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퐁네프의 연인들>을 보며 춤캉스를!_프랑스 여자처럼 #10 || 엘르코리아 (ELLE KOREA)
LOVE&LIFE

<퐁네프의 연인들>을 보며 춤캉스를!_프랑스 여자처럼 #10

뮤직 페스티벌이 모두 캔슬된 서글픈 여름, 갈 곳 잃은 흥을 춤 영화로 달래본다.

양윤경 BY 양윤경 2020.07.22
지난 주말, 남편과 지인들과 캠핑을 다녀왔다. 일요일 점심 서울로 돌아오는 길, 커트 코베인이 부른 비틀즈의 'Across the universe'를 들었다. 커트 코베인 버전으로 편곡된 기타와 드럼이 더위에 지쳐가는 내 가슴을 시원하게 울렸다. 
 
 
그러다 문득, 매년 여름 주말마다 열리던 뮤직 페스티벌이 올해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여름은 음악인데 말이다. 음악에 젖어 뜨거운 햇살이 쏟아지는 잔디밭 위에서 맥주를 손에 들고, 땀을 흘리며, 스텝을 밟고 어깨춤을 춰야 하는데, 우리는 그 시간을 잃은 채로 여름을 나고 있다. 페스티벌이 사라진 여름이라니...

잔디밭으로 뛰어 나가 음악을 크게 틀고 다 함께 스텝을 밟을 수 없으니 영화 속 춤 장면으로 흥을 분출해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이번 칼럼을 시작으로 3편의 춤 영화, 그것도 매력적인 프랑스 여자들이 등장하는 영화들을 이야기하려 한다. 카페나 트레이닝도 홈카페, 홈트로 대체하는 하는 요즘인데, 춤이라고 안 될 것 없다. 춤캉스도 내 방에서 즐겨보자!
1번째 춤캉스는 레오 까락스의 〈퐁네프의 연인들 Les Amants du Pont-Neuf〉(1991)이다. '프랑스 여자처럼'의 시작(프랑스 여자처럼 #1)에 레오 까락스의 영화 〈나쁜 피〉 속 스타일을 소개했다. 〈나쁜 피〉 〈소년, 소녀를 만나다〉 〈퐁네프의 연인들〉은 사랑 3부작이라고도 불린다.
〈퐁네프의 연인들〉 안에서도 워낙 유명한 장면이라 대부분 알고 있을 테지만 꺼내보지 않아 오랫동안 잊고 있었을 다음의 장면.
 
강렬하게 사랑하는 두 남녀 알렉스(드니 라방)과 미셸(줄리엣 비노쉬)가 감정적으로 끓어올랐을 때. 프랑스 혁명 200주년을 맞아 파리에서 펼쳐지는 휘황찬란한 축제, 팡팡 터지는 불꽃놀이를 배경으로 퐁네프 다리에서 절규하듯 춤을 추고 질주한다.
이 장면에서 음악은 4번이나 바뀐다. 레바논의 전설적인 가수 파이루즈(Fairuz)의 목소리로 잔잔하게 시작해 이기 팝 'strong girl'로 팔팔 끓어오르며, 퍼블릭 에너미의 'You're gonna get yours'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다가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왈츠로 폭발의 경지에 이르른다. 퐁네프 다리에서 처음 만난 그 둘의 강렬한 감정 폭발신(scene)인 동시에 이 영화의 하이라이트다. 
레오 까락스가 내한했을 때 어느 인터뷰에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사랑 3부작은 전부 영화 〈소년, 소녀를 만나다〉처럼 소년이 소녀에게 다가갈 땐 어떤 식인지 생각했다. '나라면 어떻게 할까?'라는 고민. 그때 느끼는 감정들을 춤을 통해서, 음악을 통해서 보여줬다." 춤을 통해서 음악을 통해서 감정을 보여주는 것. 감독의 의도와 고집 덕분에 극도로 아름답게 완성된 장면이다.  
영화 〈퐁네프의 연인들〉 스틸컷.영화 〈퐁네프의 연인들〉 스틸컷.
이 장면이 특별한 데에는 이유가 하나 더 있다. 바로 30여만 평 규모의 퐁네프의 다리를 재현한 세트! 길이 100여 미터, 폭 15여 미터의 실제 퐁네프 다리를 재현하기 위해 세트에도 대리석을 사용했고, 다리 아래 흐르는 센 강 역시 실제 센 강처럼 15~20여 미터 깊이로 땅을 파 강으로부터 물을 끌어올려 채웠다. 세트를 짓기 위해 2만여 명의 인원이 동원되었고, 건축가, 설계사, 조각가, 연극 무대 디자이너 등이 함께 했다. 어마어마한 규모 만큼이나 영화를 제작하는 중간에도 우여곡절이 많았다. 영화를 만들던 중 제작 예산 초과로 제작사가 파산하는 바람에 촬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1년 동안 투자자를 구하지 못하자 당시 문화부 장관이 직접 작업용 필름을 들고 투자자를 구했다고 한다. 영화 제작 기간은 총 5년. 다행히 영화가 완성되어 이렇게 아름다운 장면이 세상에 태어날 수 있었다. 
영화 〈퐁네프의 연인들〉 포스터.

영화 〈퐁네프의 연인들〉 포스터.

 
마음에 쌓인 감정의 쓰레기들을 맘껏 내던지고 싶을 때, 하지만 갈 수 있는 곳이 없을 때 이 장면을 보며 마음을 달래자. 시원하게 칠링한 화이트 와인을 한 잔 옆에 두고 낭만의 파리에서 벌어지는 두 남녀의 처절하고 아린 사랑에 참여하는 거다. 비루한 현실의 초라함을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킨 두 남녀의 춤과 질주는 음악을 잃은 이 시대 청춘들의 아쉬움을 달래기에 충분하다.    
 
* 프렌치 패션, 리빙, 음악, 미술, 책... 지극히 프랑스적인 삶! 김모아의 '프랑스 여자처럼'은 매주 화요일 업데이트 됩니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