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LE DECOR

런던이 인정한 한국 최초의 작가들

한국 작가의 유쾌하고 기괴한 상상력이 런던을 물들였다.

프로필 by 차민주 2024.10.11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한국 문학을 전 세계에 알리며 화제를 모으고 있는 가운데, 런던에서도 한국 현대 미술에 주목하는 2개의 대규모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테이트 모던과 헤이워드 갤러리에서 각각 열리는 이미래 작가와 양혜규 작가의 전시가 그 주인공인데요. 한국 미술의 독창성과 세계적인 감각을 오묘하게 섞어 ‘최초’의 타이틀을 얻은 이미래와 양혜규 작가의 전시를 만나볼까요?



테이트 모던에 디멘터를 풀어놓은 작가
동시대 가장 주목받는 현대 예술가만 선다는 그 무대. 한국인 최초로 테이트 모던의 터빈홀을 장악한 작가는 바로 이미래입니다. 시멘트, 실리콘 등 산업 재료와 조각을 결합한 예술을 선보이는 그는 과거 화력 발전소였던 테이트 모던의 역사적 배경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곤 터빈홀의 드넓은 공간을 아름다움과 기괴함이 공존하는 생산 공장으로 되돌려놓았죠.

전시를 처음 마주하면 언뜻 해리 포터 속 ‘디멘터’가 생각납니다. 천장부터 바닥의 금속 체인에 매달려 있는 49개의 직물 조각은 ‘피부’라고 불리는 작품들인데요. 홀 끝에 위치한 크레인의 터빈을 거쳐 새로운 피부 조각으로 탄생하는 섬세한 섬유 조각들은 아름다움, 불쾌함, 연민, 그리고 공포 같은 상반된 감정들을 동시에 불러일으킵니다.

마치 신체의 내부를 보는 듯한 이 광경을 통해 불확실한 미래에 함께 맞서고 경험하는 인간의 심리를 살피고자 했던 이미래 작가의 시선은 내년 3월까지 런던에 머물 예정입니다.


<현대 커미션: 이미래: Open Wound>
장소 런던 테이트 모던 터빈홀
기간 2024.10.9 – 2025.3.16



빨래 건조대를 화려한 주인공으로 만드는 작가
독일 캐피탈이 선정한 ‘2023년 세계 100대 작가’ 중 유일한 한국인이자,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로 볼프강 한 미술상을 받은 작가. 양혜규는 동아시아 전통부터 자연까지 다양한 관습을 기반으로, 주관적 경험을 신비롭게 풀어내는 작업으로 유명한데요. 이때 블라인드, 나일론 방울, 금속 실 등 일상 속 잡동사니는 작가의 시선을 해학적으로 표현하는 매개체가 되죠. 양혜규의 25년이 헤이워드 갤러리에 응축됩니다.

갤러리 전시실 입구에 커튼처럼 달린 파란색과 은색 방울(<소리 나는 조각>)을 양옆으로 밀어내면, 반짝이는 빨래 건조대와 폭신한 선인장, 형형색색의 블라인드가 유쾌하게 관광객을 맞이합니다. 해당 공간엔 약 120점의 작품이 총망라되어 있어요. 손잡이를 밀어 움직이는 <소리 나는 의상 동차>부터 보관할 장소가 없어 작품을 박스채 보관했던 시절을 재연한 <창고 피스>, 종이와 짚을 활용한 <황홀망>과 <중간 유형>을 한걸음에 만날 수 있죠.

갤러리 수석 큐레이터 융 마는 작가를 두고 “문화적 유동성의 정의를 확장하는 작가”라는 평을 전하기도 했어요. 현대와 전통을 아우르는 양혜규 작가의 감각적인 작품 세계는 그렇게 런던 한편에서 빛나고 있습니다.


<양혜규: 윤년>
장소 런던 헤이워드 갤러리
기간 2024.10.9 – 2025.1.5



Credit

  • 에디터 차민주
  • 사진 현대자동차그룹・각 갤러리 @yanghae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