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대 음악 경연' 차이콥스키 콩쿠르가 국제 무대에서 퇴출 당할 수밖에 없는 이유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OCIETY

'세계 3대 음악 경연' 차이콥스키 콩쿠르가 국제 무대에서 퇴출 당할 수밖에 없는 이유

러시아의 자존심과도 같던 차이콥스키 콩쿠르가 보이콧을 당하고 있다.

라효진 BY 라효진 2022.04.21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을 펼치며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각종 제재에 직면했습니다. 서방 선진국 은행에 맡겨 둔 계좌를 동결당하고, 러시아에서 나던 천연가스 등의 자원을 수입하지 않겠다는 움직임이 번지고 있어요. 스포츠계와 문화계에서도 러시아와 러시아 선수, 아티스트들을 보이콧하고 있고요. 맥도날드, 스타벅스, 코카콜라, 펩시코 등의 글로벌 기업이 러시아에서 철수한 것은 물론이고 샤넬 등 럭셔리 브랜드도 '러시아에는 물건을 안 판다'라는 입장입니다. 특히 샤넬은 러시아인이 러시아가 아닌 곳에서 자사 상품을 살 경우 '러시아에서 사용하지 않겠다'라는 각서를 받기도 해요.
 
 
이처럼 세계가 러시아를 향한 포위망을 전방위적으로 좁혀가고 있는 상황에서, 주요 국제 음악 콩쿠르인 '차이콥스키 콩쿠르'가 국제 무대에서 퇴출됐습니다. 세계 117개의 음악 콩쿠르가 가입한 국제음악콩쿠르연맹(WFIMC)는 19일(이하 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특별 총회에서 회원 콩쿠르들의 투표 결과 압도적 다수 의견(약 90%)으로 차이콥스키 콩쿠르를 즉시 회원에서 제명하기로 결정했다"라고 알렸어요. 이유는 모두의 예상대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입니다.
 
WFIMC가 65년 역사에서 이 같은 이유로 회원 콩쿠르 퇴출을 결정한 건 처음입니다. 연맹은 차이콥스키 콩쿠르의 많은 수상자들이 오늘날의 주요 예술가들임을 인정하면서도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가 일으킨 잔혹한 전쟁과 반인도주의적 행위를 맞닥뜨려, WFIMC는 러시아 정권이 자금을 지원하고 홍보의 도구로 사용하는 경연을 회원으로 둘 수 없다"라고 못 박았습니다.
 
차이콥스키 콩쿠르

차이콥스키 콩쿠르

 
이어 "우리가 최우선 목표로 하는 건 항상 젊은 예술가, 특히 지금은 우크라이나 예술가의 적극적 지원이어야 한다"라면서도 "WFIMC는 모든 러시아인에 대한 전면적 제재나 국적에 따라 개별 예술가를 차별하거나 배제하는 것에는 반대한다"라고 했죠. 즉, 차이콥스키 콩쿠르가 열리는 것을 연맹 차원에서 막거나 참가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건 아니란 소립니다.
 
1958년부터 4년에 한 번씩 열려 온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는 몇몇 나라에선 '세계 3대 콩쿠르'로 불릴 만큼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음악 경연입니다. 러시아의 전설적 작곡가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이름을 딴 이 콩쿠르는 러시아의 자존심이기도 하죠. 한국 출신 수상자는 '마에스트로' 정명훈과 피아니스트 손열음, 조성진 등이 있어요. 1, 2위 입상시 한국에서 병역법상 예술체육요원으로 대체복무를 할 수 있는 국제 콩쿠르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이로써 내년에 열릴 대회 파행으로 예술가들이 피해를 입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관련기사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