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ETY
돈 없어도 괜찮아, 월세 살지 말고 전세 살자_돈쓸신잡 #32
월세 vs 전세 그것이 문제로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unsplash
당시에도 월세 대신 전세로 사는 것이 더 낫다는 점은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1억 원에 가까운 원룸 전세 보증금을 생각하면 막막했다. 이 돈을 어디서 구한단 말인가. 1억 원은 취업 후 사회에 발을 내디딘 사회초년생에게도 만만치 않다. 그래서 많은 사람은 월세를 아깝게 여기면서도 ‘어쩔 수 없지’라고 생각하며 매달 수십만 원을 집주인에게 지불한다.
이미 지나간 일을 후회해봐야 바뀌는 건 없지만, 그럼에도 과거를 곱씹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는 노력은 의미가 있다. 돌이켜보면 나는 굳이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됐다. 빚에 대한 두려움만 없었으면 충분히 가능했다. 예컨대,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60만 원을 내고 살던 때를 생각해보자. 당시 내가 살던 곳과 비슷한 컨디션의 원룸의 전셋값은 대략 1억 원 정도였다. 당시 내 수중에 있는 현금은 보증금 1000만 원과 일을 하면서 모은 2000만 원까지 합해 3000만 원이었다. 그럼 7000만 원만 더 있으면 전세를 구할 수 있었다.
「
내게 도움이 되는 빚은 빛이다
」
unsplash
지금도 이 공식이 통하는 건 마찬가지다. 정부는 가계 빚을 관리하겠다면서 고강도 대출 규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적어도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을 위한 정책 금융까지 막진 않았다. 오히려 이들을 위한 금융정책은 확대하는 중이다. 정부에서 대놓고 밀어주는 지원책을 굳이 마다할 필요는 없다.
「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자금대출
」
unsplash
카카오뱅크에서도 사회초년생을 위한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상품을 내놨다. 이 상품 역시 대출 한도는 1억 원이다. 대출금리는 2%대로 위에서 소개한 상품보다 살짝 높은 편이지만, 그럼에도 현재 일반 대출금리와 비교하면 저렴하다. 또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도 다소 느슨한 편이다.
「
물론, 대출을 받는 과정은 아주 간단하지는 않다. 은행에 제출해야 할 서류만 한둘이 아니다. 이렇게 고생을 하면서까지 월세 대신 전세를 구했다고 치자.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다. 이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기 위해선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월세 대신 전세로 살며 매달 주거비로 지출하는 고정비용을 줄였다면, 그렇게 아낀 돈을 굴려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소액으로라도 우량한 주식을 적립식으로 모으는 것을 추천하고 싶지만, 굳이 서두를 필요는 없다. 당분간은 공격적인 투자 대신 시드머니를 모으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다. 연이율 9% 청년희망적금
」마침 정부에서 청년을 위한 금융상품을 내놨다. 혜택은 파격적이다. 이달 21일에 출시하는 ‘청년희망적금’에 주목해보자. 이 상품은 최대 연이율 9% 혜택을 주는 적금이다. 현재 은행 금리를 생각하면 파격적인 조건이다. 당연히 조건은 있다.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만 가입할 수 있고, 지난해 총급여가 3600만 원 이하에 해당해야 한다. 본인이 원하는 은행 중 한 곳을 골라서 가입할 수 있다. 매달 납입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은 50만 원이다. 만기는 2년이다.
「
금수저가 아니라면 현재 2030 상당수는 경제적으로 불안감을 느낀다. 부모 세대만 해도 ‘그래도 내가 열심히 하면 더 나아지겠지’라는 희망이 있었는데, 지금은 이런 희망이 급속히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이미 세상에 던져진 이상 우리는 이 삶을 살아내야 한다. 그러려면 지금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이 작은 일들을 차근차근 해치우면서 길을 찾는 것이 좋다. 청년을 위해 마련한 상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자.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하자
」
.
Credit
- 글 조성준
- 에디터 김초혜
2025 가을 필수템 총정리
점점 짧아지는 가을, 아쉬움 없이 누리려면 체크하세요.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