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성과 진정성을 지닌 국민 육아 멘토 오은영 박사
잠시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아이를 낳고 엄마가 되면서 깜짝 놀랐습니다. 내가, 사람들이, 우리 사회가, 아이에 대해서 너무 몰라서…
나름 대학교육을 받고 에디터로 일하며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했다고 믿었는데. 출산과 육아에 대해서는 내가 접했던 어떤 책이나 매체에서도 다뤄지지 않았던 거죠. 아이를 낳으면 어디선가 누군가가 매뉴얼을 던져주는 줄 알았는데, 실상은 모든 해답을 엄마인 나 혼자 찾아야 한다는 현실을 알게 되었을 때의 당혹감이란. 갓난아이를 재우고 밤마다 눈물을 철철 흘리며 이런저런 육아서적과 블로그를 뒤적였던 경험이 저만의 것은 아닐 겁니다.
아무런 학습 없이 막상 닥치고 나서야 온몸으로 부딪히게 되는 문제. 앞이 깜깜하고 속이 답답한 육아의 세계에서 허우적대는 엄마들에게 오은영 박사는 오랜 시간 귀한 길잡이 역할을 해왔습니다. 2006년부터 약 10년간 방송된 SBS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는 오은영 박사를 대중에게 알린 원조 예능 프로그램. 시청자들 사이에서 〈우리 부모가 달라졌어요〉라고 제목을 바꿔야 한다는 소리가 나올 만큼, 아이의 문제가 양육자의 태도와 관련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켜준 프로그램이었죠.

넷플릭스 〈워킹맘 다이어리〉 스틸
사실 이것은 부모-자식뿐만 아니라 모든 관계에 해당되는 이야기일 겁니다. 상대방을 존중하고 공감하고 명확하게 설명하고 이해할 때까지 기다려주는 것. 정식으로 눈을 맞추고 인간 대 인간으로 대화를 하는 것만으로 ‘문제 있는’ 아이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육아 방송을 볼 때마다 놀랍고 되새기게 되는 지점입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우주이며, 부모와의 관계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양육자에게 엄청난 부담을 주는 팩트이기도 합니다. 특히 주로 가정에서 양육의 역할을 도맡는 엄마들에게는 말이죠. 오은영 박사는 이런 엄마들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것도 잊지 않습니다.

올해 개봉한 영화 〈아이〉 스틸 사진
사는 건 힘든 일의 연속이고 모든 노력이 성공으로 돌아오는 것도 아닙니다. 시험 점수보다 중요한 것은 밤늦게까지 열심히 공부한 기억이라는 것. 인간은 가까운 사람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고 위로받을 때, 그런 기억으로 힘든 시간을 버텨간다는 것. 오은영 박사가 전하는 이야기는 단순한 ‘육아 노하우’를 넘어 인간다움과 인생에 대해서도 깨달음을 줍니다.

사려깊은 시선으로 아이들의 세계를 담은 영화 〈우리들〉
우리는 아이들에 대해 너무 모릅니다. 그렇기에 지금 이 순간에도 숱한 아이들의 권리와 생명이 위협당하고, ‘민식이법’이 오해받고 ‘노키즈존’이라는 차별이 자행되는 것이지요. 어른들의 권리와 욕망에 대해서는 그렇게 너그러우면서, 아이들에 대해서는 왜 그렇게 무심하고 무지하고 야박한 것일까요.
남자든 여자든, 결혼을 했든 안 했든, 자녀가 있든 없든, 우리는 ‘아이’란 존재에 대해서 좀 더 공부가 필요합니다. 그것은 한때 아이였던 나 자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일이기도 하겠지요. 오은영 박사 같은 선생님이 있어서 다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