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벽돌집의 매력, 건축가 강석원의 집 || 엘르코리아 (ELLE KOREA)
DECOR

붉은 벽돌집의 매력, 건축가 강석원의 집

색채 감각이 드러나는 창과 문, 햇빛을 실내로 가득 들이는 '선 룸', 붉은 벽돌로 구성된 아름다움.

이경진 BY 이경진 2022.03.18
 
모듈화한 창호로 이루어진 ‘선 룸’이 햇빛을 실내로 가득 들인다. 선 룸을 기준으로 둘로 나뉘어 대칭을 이루는 집. 네 개의 큰 장방형 공간을 기능에 따라 분할, 조립해 구성했다.

모듈화한 창호로 이루어진 ‘선 룸’이 햇빛을 실내로 가득 들인다. 선 룸을 기준으로 둘로 나뉘어 대칭을 이루는 집. 네 개의 큰 장방형 공간을 기능에 따라 분할, 조립해 구성했다.

오랜 멘티인 서민범 건축가에게 자택 촬영을 부탁했어요. 특별한 애정이 담긴 시선으로 좋은 장면을 만들어보고 싶었습니다
아니, 그런데 이렇게 오래된 집을 찾아왔네요. 요즘은 오래된 것에 비교적 배타적이지 않은가요?
 
오래돼 더 특별한 걸요. 지난해 〈엘르〉에 선생님께서 분당에 설계하신 공동주택의 어느 집이 소개되기도 했어요. 1996년에 입주를 시작했던
거길 가 보셨어요? 한국판 미니 베벌리 힐스를 만들자며 추진된 프로젝트였어요. 저기 보이는 건너편 방에서 설계를 시작했죠. 18명 정도의 건축가들이 사이트를 나눠 일인당 연립주택 하나, 단독주택 하나씩 만들었어요. 그 집은 공공 스페이스가 많아요.
 
강석원의 예민한 색채 감각이 드러나는 창과 문. 쇠에 색을 칠하고 불에 구워 만든 진카트 새시다.

강석원의 예민한 색채 감각이 드러나는 창과 문. 쇠에 색을 칠하고 불에 구워 만든 진카트 새시다.

진입로가 길고 건물 내 중정도 크게 있고요. 단지 내 주택들 모두 옛모습 그대로인데 깨끗하게 보존이 잘 돼 있었어요. 오래 사는 사람들이 많다고 해요
한 번 가보고 싶네요. 나름 이름 있는 건축가들이 모여 지은 주택단지였어요. 저만 빼고(웃음). 제일 연장자가 엄덕문. 세종문화회관 설계하신 분이에요. 개인 주택도 가 봤나요? 그때 설계한 개인 주택은 원을 4등분한 형태의 건물이었어요. 앞에 야산 같은 게 있어서. 그 자연을 안아야 되잖아요? 그런 전망에 일반적인 주거공간처럼 각을 만들면 사람들이 가구를 놓을 것 아니에요. 그럼 자연이 가려지니까.
 
지금 이 집도 자연을 두 팔 벌려 안고 있어요. 빛의 향연인 집입니다. 35년 전, 선생님이 이끄신 건축사무소 ‘구룹가’의 사옥이자 자택으로 지으셨죠. 특히 건물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며 집을 둘로 나누는, 유리 온실같은 공간이 멋집니다. ‘선 룸(Sun Room)’이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외부 공간을 최대한 내부로 끌어들이고 내부를 바깥으로 던질 수 있는 집이길 바랐어요. 계절에 따라 집의 모습이 안팎으로 계속 달라져요. 난 겨울을 좋아해요. 여름이나 딴 계절은 변화가 빠르거든. 겨울은 좀 더 천천히 가니까. 눈 올 땐 눈이 그냥 내리는 게 아니라 눈발이 변화무쌍하게 날아다녀요. 하나의 컴포지션으로. 아카시아 꽃이 필 때는 밖이 온통 흰색이에요.
 
나무 그림자가 일렁이는 서재. 선 룸을 기준으로 2층의 오른쪽 부분은 안방과 침실, 서재 등의 프라이빗한 공간이다.

나무 그림자가 일렁이는 서재. 선 룸을 기준으로 2층의 오른쪽 부분은 안방과 침실, 서재 등의 프라이빗한 공간이다.

