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영화를 위해서
영화를 향한 마음으로 아시아의 젊은 영화인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그 마법 같은 순간을 직접 목격했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프란시스코 고야의 그림 속 악마의 표정과 연쇄 살인마의 표정을 교차한 연출로 현장에서 뜨거운 박수를 받았던 <아티스트>.
터져 나오는 박수소리가 소극장을 가득 채웠다. ‘2024 CHANEL×BIFF 아시안 필름 아카데미(CHANEL×BIFF Asian Film Academy)’(이하 BAFA) 수료식이 개최된 10월의 늦은 밤. 아시아 13개국에서 참가한 23명의 펠로들이 20일 간 함께 만들어낸 결과물을 확인하는 자리에는 순수한 열정과 따뜻한 격려의 에너지가 넘실거렸다.
차세대 아시아 영화인을 발굴하고, 이들의 네트워크 구축을 도모하기 위해 2005년에 설립된 BAFA는 지난 2022년, 샤넬과 함께 새로운 탄생을 알렸다. 항상 동시대 예술 후원자로서 다음 세대에 주목해 온 샤넬이 BAFA 공동 주최로 합류해 아시아영화의 미래를 그려 나갈 인재들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결심한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올해로 3년째 BAFA와 함께하고 있는 샤넬과 영화의 인연은 매우 깊습니다. 가브리엘 샤넬 여사가 1930년대 영화배우들의 의상을 만든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도 영화인을 위해 꾸준한 지지를 아끼지 않는 샤넬이 이 행사를 후원할 수 있다는 것은 영광입니다”라는 샤넬의 진심어린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듯 말이다. 상금을 비롯해 독일의 세계적인 영화제작업체 ‘ARRI’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트레이닝 참여, 미국영화협회와 공동 주최하는 MPA 어워드 수여 등 실질적인 지원도 뜻 깊지만 BAFA의 핵심은 ‘함께 영화를 제작하는 소중한 경험을 선사하는 것’ 그 자체다.

서로 든든한 촬영 팀이 돼 주었던 BAFA 과정.

총 23명의 펠로가 참석한 이번 BAFA의 특징은 여성 영화인들의 비율이 높았다는 것.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회상하는 딸의 마음을 포착한 <좋은 밤>.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의 산실이 된 도시에서, 동료들과 단편영화를 제작하는 특별한 여정에 함께하고 싶다는 바람으로 올해는 34개국에 걸쳐 613명이 지원하는 신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렇게 선정된 23명의 펠로들에게 주어진 9월 22일부터 10월 11일까지 20일의 시간 동안 이들 사이에 얼마나 특별한 유대감이 쌓였는지는 펠로 한 명 한 명이 호명될 때, 도움을 준 멘토들과 스태프들이 단상 위에 오를 때 순수하게 쏟아진 함성과 박수갈채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었다. 막상 눈앞에서 바라보니 닮았으면서도 너무나 다른, 그러나 영화에 대한 애정만으로 이 낯선 곳까지 올 결심을 한 이들의 소감을 들으니 가슴이 뭉클해지는 건 어쩔 수 없었다. BAFA 기간 동안 고국에 전쟁의 긴장감이 감돌며 “친구들과 주변인들의 안위가 위협받는 중에 작업한다는 게 쉽지 않았음”을 털어 놓은 자헤르 주레이디니(레바논), “우리가 서로를 이해한다면 관객 또한 우리의 이야기를 이해할 것”이라는 소감을 공유한 애니 송(중국)을 비롯해 2관왕에 빛난 미얀마 출신의 세인 라이언 툰의 진솔한 소감은 참석자 모두에게 큰 울림을 줬다. 펠로 중 가장 연장자인 탓에 “이곳에 와서 많은 손자들이 생겼다”는 농담으로 시작한 수상은 “항상 기다림과 거절을 반복적으로 겪었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가기 힘들 때도 있었다. 하지만 그 거절의 경험을 딛고 비로소 이곳에 있게 됐다. 다들 동료를 보며 용기를 얻길 바란다. 우리가 혼자가 아니라는 걸 잊지 말길”이라고 말하여 BAFA의 존재 의의를 선명하게 만들었다.

단편영화만이 가질 수 있는 순간적인 긴장도와 에너지를 이끌어낸 <당신이 남긴 것>.

수료식 이후 진행된 애프터 파티에서 단체 사진을 남긴 참가자들의 밝은 표정.
수료식의 하이라이트인 총 여덟 편의 단편영화 상영을 앞두고, 프리프로덕션부터 포스트프로덕션까지 펠로들의 순간을 포착한 사진들이 한 장 한 장 스크린에 걸렸다. 단독주택. 편의점, 대형 마트, 항구, 방파제, 한옥….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친숙한 부산 풍경에 영화 장비들을 이고 서 있는 사람들의 모습. 때로는 카메라 렌즈를 향해 활짝 웃고, 때로는 눈앞에 놓인 뷰파인더에 날카롭게 몰입하고 있는 옆 얼굴, 확실한 꿈을 좇는 사람들만이 가진 눈빛…. 모든 꿈이 반드시 이뤄지지는 않는다. 모든 잠재력과 가능성이 근사한 결과물로 이어지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그날 밤 영화의전당에는 꿈을 가진 사람들의 반짝임이 있었다. 짧지만 누군가의 마음에는 오래 남을 수 있는 마땅한 스포트라이트가 비춰진 것도 틀림없다. 그리고 또 다른 꿈을 응원하는 자리에 샤넬은 계속 함께할 것이다.

인어와 적극적인 등대지기의 성적 긴장감을 그린 <러스트> 촬영현장.

부산을 배경으로 진행된 프로덕션.

부산을 배경으로 진행된 프로덕션.
헌사의 또 다른 주인공. ‘CHANEL×BIFF 아시아영화아카데미’ 교장으로 여정을 함께한 장률 감독.
」
포스트프로덕션 작업은 부산의 영화 전문가들과 함께했다.

어느덧 3회 차에 접어든 CHANELx BIFF 아시안 필름 아카데미를 이끈 주역들. 맨 오른쪽에 교장직을 맡은 장률 감독도 함께 섰다. 가운데에 서서 뿌듯한 미소를 보내는 멘토 카밀라 안디니와 우라타 히데오.

10월 10일 저녁, 영화의전당에서 개최된 수료식과 상영회를 위해 펠로와 배우들이 객석을 가득 채웠다.
Credit
- 에디터 이마루
- 아트 디자이너 정혜림
- 디지털 디자이너 김민정
- COURTESY OF CHANE
2025 가을 필수템 총정리
점점 짧아지는 가을, 아쉬움 없이 누리려면 체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