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진이 불어서 만든 비주얼 쇼크 #더메이커스 || 엘르코리아 (ELLE KOREA)
CULTURE

양승진이 불어서 만든 비주얼 쇼크 #더메이커스

디자이너와 아티스트 혹은 공예가 사이의 어딘가를 유유히 표류 중인한국의 동시대 ‘메이커’들이 상상과 사색의 결과물로 이뤄낸 총천연색의 작품세계.

이경진 BY 이경진 2023.05.01
 

YANG SEUNG JIN

@seungjin_yang_
요즘 가장 흥미로운 오브제
얼마 전 본 전시 〈마우리치오 카텔란: WE〉의 자전거 타고 돌아다니는 설치미술 작품이 떠오른다.
 
자신의 이름 앞 혹은 뒤에 어떤 단어가 잘 어울릴까
사실 뭐라고 불러도 상관없다. 다만 디자이너라면 산업디자이너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에 다양한 작업을 하기 위해 아티스트라고 불리는 게 더 기분 좋다. 
 
양승진의 대표작 ‘Blowing’ 시리즈.

양승진의 대표작 ‘Blowing’ 시리즈.

자신 혹은 작품을 표현하는 세 가지 키워드
자유, 대범함, 호기심.
 
무엇이 당신을 오브제 혹은 퍼니처 메이커의 세계로 이끌었을까
대학시절 먼저 성공한 선배가 있었고, 그 모습이 멋있어 보였다. 당시 해외 가구 작가들의 작품이 너무 훌륭했다. 나도 그런 작품을 만들어 다른 사람에게 감동을 느끼게 해주고 싶었다.
 
풍선일까, 유리일까. 다양한 색과 형태로 완성되는 ‘Blowing’ 시리즈는 풍선을 불어 형태를 잡고 에폭시 레진을 여러 번 발라 완성한다.

풍선일까, 유리일까. 다양한 색과 형태로 완성되는 ‘Blowing’ 시리즈는 풍선을 불어 형태를 잡고 에폭시 레진을 여러 번 발라 완성한다.

양승진을 상징하는 ‘블로잉(Blowing)’ 시리즈의 탄생은
재료적 호기심과 작품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탐구로 탄생한 작업이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우연히 에폭시 레진 연구를 하게 됐다. 다양한 방식으로 테스트했는데, 어느 날 풍선에도 에폭시 레진을 발라보고 싶었다. 바로 실행에 옮겼고, 느낌이 좋았다. 이후 계속 발전시켜 온 작업이다. 처음에는 조명을 만들었고, 차차 스툴과 암체어까지 만들었다.
 
도전적 순간
‘블로잉’ 시리즈로 조명을 만들고 나서 처음 스툴 제작에 나섰을 때. 조명보다 견고하게 만들면 스툴 작업도 가능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스툴 작업에 성공한 거다. 실제로 사람이 앉게 되면서 ‘블로잉’ 시리즈가 다시 시작됐다.
 
고유의 프로세스로 정립한 게 있다면
컬러 샘플을 만들어 상상해 본다. 컬러 조합을 많이 시도하는 편이다. 그것들을 렌더링해 보고 좋다고 생각하면 제작한다.
 
암체어 형태의 ‘Blowing’ 시리즈.

암체어 형태의 ‘Blowing’ 시리즈.

작업을 통해 무엇에 도달하고 싶은가
오래 작업하는 것. 계속해서 더 좋은 작업을 해내고 싶다.
 
3D 프린팅과 렌더링 등 동시대 기술은 ‘메이커’의 세계를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
아직까지는 손으로 만드는 장점도 있기 때문에 그 장점과 맛을 살리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당신이 원하는 창조적 자유와 경험, 기회에 관해 생각해 본다면
많이 놀고, 보고, 경험하고, 일하는 와중에 조금씩 자유도, 경험도, 기회도 생겨난다고 본다. 
 
‘Blowing’ 시리즈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분기점이 된 스툴 작업.

‘Blowing’ 시리즈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분기점이 된 스툴 작업.

가장 두려운 것
도태.
 
메이커로서 지녀야 할 최고의 덕목
‘자신’의 작업을 하는 것.
 
분야와 시대를 막론하고 가장 좋아하는 창작자
레이디 가가.

Keyword

Credit

    에디터 이경진
    디자인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