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모으려면 하루라도 빨리 깨달아야 하는 것들_돈쓸신잡 #33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OCIETY

돈 모으려면 하루라도 빨리 깨달아야 하는 것들_돈쓸신잡 #33

자본주의 게임에서 승리하는 법.

김초혜 BY 김초혜 2022.02.18
unsplash

unsplash

코로나가 터진 2020년. 이 한 해를 대표하는 키워드는 뭘까. 경제 관점에서만 보면 ‘동학개미’라는 네 글자는 절대로 빠질 수 없다. 주식투자를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사람들까지 투자 시장에 뛰어들었다.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주식을 사들이며 “나는 장기투자를 할 거다!"라고 외친 사람은 내 주변에도 수두룩하다. 그날로부터 대략 2년이 지난 현재는 어떤가. 이제 동학개미라는 말을 사용하는 빈도 자체가 확 줄어들었다. 당연히 주식 투자에 대한 열기도 제법 식었다. 특히 올해 들어선 전 세계 증시가 급격하게 뒷걸음질 치는 중이며 개인 투자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중이다. 주식에서 돈을 빼서 원금이 보장되는 은행에 넣는 사람들도 확 늘었다.
 
2020년 한 방송국에서 젊은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투자 시장에 뛰어드는 현상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 이 다큐에 등장한 어떤 젊은 여성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자본주의는 진짜 누가 빨리 깨닫느냐의 싸움인 거 같아요”
나는 이 말에 100% 공감한다. 빨리 자본주의 게임의 룰을 깨닫고, 하루라도 빠르게 실행에 옮기는 사람이 승리할 확률이 높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무엇을 깨달아야 할까.
 

주식이 무서워도 시장에 참여해야 한다

unsplash

unsplash

주식 투자란 기업의 지분을 사는 일이다. 기업의 지분을 산다는 건 기업의 주인이 된다는 뜻이다. 물론 소량의 주식을 갖고 있다고 기업의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주주가 기업의 주인인 건 맞다. 기업은 주주를 위해서 열심히 일한다. 기업은 벌어들인 돈을 주주들에게 배당이라는 형식으로 나눠준다. 때론 자신들의 주식을 사들여서 없애버리기도 한다. 전체 주식 수가 감소하면 그만큼 주식 1개의 가치가 올라가니까.
 
그런데 문제는 투자한 기업이 내 기대만큼 일을 잘하고 돈을 많이 벌 수 있냐는 것이다. 지금 당장은 그럴 수 있어도, 미래에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또한 지금 당장은 별 볼 일 없어서 외면했던 기업이 훗날 무서운 기업으로 성장할 수도 있다. 이처럼 기업들은 전쟁터에서 목숨 걸고 싸우는 군인과 비슷하다. 전쟁에서 승리한 기업은 큰 보상을 얻겠지만, 이번에 이겼다고 해서 영원히 이기리란 법도 없다.  주식 투자는 생각만큼 쉽지 않다. 예상치 못한 온갖 변수가 투자자의 마음을 흔든다.
 
그런데 시장 전체를 보면 어떤가. 성공하는 기업도 있고, 망하는 기업도 있지만 결국 총합은 플러스다. 시장 자체는 꾸준히 성장한다. 사실상 미국 대표 기업들에 분산 투자하는 ETF 상품인 SPY를 보자. 이 상품에 투자한다는 건 미국 시장 전체에 투자한다는 뜻이고, 미국에 투자한다는 건 자본주의 시스템 자체에 베팅하는 거다. 1993년도에 40달러 수준으로 시작했던 이 상품은 현재 400달러가 넘는다. 1993년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에 크고 작은 위기는 셀 수 없이 많았다. 그러나 결국 시장은 성장한다. 개별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무섭다면 적어도 시장에라도 투자하는 것이 좋다.
 

자본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건 ‘내 것'

unsplash

unsplash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건 뭘까? 이건 단어 속에 답이 있다. 자본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자본이다.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가장 큰 차이는 자본의 유무가 아니다. 공산주의 사회에도 자본은 있다. 그런데 이 자본을 소유하고 통제하는 건 국가다. 반대로 자본주의 사회에선 기업이나 개인이 자유롭게 자본을 획득할 수 있고, 그 자본을 활용해 가치를 창출한다.
 
즉, 자본주의에선 누가 더 많은 자본을 들고 있는가와 이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개인의 차원에서도 이 개념은 중요하다. 일단 회사를 떠올려보자. 복지가 괜찮은 회사에 다니고 있다면, 회사 안에서 많은 것을 해결할 수 있다. 구내식당에서 밥을 먹을 수 있고, 사내 헬스장에서 운동도 할 수 있다. 간식과 커피를 제공하는 곳도 있다. 또한 시기적절하게 컴퓨터도 새 제품으로 바꿔줄 것이며, 업무에 필요하다면 아이패드와 같은 IT 기기도 지원해줄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것들을 과연 ‘내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절대로 아니다. 퇴사할 때 회사에서 가지고 나갈 수 있는 물건은 내 돈 주고 산 슬리퍼 정도일 것이다. 회사에 있는 물건은 마우스 하나조차도 내 것이 아니다. 회사 안에 있는 모든 것들은 회사의 자본이며, 더 멀리서 보면 직원 역시 회사의 자본이다.
 
우리에겐 진정한 의미로서의 ‘내 것'이 필요하다. 내 이름 석 자가 박힌 등기, 누구도 강제로 뺏을 수 없는 기업의 지분(주식), 토지, 비트코인, 금 등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조금이라도 빠르게 ‘내 것'을 모으기 시작한 사람은 그만큼 훗날 자본의 수혜를 더 많이 누릴 수 있다. 결국 ‘내 것’을 모으는 일은 자본주의라는 시장에 참여하는 행위 그 자체다.
 
 
.

.

 

'돈이 되는 쓸모 있는 잡학 사전' #돈쓸신잡 더 보기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