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토니상 안고 서울에 상륙한 박천휴, 윌 애런슨 콤비

<어쩌면 해피엔딩> 작가 박천휴와 윌 애런슨,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

프로필 by 정소진 2025.09.30

제78회 토니어워즈에서 6관왕을 달성한 <어쩌면 해피엔딩>의 작가 박천휴, 윌 애런슨이 패션 매거진 <엘르>와 화보 촬영을 진행했다. 두 사람의 화보는 오랜 친구이자 비즈니스 파트너로서의 경계를 오가는 콘셉트로 이루어졌다. 현장에서 능수능란하게 포즈를 취하는 박천휴와 화보 촬영이 처음이지만 익숙한 듯 자연스러운 윌 애런슨의 케미스트리가 돋보였다.


화보 촬영이 끝난 후 인터뷰가 진행됐다. ‘윌휴 콤비’의 시작은 뉴욕대학교를 다니던 시절로, 이 만남은 운명일지 묻자 박천휴는 “이제는 너무 익숙한 사이”라며 “운명이라고 하기에는 쑥스럽고, 행운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절로 흘러간 게 아니라 서로 이해하고, 노력하고, 다듬어온 관계”라고 말했다. 편곡, 작곡 등 창작 뮤지컬의 음악에 기민한 감각을 쏟는 윌 애런슨은 “천휴는 모든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이야기한다. 그게 장점이기도 한데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며 동료애를 보였다. 이에 박천휴는 “뮤지컬은 본질적으로 협업 예술이라 모든 걸 내 마음에 들게 만들 수 없다. 그래서 늘 타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의 모든 작품은 ‘관계’를 중심으로 흘러간다. <번지점프를 하다>에서 환생을 경험하는 연인, <어쩌면 해피엔딩>의 휴머노이드와 인간의 사랑, <고스트 베이커리>의 유령과 인간의 우정까지. 두 사람에게 있어 관계는 왜 반복적으로 탐구해야 하는 주제인지 묻자 박천휴는 “결국 이야기를 쓴다는 건 ‘나는 어떤 존재인가, 세상은 어떤 곳인가’를 탐구하는 일”이라며 “그런 탐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관계라는 주제로 귀결된다”고 말했다. 이에 덧붙여 윌 애런슨은 “혼자 살 수 있는 사람은 없다”“<어쩌면 해피엔딩>의 경우, 이 작품이 인간이 무언가와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점을 말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무대에서 구현해 보고 싶은 소재에 대한 질문에 박천휴는 “여전히 끌리는 인물은 위인이나 슈퍼히어로가 아니다. 우리와 비슷하지만 시간의 유한성 때문에 고통받는 인물”이라고 고백했다. 윌 애런슨은 “겉으로는 전혀 다른 사람처럼 보이지만, 막상 들여다보면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관점이 좋다. 슈퍼히어로도, 로봇도 아닌, 결국 우리와 닮아 있는 존재들. 우리 작업 전반에 흐르는 철학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자신만의 언어를 구축해 온 창작자로서 끝까지 잃지 않으려는 마음가짐에 대해 윌 애런슨은 “항상 ‘처음’처럼 생각하려 한다. 처음 작품을 할 때 느끼는 긴장과 설렘 말이다. 이제 방법을 다 알았다는 느낌은 절대 가지지 않으려 한다”고 답했으며, 박천휴는 “호기심. 나이가 들어도 작업 자체에 대한 호기심, 함께하는 사람들에 대한 호기심, 가능성에 대한 호기심을 잃지 않으려 한다. 삶에서도”라고 전했다.


10월 30일부터 내년 1월 25일까지 <어쩌면 해피엔딩> 10주년 공연을 선보일 예정인 박천휴와 윌 애런슨 작가의 화보와 인터뷰는 <엘르> 10월호웹사이트에서 만나볼 수 있다.

관련기사

Credit

  • 에디터 정소진
  • 사진가 곽기곤
  • 스타일리스트 이종현
  • 헤어 메이크업 아티스트 정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