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비 1년에 30만 원 줄이는 법! 알뜰교통카드 A to Z_돈쓸신잡 #105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OCIETY

교통비 1년에 30만 원 줄이는 법! 알뜰교통카드 A to Z_돈쓸신잡 #105

박지우 BY 박지우 2023.07.06
"권리 위에서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라는 격언이 있다. 실제로 그렇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누릴 수 있는 권리는 생각보다 꽤 많다. 하지만 가만히만 있어도 누군가가 이 권리를 숟가락으로 퍼서 떠먹여 주는 것이 아니다. 본인이 직접 권리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부해보고 누릴 수 있는 것들을 누려야 한다.
매일매일 대중교통을 타고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누릴 수 있는 권리도 있다. 이 혜택이 7월부터 더 강화됐다. 바로 알뜰교통카드라는 제도다. 잘만 활용하면 누군가는 1년에 대중교통 요금을 최대 79만 원까지 아낄 수 있다.
 

알뜰교통카드란?

Unsplash

Unsplash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지하철역 혹은 버스정류장까지 이동하는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서비스다. 마일리지와 함께 카드사 추가 할인 혜택까지 감안하면 최대 30%까지 교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미 우리나라 국민 70만 명 정도가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다.
지금까지는 이렇게 적립할 수 있는 횟수가 한 달에 최대 44회였다. 하지만 7월부터는 60회로 늘어났다. 또한 청년과 저소득층에 대한 마일리지 적립금 규모도 확대됐다. 저소득층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한 달에 최대 6만 6000원의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즉, 이론적으로 1년에 최대 79만 원까지 아낄 수 있다.
이 서비스를 취급하는 카드사는 총 6곳에 불과했지만 7월부터는 5개사가 추가됐다. 신한, 우리, 하나, 로카, 티머니, DGB, 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카드를 사용한다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사실상 대부분의 카드사가 취급하는 셈이다.
 

신청하는 방법

Unsplash

Unsplash

일단 카드사에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해야 한다. 카드를 새롭게 발급받는 것이 다소 번거로울 수는 있지만, 매일 대중교통을 타고 출퇴근을 한다면 이 정도의 수고로움 정도는 수용할 만 하다. 신청한 카드를 수령했다면 알뜰교통카드 앱을 설치한 후 회원가입 절차를 거치고 카드를 등록하면 된다.
그다음엔 출발지에서 앱을 켜서 '출발' 버튼을 누르고, 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해 대중교통을 이용한 후 도착지에서 다시 앱을 켜서 '도착'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 과정을 거치면 앱이 내가 이동한 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해 마일리지를 적립해 준다.
알뜰교통카드는 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로 신청할 수 있는데, 신용카드로 사용하면 적립한 마일리지만큼 청구 할인된다. 체크카드는 마일리지가 현금으로 입금된다. 단, 한 달에 15회 이상 적립을 했을 때만 마일리지가 지급된다. 직장인이라면 하루에 최소 2번은 대중교통을 사용할 테니 한 달에 15회 적립 조건을 채우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권리

Unsplash

Unsplash

원래 위와 같은 복지 혜택은 주로 청년 혹은 저소득층에게만 해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목적이기 때문에 어떤 조건 없이 모든 직장인이 가입할 수 있다. 만약 본인이 청년도 아니고 저소득층도 아니라면 알뜰교통 카드를 이용했을 때 한 달에 최대 2만 7000원을 아낄 수 있다. 1년이면 30만 원이 넘는 돈이다. 결코 적은 돈이 아니다.
또한 금액을 떠나서 굳이 조금만 노력해서 돈을 아낄 수 있다면 기꺼이 아끼는 편이 좋다. 디테일을 잘 챙기는 사람들이 큰 그림도 잘 그리는 법이다. 적은 돈도 소중하게 생각하는 마음이 재테크의 첫걸음이다.
 

'돈 되는 쓸모 있는 잡학 사전' #돈쓸신잡 더 보기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