아직까지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기 때문에 말 그대로 기만이 판을 친다. 또한 퍼스널 브랜딩과 공포 마케팅 효과로 이미 소비자 상당수는 어느 정도 가스라이팅에 당한 상태일 가능성도 높다.
결국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 위해선 그 사람이 진짜로 실력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건 돈을 지불하는 소비자로서 당연히 요청해야 할 권리이기도 하다. 부동산 투자로 돈을 벌었다면 적어도 본인이 투자한 부동산에 대해 인증해야 한다. 주식 역시 마찬가지다. 만약 이런 검증 절차에 제대로 응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진짜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Unsplash

Unsplash

전설적인 투자자 피터 린치는 이렇게 말했다. “부동산에서 돈을 벌고 주식에서 돈을 잃는 이유가 있다. 집을 선택할 때는 몇 달을 투자해 공부하지만, 주식 선정은 몇 분 만에 끝내기 때문이다”
당연히 경제 인플루언서들의 유료 콘텐츠를 고를 때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돈은 소중하기 때문이다. 진짜가 아닌 사람들이 하는 말을 듣다가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라는 속담의 의미에 대해 뼈저리게 곱씹게 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다.
 

'돈 되는 쓸모 있는 잡학 사전' #돈쓸신잡 더 보기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