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Skin
팬데믹으로 누군가를 만나는 일이 줄어들고, 마스크 착용으로 피부가 예민해진 사람들이 스킨케어에 집중하기 시작한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결점을 커버하는 파운데이션보다는 건강한 피부를 위한 제품들과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상승했다. 또한 진정한 자아실현에 대해 중요시하는 MZ 세대의 가치관이 반영돼 자연스러운 피부를 위한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니즈가 촉진되었다. 60%에 육박하는 MZ 세대들이 럭셔리 스킨케어에 과감히 투자하고 있는 추세로 '스킨케어'가 새로운 메이크업으로 자리 잡았다.




Considered Consumer
네타포르테는 코로나 19로 소비자들의 쇼핑 습관이 좀 더 신중해졌다고 말한다. 25% 이상의 고객이 구매 전 위시리스트에 제품을 넣어두고 뷰티 전문가 혹은 피부과 전문의의 의견에 관해 리서치를 통해 실구매로 이어진다는 것. 게다가 지속가능성에 대한 중요도 상승으로 네타포르테의 65% 고객은 자신이 구매하려는 제품의 지속가능성 여부에 관해 확인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더 많은 브랜드가 리필과 원료 공급 방식에 대해 주목해야 할 이유가 여기 있다.



Happy Hits of Color
우울한 나날들에 소소한 기쁨과 재미를 더해 줄 컬러 메이크업 소비에 대한 변화도 눈에 띈다. 블랙 아이라이너 대신 브론즈나 버건디, 핑크, 터쿼이즈 등 평범한 색상보다는 특별한 컬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것. 마스크로 가려졌던 립과 치크 역시 오렌지와 퍼플같이 경쾌한 컬러들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았고, 마스크에 묻어남 없이 컬러를 물들이는 제품들이 꾸준히 사랑받는 중.




High Tech Texture
이전 안티에이징 크림의 경우 진귀한 성분이 농축된 묵직한 텍스처가 트렌드였지만 요즘은 피부에 밀착해 빠르게 흡수되는 실키한 벨벳 텍스처를 선호하는 편. 본래 내 피부인 듯한 마무리가 포인트로 여러 단계에 걸쳐 많은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제품으로 필요한 성분을 빠르게 흡수시키는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니즈가 반영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