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씬 스틸러들 ② 더 프레이즈 || 엘르코리아 (ELLE KOREA)
CULTURE

공간의 씬 스틸러들 ② 더 프레이즈

'더 프레이즈'의 페이지는 매 이슈마다 확고한 방점을 찍으며 펼쳐진다.

ELLE BY ELLE 2023.02.01
 

POINT OF THE PHRASE

덴마크에서 제작된 캐비닛에 김누리 대표가 오랫동안 모은 빈티지 베이스가 놓여 있다.

덴마크에서 제작된 캐비닛에 김누리 대표가 오랫동안 모은 빈티지 베이스가 놓여 있다.

모든 것이 빠르게 지나가고 잠시 멈추는 것조차 견디지 못하는 시대에 공기마저 느리게 흘러가는 서점의 존재란 더없이 소중하다. 게다가 한 장씩 넘길수록 시선이 그대로 머무는 아트 북과 매거진이 가득하다면 더욱 그럴 것이다. 패션에 매료된 매거진 키드로 유년시절을 보내고, 여행을 가면 반드시 그 지역 서점에 들르는 김누리 · 최태순 부부에게도 서점은 그런 존재였다.

 
더 프레이즈 쇼룸 입구에서 볼 수 있는 현대적인 로고.

더 프레이즈 쇼룸 입구에서 볼 수 있는 현대적인 로고.

그들이 ‘더 프레이즈(The Phrase)’ 쇼룸을 구상하며 1층에 서점을 떠올린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뒤로 인왕산이 펼쳐진 고요한 누하동 골목에 자리 잡은 더 프레이즈는 3개 층으로 구성돼 있다. 1층은 패션과 디자인, 건축, 사진, 예술 등의 매거진과 아트 북을 볼 수 있는 서점이다. 더 프레이즈의 첫 번째 이슈인 사진가 신선혜의 사진집은 다수의 기억에 또렷이 각인되며 성공적인 데뷔를 이끌어냈고, 그에 이은 세 번째 이슈는 바로 현재의 서점 공간을 구획하는 것이었다.
 
미스 반 데어 로에 디자인의 의자와 리차드 영 디자인의 테이블을 매치했다.

미스 반 데어 로에 디자인의 의자와 리차드 영 디자인의 테이블을 매치했다.

책이 너무 많은 서점에서 피로감을 느낀 적이 있어요. 주인의 취향을 담아 선택한 책만 모여 있다면 더욱 선택과 집중이 가능하겠다 싶었죠. 그런 면에서 발간된 지 오래된 책과 신간의 구분은 저희에게 무의미했어요. 오히려 오래된 책 중에서 절대 놓치고 싶지 않은 이슈를 끌어모았습니다. 잘 만든 좋은 책과 잡지, 옷은 시간이 흘러도 잊히지 않고 더욱 가치 있기 때문이죠.
 
최용준 작가의 사진 작품, 더 프레이즈가 MK2와 협업한 스틸 책꽂이가 함께한 공간.

최용준 작가의 사진 작품, 더 프레이즈가 MK2와 협업한 스틸 책꽂이가 함께한 공간.

2층과 3층은 때마다 가변적으로 바뀐다. 주로 프로젝트 스페이스로 사용하는 2층에서는 전시와 강연, 팝업 스토어 등이 열리며, 3층은 더 프레이즈에서 출판한 책과 지금까지 협업한 창작자들의 작업을 소개하고 있다. 최근 더 프레이즈의 네 번째 이슈로 사진가 최용준의 사진집, 디자이너 조현석이 설계한 가구, mk2가 소개하는 2000년대 빈티지 가구를 모은 전시를 열었다.
 
‘구절, 관용구’라는 뜻의 이름에서 연상할 수 있듯 그들은 새로운 것을 기획하고 수집하며 편집해 전혀 다른 결과물로 만들어낸다. 마치 매달 다른 이슈로 발간되는 잡지처럼. 그런 의미에서 부부에게 누하동 무목적 빌딩과의 만남은 운명 같았다. 좁은 계단을 올라가며 만나는 공간이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새로운 장면이 펼쳐지는 잡지처럼 느껴진 것. 한눈에 보이지 않아 더 매력적인 건물은 그들에게 무엇이든 그리며 상상할 수 있는, 여백이 많은 종이처럼 보였다.
 
김누리 · 최태순 대표가 사랑하는 아트 북과 매거진이 엄선된 더 프레이즈의 서점.

김누리 · 최태순 대표가 사랑하는 아트 북과 매거진이 엄선된 더 프레이즈의 서점.

디자이너 조현석과 함께 벽과 바닥을 화이트로 마감하고 곳곳에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등 차가운 소재를 배치한 것도 앞으로 열게 될 이벤트와 조화롭길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부부는 지난 몇 년간 공부하고 일하며 런던에서 머물렀다. 그사이 팬데믹과 록다운을 겪었지만, 런던 공원을 자주 산책하며 자연과 가까운 삶을 산 것이 현재의 쇼룸을 구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서점 창밖으로 작은 정원을 만들고, 매주 꽃 시장에서 직접 고른 꽃을 빈티지 꽃병에 꽂으며 공간 속에 계절의 변화를 담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1987년에 디자이너 안토니 헌트가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스틸 체어.

1987년에 디자이너 안토니 헌트가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스틸 체어.

철마다 피고 지는 꽃과 식물처럼 더 프레이즈도 새로운 계절을 위한 또 다른 이슈를 준비하고 있다.
곧 덴마크의 핸드메이드 세라믹 그릇을 선보일 예정이에요. 단순히 그릇을 전시하는 것보다 어울리는 음식을 담아 먹을 때 더욱 빛날 것 같아 작은 미식회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작은 레코드 숍에서 뮤지션이 마이크 없이 노래하는 공연도 좋아하는데, 언젠가 더 프레이즈 쇼룸에서 열 수 있게 된다면 좋겠어요.
취향의 접점이 같아서 미래의 계획이 물 흐르듯 이어지는 부부. 그들의 말처럼 더 프레이즈에서는 언제든, 무엇이든, 어떤 일이든 가능할 것이다. 그것도 무척이나 다채롭게.
 
디자이너 조현석이 제작한 스틸 소재의 서점 쇼케이스 사이로 아일린 그레이의 튜브 램프가 서 있다.

디자이너 조현석이 제작한 스틸 소재의 서점 쇼케이스 사이로 아일린 그레이의 튜브 램프가 서 있다.

 
직선적인 블랙 대리석 테이블은 런던에서 구입한 빈티지 제품.

직선적인 블랙 대리석 테이블은 런던에서 구입한 빈티지 제품.

 
안토니오 치테리오가 디자인한 유선형 소파 뒤로 인왕산 전경이 그림처럼 펼쳐져 있다.

안토니오 치테리오가 디자인한 유선형 소파 뒤로 인왕산 전경이 그림처럼 펼쳐져 있다.

 
패션과 사진을 비롯해 예술 전반의 기호가 잘 맞는다는 김누리 · 최태순 부부.

패션과 사진을 비롯해 예술 전반의 기호가 잘 맞는다는 김누리 · 최태순 부부.

 

Keyword

Credit

    컨트리뷰팅 에디터 정윤주
    사진 이주연
    디자인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