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LE DECOR

노용원이 포착한 전통에 대한 새로운 정의 #데코데코

빛나는 호기심과 열정으로 <데코·데코 Décor·Décor: 리빙룸 아케이드>와 함께 주거 미학을 탐구한 18명의 작가들.

프로필 by 이경진 2023.12.19
 
 
‘New Koreanism’ 시리즈

‘New Koreanism’ 시리즈

노용원을 대변하는 작품
 ‘찌라시 소반’. 전단지 이미지를 자개 소반의 패턴으로 사용한 가구 작업이다. 내 주된 관심사는 서로 반대되는 세계의 부딪침과 그로 인한 화학작용이다. 전통과 현대, 싸구려와 럭셔리, 연출과 실제 등 서로 상반되는 가치를 뒤섞음으로써 갈수록 양극화되는 세상에 필요한 회색 지대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엘르 데코>와 함께하는 전시 <데코·데코: 리빙룸 아케이드>에서는
익숙한 전단지 이미지를 차용해 이미 주어진 것에 새로운 시각을 전달하고 싶다. 
 
당신의 작품으로 이뤄진 방에는 누가 살고 있을까
그 방은 멀리서 보면 전통적이겠으나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시끄러운 길거리 소음이 들릴 것이다. 단단한 코어를 가졌지만 언제 어디로든 날아갈 준비가 돼 있는, 클래식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작업물을 만들어내는 예술가에게 어울리지 않을까.  
 
전시공간과 개인공간의 공통점
지금 거주하는 네덜란드의 23㎡짜리 원룸에 토넷 체어를 두 개나 놓고 있지만 다른 한 켠엔 동묘에서 수집한 전단지와 신작을 위한 재료가 쌓여 있다. 이질적인 두 세계가 일으키는 스파크를 강조하는 작품처럼 내 공간에도 다양한 시간대가 혼재한다.
 
당신에게 리빙룸이란
바둑판처럼 상황에 따라 이리저리 조합을 바꾸는 공간. 지금 사는 곳은 거실이 넓지 않아 다양하게 쓰고 있다. 작업실처럼 물건을 펼쳐놓거나, 손님을 위한 응접실 또는 요가 수련실이 되기도 한다. 평소엔 빈 공간을 유지해 최소한의 여유와 상상을 위한 공간으로 남겨두고 있다. 
 

당신이 경험한 놀라운 공간
을지로의 공장들. 개미굴처럼 복잡한 골목을 지나면 예상치 못한 세월의 흔적이 나오는데, 각종 기계와 공구들이 어지럽게 채운 공간들이 나타난다. 외부인 입장에선 혼돈 그 자체이지만 주인에겐 그보다 편한 공간은 없을 거고, 수십 년을 거쳐 만들어진 유기적 구조에서 오는 아우라가 있다.
 
작업으로 완성하고 싶은 이야기
뉴 코리아니즘(New Koreanism)이라는 주제 아래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 한국인에게 친숙한 감성과 감각을 찾고, 그것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 마음속에 견고하게 버티고 있는 전통이라는 키워드를 재정립해 보고 싶다.  
 
노용원 인스타그램 @yyonggyyongg

Credit

  • 에디터 이경진 / 윤정훈
  • 아트 디자이너 김려은
  • 디지털 디자이너 민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