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전형성을 벗어난 만화적 상상력! 작가 이학민의 유머러스한 좌표들 #더메이커스
디자이너와 아티스트 혹은 공예가 사이의 어딘가를 유유히 표류 중인 한국의 동시대 ‘메이커’들이 상상과 사색의 결과물로 이뤄낸 총천연색 작품세계.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
@hakmazing LEE HAK MIN
」
요즘 가장 흥미로운 오브제
동글동글해서 귀여운 18세기 영국 앤티크 의자인 ‘터너스 체어(Turner’s Chair)’.
자신의 이름 앞 혹은 뒤에 어떤 단어가 잘 어울릴 것 같은가
디자이너, 아티스트 그리고 공예가 사이 어딘가.

‘Paw Stool’(2019)
작업 과정에서 가장 좋아하는 일
아이디어 구상 단계. 상상에는 제약이 없으니까.
작가로서 지닌 가장 큰 장점
다양한 분야의 작업에서 장르 구분 없이 나만의 좌표를 그려나가는 것.
무엇이 당신을 메이커의 세계로 이끌었을까
대학생 때 동경해 오던 더치 디자인을 경험하기 위해 네덜란드 에인트호벤으로 유학 간 것.

‘Paw Table’(2020)
상징적 작품 ‘Paw Furniture’ 시리즈의 탄생은
갈수록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공예와 디자인, 고급 예술과 하위 예술, 럭셔리 브랜드와 스트리트 브랜드에 대한 흥미에서 시작된 작업이다. 만화와 피규어 등 서브컬처에서 영감을 얻어 가구와 접목을 시도하면서 여기에 만화적 상상력을 가미했다.
자신 혹은 작품을 표현하는 세 가지 키워드
유머러스(Humorous), 크래프츠맨십(Craftsmanship), 컨텍추얼(Contextual).
자신의 작업 프로세스로 정립한 게 있다면
가구 작업의 경우 반드시 스케일 모델링을 직접 제작한다는 것.

‘Debris Bench’(2021)
작업 관련 대화에서 습관적으로 하는 말
왜 이런 재료와 형태, 기법이어야 할까?
가장 지양하는 말
그냥.
자신이 꿈꾸는 궁극의 작업
작가의 세계관과 아이덴티티가 정립된 작업. 이를 위해 꾸준히 작업하고 싶다.
3D 프린팅과 렌더링 등 동시대 기술은 ‘메이커’의 세계를 어떻게 바꿀까
기술 발전으로 창작자들은 자신이 표현하려는 영역을 확장하고 새로운 문법을 창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은 늘 어렵지만 흥미롭다고 생각한다.
당신이 원하는 창조적 경험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하나의 작업을 멋지게 완성해보고 싶다. 꽤 근사할 것 같다.

‘Mini Pow Stool’(2021)
인간의 삶과 함께할 오브제 디자인 혹은 아트의 미래를 상상해 본다면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미래에도 예술은 변함없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을 것 같다.
메이커로서 경험한 가장 아름다웠던 순간
머릿속에 있던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일에 성공해 손으로 만질 수 있게 됐을 때.
창작자로서 가장 두려운 것
같은 것을 답습하는 것.
크게 공감했던 누군가의 생각
예술이 없는 지구는 별로다(Earth without art is just eh).
분야와 시대를 막론하고 가장 좋아하는 창작자
르네 마그리트.
Credit
- 에디터 이경진
- 디자인 김희진
2025 가을 필수템 총정리
점점 짧아지는 가을, 아쉬움 없이 누리려면 체크하세요.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