무엇보다 중요했던 이 대지의 조건 역시 자연이었던 거군요
그럼요. 자연과 어떻게 어울리는 집을 짓느냐, 그 풍경을 어떻게 만끽할 수 있는가가 중요했어요.
 
그의 집 전체는 강석원이 애정하는 붉은 벽돌이 다채롭게 사용됐다.

그의 집 전체는 강석원이 애정하는 붉은 벽돌이 다채롭게 사용됐다.

이 집에서 가장 좋아하시는 자리가 있나요
1층과 2층으로 돼 있는데, 두 개의 층이 선 룸을 기준으로 또 한 번 둘로 나뉩니다. 1층에는 작업실과 응접실이 있어요. 2층은 낮을 위한 공간과 밤을 위한 공간으로 나뉘죠. 밤을 위한 공간이 가장 프라이빗한 장소예요. 안방과 침실 등이 있죠. 나는 지금 이 자리, 1층 작업실이 제일 좋아요. 언제든 뭔가 꺼내서 읽을 수 있고.
 
세상 모든 색채가 이 집에 녹아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다채로운 색이 아름답게 혼용될 수 있다는 게 놀라워요. ‘에스모드 서울’을 비롯해 설계한 여러 건축물에서도 색을 다채롭게 쓰셨죠
이 집의 색채에는 내 집이니까 마음대로 지을 수 있다는 기쁨이 표현돼 있어요. 정말 마음껏 색을 썼어요. 30년도 더 됐는데 거의 처음 모습 그대로예요. 한국의 건물은 상당히 색에 궁핍한 경우가 많아요. 건축가들도 색에 인색한 이가 많고. 서울 시내 모처에 아파트를 지으면 하얀 벽, 회색 벽만 나와요. 도무지 색을 쓸 줄 몰라요. 언젠가부터 종종 건물 색채에 자문하기 시작했는데, 그러면서 한국 건물에도 색이 많이 들어가기 시작했어요.
 
미스 반 데어로에의 바르셀로나 체어를 둔 응접실.

미스 반 데어로에의 바르셀로나 체어를 둔 응접실.

종교 건축물부터 공공 시설, 호텔, 대학, 상업 빌딩까지 다양한 건축물을 설계했어요. 그중 벽돌을 재료로 삼은 프로젝트의 비중이 높았는데, 이 집 역시 애정하는 붉은 벽돌집입니다
재료 중에서 아주 좋아하는 게 벽돌이에요. 땅이잖아요. 흙을 구워서 만든 건데. 변하지 않고 변화무쌍하지 않은 재료예요. 세계 어딜 가나 볼 수 있는데 그 멋이 제각각이죠. 벽돌은 자연과 어우러져 변화하는 재료입니다. 그러면 관록이랄까. 그런 게 생기죠. 내가 가장 좋아하는 지점은 맑은 날과 비가 오는 날의 벽돌 맛이 다르다는 거예요.
 
건축가의 집이자 건축사무소인 이곳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비계로 만든 난간.

건축가의 집이자 건축사무소인 이곳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비계로 만든 난간.

언젠가 이 집에도 다른 주인이 생기겠지요. 이 집이 어떻게 보존됐으면 하나요
벽과 기둥이 거의 없는 집이거든요. 구조적인 변화가 별로 필요하지 않은 공간이에요. 필요하면 문을 확 열어 쓸 수도 있고 너무 열려 있다 싶으면 간이로 막아 쓸 수도 있죠. 그래서 많은 변화가 있으리라고 생각하진 않아요. 이렇게 원형적인 걸 보존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하죠. 자택을 다른 곳으로 옮길 계획이 있어요. 아내와 둘이 사는데 집이 너무 큰 것 같아서.
 
건축가의 집이자 건축사무소인 이곳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비계로 만든 난간.

건축가의 집이자 건축사무소인 이곳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비계로 만든 난간.

아쉬움이 크겠어요
그렇지도 않아요. 건축가가 다 지은 집을 건축주에게 주고 나오는 것과 똑같지, 뭐(웃음).
 

Keyword

Credit

    에디터 이경진
    사진 서민범
    디자인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