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ETY
[엘르보이스] 내 상상속에서도 큰엄마는 앞치마를 입고 있었다
내 상상속에서도 앞치마를 입고 있었던 큰엄마의 명절 해방일지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Palva
이제는 공갈 송편의 추억도 과거로 사라졌다. 우리 집안에도 드디어 ‘명절 졸업’이 도래한 것이다. “어제 어른끼리 가족회의를 매우 길게 했어. 앞으로는 연휴에 각자 자유롭게 지내기로 협의했어. 그동안 큰엄마가 너무 고생 많으셨어. 완전 대한독립만세야.” 재작년 연말쯤 엄마가 가족 방에 올린 카톡이다. 바쁘다는 핑계로 큰집에 들르지도 않고, 가봤자 누워 빈둥거리기만 했던 내게는 당연히 어떤 발언권도 없었다. 그러나 있다 한들 나 역시 명절을 없애자는 데 적극 찬성했을 것이다. 평범한 명절 풍경이 나이 들수록 기이하게 보여진 지 오래였으니까.
우리 집안은 대체적으로 화목하고 자유로운 편이지만, 그럼에도 명절이 되면 ‘엄마들’의 얼굴을 보기 힘들었다. 큰엄마, 우리 엄마, 작은엄마가 부엌 속으로 사라져 그 안에서만 종종거리기 때문이다. 모두 큰집에 모이므로 주방 캡틴은 단연 큰엄마였다. 가족 모두가 큰엄마를 비롯한 여자 어른들의 고생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턴 그 고생이 특출하다고 여기지 않았던 것 같다. 일 년에 고작 두 번이니까, 가족끼리 오랜만에 모여 얼굴을 보고 소식을 나누는 기쁨이 크니까, 다른 집안에 비하면 이 정도 규모는 약소하니까…. 그렇게 얼렁뚱땅 넘겨온 세월이 수십 년이었다. 부끄럽지만 나 역시 학창시절엔 명절을 ‘전을 왕창 먹는 날’ 정도로만 여겼을 뿐 그 많은 전을 부치기 위해 몇 시간 동안 기름 냄새를 뒤집어쓰는 수고에 대해 헤아려본 적 없었다. 온갖 양념으로 범벅된 몇백 개의 그릇이 결국 누구 몫으로 남는지도 궁금하지 않았다.

명절에 반기를 든 큰엄마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큰엄마의 미친 봉고>
그날 힘들게 사온 재료로 누추한 저녁밥을 만들어 먹는 와중에 불쑥 큰엄마의 얼굴이 떠올랐다. 그녀는 내 상상 속에서도 앞치마를 하고 있었다. 나는 갑자기 큰엄마의 전지전능함이 의문스러워졌다. 내 입 하나 챙기기도 이렇게 힘든데…. 큰엄마는 명절마다 어떻게 수십 명의 음식을 만들 수 있었을까? 차례상도 차리니까 죽은 사람 입까지 챙기는 셈이다. 큰엄마도 처음부터 큰엄마로 태어난 건 아닐 텐데. 나는 몇 번을 다시 태어나도 절대 큰엄마는 되지 못할 것이다. 밥을 다 먹고 나니 큰엄마도 다음 생에는 누군가의 큰엄마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큰엄마는 내게 이런 농담을 자주 했다. “누가 너한테 맏며느릿감이라고 하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도망쳐라. 그건 절대 칭찬이 아니니까.” 다행스럽게도 그것은 기우였다. 내게는 맏며느리는커녕 일반 며느릿감이라고 말하는 사람조차 없었다. 당시엔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말의 속뜻이 뒤늦게 이해되면서 서글픈 감정이 밀려왔다.
지난 설날 큰엄마의 SNS 프로필 사진은 여행지에서 찍은 기념사진으로 바뀌었다. 연휴를 맞아 공기 좋은 곳으로 나들이를 간 모양이다. 평범한 그 차림이, 그동안 질리도록 봐온 앞치마보다 훨씬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
싫은 것들을 사랑하려고 글을 쓴다. 다수의 에세이와 소설 <언럭키 스타트업>을 썼다. 정지음
」Credit
- 에디터 이마루
- 글 정지음
- 아트 디자이너 구판서
- 디지털 디자이너 오주영
엘르 비디오
엘르와 만난 스타들의 더 많은 이야기.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