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지키는 나의 초록 플랜트 || 엘르코리아 (ELLE KOREA)
FASHION

지구를 지키는 나의 초록 플랜트

지구를 지켜라! 달걀 껍질부터 종이 반죽까지 지속 가능한 소재로 빚은 화병과 화분들.

김초혜 BY 김초혜 2023.04.27
 

나인티원나인티투(91-92)

푸른 물결을 연상시키는 화병은 재활용 플라스틱에 진심인 3D 프린트 전문 스튜디오 91-92의 것. 14만원대.
 

플라스틱 아크 

버려진 플라스틱이 경쾌한 패턴과 알록달록한 컬러와 함께 ‘힙’한 화분으로 거듭났다. 4만6천원.
 

메브 

포근한 느낌의 스퀘어 포트는 남겨진 것에 새로운 쓰임새를 부여하는 텍스타일 스튜디오 메브(Meb)의 작품. 옷감을 짜고 남은 실과 양모를 켜켜이 쌓아 만들었다. 5만6천원.
 

미니멈디자인 

입체감 있는 패턴의 화분은 옥수수를 원료로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과 재활용 목재를 활용해 3D로 프린트했다. 6만원대.
 

스페이드클럽서울 

녹색 소주병이 영롱한 오브제로 다시 태어났다. '리보틀(Re:Bottl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리너리 라이프 컬처를 제안하는 스페이드클럽서울과 박선민 작가가 협업한 착한 화병. 9만9천원.
 

펌리빙 

소용돌이치듯 고유의 뒤틀림을 지닌 화병은 100% 재활용 유리로 만들었다. 22만원대.
 

더콘란샵 

물감이 퍼지듯 자유롭게 뒤섞인 컬러의 화분이 공간에 활기를 더해준다. 필리핀에서 자연적으로 분쇄한 석회암으로 완성한 수공예품. 10만원대.
 

꾸까 

꾸까(Kukka)가 리브랜딩 기념으로 환경호르몬 없는 친환경 소재의 비비드한 화병을 공개했다. 8만9천원.
 

Areaware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첸 첸(Chen Chen)과 카이 윌리엄스(Kai Williams)가 디자인한 화분. 물 흐르듯 연결되는 화분과 받침이 한 쌍을 이룬다. 4만원대.
 

로젠달 코펜하겐 

은은한 그러데이션이 고급스러운 느낌을 자아내는 재활용 플라스틱 화분은 동결 방지 소재라 야외에 식물을 내놓을 수 있다. 3만원대.
 

선데이플래닛47 

산업화의 중심지였던 베를린에서 착안해 공장 굴뚝을 모티프로 만들었다. 글로벌 재활용 인증(GRS)을 받은 제품. 2만8천원.
 

구악스 

기다란 나무토막 같은 튜브 화병은 빛에 따라 푸른빛을 드러낸다. 안과 밖의 색이 다른 재활용 유리를 활용했다. 15만9천원.
 

DBKD 

종이 반죽으로 만들었지만 물이 새지 않는다. 종이 펄프에 아교와 석회를 섞는 파피에 마세(Papier-Ma^che′) 방식으로 제작했다. 26만5천원.
 

위켄드랩 

젤라토 가게 앞에 버려진 계란 껍질을 본 위켄드랩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계란 세 개를 쌓아 올린 것 같은 디자인 화병. 18만5천원.
 

아누

메추리알을 닮은 빈티지 패턴과 올리브 컬러가 매력적이다. 깨진 도자기를 곱게 분쇄해 재사용하는 ‘리포세린(Reporcelain)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탄생한 플랜트 볼. 4만8천원.
 

소나이트 by 프레드 

쌀 도정에서 버려지는 벼 껍질로 만든 허스크 플랜터 미니. 에스프레소 잔 정도의 컴팩트한 사이즈라 작은 다육식물을 심기에 딱이다. 2만2천원.
 

Keyword

Credit

    에디터 김초혜/전혜윰
    아트 디자이너 박서연
    디자인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