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사랑 이야기: 언니, 나랑 결혼할래요?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TAR

평범한 사랑 이야기: 언니, 나랑 결혼할래요?

결혼은 자유, 혐오는 아웃! 알고 보면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사랑 이야기. '대한민국 국적 오픈리 레즈비언 유부녀'를 자청한 김규진은 이대로 제법 행복하다.

ELLE BY ELLE 2020.07.13
 
귀여운 표지 디자인에 책 제목은 〈언니, 나랑 결혼할래요?〉다. 커밍아웃, 동성결혼이라면 굉장히 예민한 이슈처럼 들리지만, 책을 읽고 나니 한 개인이 행복을 찾아 나선 이야기로 다가온다 동성애자의 삶이 힘든 점도 있지만, 사실 행복한 때도 많고 내 삶에 만족하는 편이다. 내가 얘기하려는 바가 긍정적인 톤이기 때문에 제목이나 표지도 밝게 가는 쪽으로 결정했다. 다만 생각하지 못한 부분은 성소수자들이 이 책을 부모님과 사는 집 책장에 꽂을 수 있을까 하는 점(웃음). 다행히 e북을 동시에 출간한다.  
 
지난해 동성 연인과 결혼식을 올리고 이를 블로그에 공개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사회적인 투사가 될 생각은 없었다지만, 대표성을 갖게 된 게 부담스럽지 않나 일단은 알고 시작했다. ‘과잉 대표’가 될 것이라는 걸 알았지만, 이게 얼마 가지 않을 거라는 것도 잘 안다. 10년 뒤에는 나처럼 결혼하는 레즈비언이 훨씬 많을 테니까. 다른 많은 동성 커플이 내 얘기를 보고 용기를 얻었다든지, 결혼을 결심했다는 얘기를 들으면 악플쯤은 견딜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결혼생활의 예상치 못한 장점이나 단점은 생각보다 나쁜 점이 별로 없어서 놀랐다. 서로 바이브가 잘 맞는 사람들이기도 하고, 이 관계의 소중함을 알고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우리 결혼이 흔히 말하는 사회적 가족간의 결합이 아니라, 개인과 개인의 결합이란 점에서 좀 더 유리한 부분도 있다. 양가가 의절해서 되게 비극적이지만, 한편 부부 사이는 긍정적이어서 참 아이러니하다는 말을 언니와 나누기도 했다.  
 
한국 사회에서 레즈비언 부부로 사는 것, 희망적으로 보고 있나 그렇다. 나도, 와이프도 희망적으로 보고 있다. 여러 가지 지표를 봤을 때, 20대의 60%가 넘게 동성혼을 찬성한다면 당연히 장기적으로는 동성혼 법제화가 될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때까지 다치지 않고 스스로를 지키면서 버티는 게 관건일 듯하다. 그래도 언젠가 당연히 될 거라 생각하면 좀 더 견디기 쉬운 거니까. 
 
제도적으로 가장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건 제일 시급한 하나를 꼽자면 포괄적 차별금지법. 갑자기 동성혼이 법제화된다고 해서 차별과 혐오가 사라지는 건 아니다. 내 기사에 달린 댓글을 보면 ‘나는 혐오할 권리가 있다’ ‘나는 이들을 보지 않을 권리가 있다’ 이런 식의 발언을 너무 당연하게 하더라. 누구도 차별하면 안 되고, 혐오 발언하면 안 된다고 법제화한다면 생각보다 큰 변화가 있을 거라고 믿는다. 
 
얼마 전 고양이를 새 식구로 들였다고. 부부의 삶에 달라진 점이 있나  이제 2주 좀 넘었다. 나는 일단 동물이나 아기가 부부 사이를 돈독하게 해주는 도구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하지만 공동 육아를 하고 공동으로 책임을 지는 데서 오는 연대감은 확실히 있는 것 같다. 가족이 둘에서 셋이 되니까, 더 다양한 관계가 생기는 것도 재미있다. 고양이가 내가 만질 때는 ‘잉’ 그러더니, 와이프 무릎 위에 올라가 애교 부리는 걸 보니까 질투 나더라고!
김규진 부부의 제주도 웨딩 사진과 신간 〈언니, 나랑 결혼할래요?〉 표지.

김규진 부부의 제주도 웨딩 사진과 신간 〈언니, 나랑 결혼할래요?〉 표지.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