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노그래피 아티스트 카테리나 젭의 크리에이티브 아틀리에 || 엘르코리아 (ELLE KOREA)
CULTURE

스캐노그래피 아티스트 카테리나 젭의 크리에이티브 아틀리에

"스캐노그래피 작업을 통해 인물과 사물에 대한 탐구를 이어가는 작가. 카테리나 젭은 일상과 작업의 상충된 에너지를 분리한 작업실에서 창의력의 전환점을 맞았다"

ELLE BY ELLE 2022.12.21
 
카테리나 젭의 아틀리에 도어엔 그녀가 좋아하는 기사가 붙어 있다.

카테리나 젭의 아틀리에 도어엔 그녀가 좋아하는 기사가 붙어 있다.

바스티유 광장에서 멀지 않은 파리 12구 아틀리에에서 만난 카테리나 젭(Katerina Jebb)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흠뻑 젖어 있었다.
리브고시에 있는 집에서 걸어왔어요. 이렇게 흐리고 비 오는 날을 좋아하거든요. 이럴 때 보면 영락없는 영국 사람이죠!
 
자신의 모든 작업과 오브제를 중요하게 여기는 카테리나 젭의 작업실은 잘 정리된 아카이브 룸 같다. 햇살 쏟아지는 창가는 그녀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이다.

자신의 모든 작업과 오브제를 중요하게 여기는 카테리나 젭의 작업실은 잘 정리된 아카이브 룸 같다. 햇살 쏟아지는 창가는 그녀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이다.

카테리나 젭은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영국 태생의 종합예술가다. 1989년부터 파리에 거주하는 그녀는 사진과 영화, 설치미술 작업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영역에서 창작에 몰두하고 있으며, 전매특허 같은 스캐노그래피(Scanography; 스캐너로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를 통해 의복과 신체, 사물을 문서화하는 방식으로 신선한 혁명을 일으켰다. 덕분에 전위적인 패션 브랜드와 셀러브리티를 매료시킨 그녀는 포토그래퍼를 넘어 아티스트로 발돋움할 수 있었고, 그렇게 탄생한 이미지들은 패션 비주얼 제작 분야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게 됐다. 빠르게 완성되는 수많은 인스턴트 이미지의 시대, 많은 에너지를 쏟아붓는 카테리나의 작업은 오랜 관찰을 통해 조심스럽게 이어가는 조각 작품 같아서 그 가치를 더욱 인정받고 있다.
 
다락으로 이어진 사다리가 무심하게 세워져 있다. 마네킹이 가리키는 작품은 ‘Incubation, Real Doll’(1999), 오른쪽 작품은 ‘Eggs’(2013). 테이블 위에 배열돼 있는 작품들. 왼쪽은 ‘Silicone Object Suspended in Plexi Glass’(2015), 오른쪽은 ‘Silicone Object Suspended in Plexi Glass’(2015).

다락으로 이어진 사다리가 무심하게 세워져 있다. 마네킹이 가리키는 작품은 ‘Incubation, Real Doll’(1999), 오른쪽 작품은 ‘Eggs’(2013). 테이블 위에 배열돼 있는 작품들. 왼쪽은 ‘Silicone Object Suspended in Plexi Glass’(2015), 오른쪽은 ‘Silicone Object Suspended in Plexi Glass’(2015).

카테리나 젭은 2014년 이전까지는 주로 주거공간에서 작업했다. 아이들이 생기고 그녀의 작업이 집 안 이곳저곳에 놓인 것을 본 가족들이 불평하기 시작했을 때 생활과 작업공간을 분리하기로 한 것.
 
내년 3월까지 열리는 프리다 칼로 전시를 위해 멕시코에서 제작한 작품. Artwork Katerina Jebb for Museo Frida Kahlo, Mexico, published in Corpus, 2022, Paris Musés. 2022 Banco de México, Diego Rivera & Frida Kahlo Museums Trust.

내년 3월까지 열리는 프리다 칼로 전시를 위해 멕시코에서 제작한 작품. Artwork Katerina Jebb for Museo Frida Kahlo, Mexico, published in Corpus, 2022, Paris Musés. 2022 Banco de México, Diego Rivera & Frida Kahlo Museums Trust.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진 않았지만, 매일같이 들르는 곳이 이 작업실이에요. 여기에 오면 어떤 것도 신경 쓰지 않고 내 생각과 아이디어를 거침없이 정리할 수 있어요. 좋은 엄마가 되는 건 좋은 아티스트가 되는 것만큼 창의력이 필요해서 집에서 작업할 때는 두 가지 창의력이 서로를 침범한 게 사실이에요. 일상과 일의 공간을 분리한 것이 아티스트로서 확실한 전환점이 된 것 같아요.
 
스캐노그래피를 통해 작가 반열에 오른 그녀가 이 작업을 시작한 건 오래전에 있었던 교통사고의 영향이 컸다. 사고 후유증으로 한참 동안 카메라를 들기 힘들었을 때 마침 스캐너에 닿은 피사체와 그 피사체를 옮겨놓은 디지털 작업 프로세스에 매료된 것.
과거에는 죽은 사람의 얼굴을 본떠 조각품으로 만드는 게 관례였잖아요. 저는 인물에 대한 연구와 탐험의 일환으로 포트레이트 작업을 하고 있고, 이것을 현대 버전의 마스크라고 생각해요. 그런 의미에서 제 아틀리에는 탐정 사무소일 수도, 메디컬 센터일 수도 있죠.
 
작가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인 공간 풍경. 그간 사용한 소품과 오브제들이 상당 부분 보존돼 있다. 레아튀 뮤지엄(Musée Réattu)에서 전시할 당시 작품 레이블을 작업실 벽에 붙여놓았다.

작가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인 공간 풍경. 그간 사용한 소품과 오브제들이 상당 부분 보존돼 있다. 레아튀 뮤지엄(Musée Réattu)에서 전시할 당시 작품 레이블을 작업실 벽에 붙여놓았다.

카테리나 젭의 작업실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많은 작업이 공존하면서도 완벽하게 정돈돼 있었다. 아카이브 룸과 뮤지엄의 중간 정도랄까. 이곳에서 주로 하는 작업은 오브제나 인물 내면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일이다. 많은 시간과 물리적 에너지를 요구하는 스캐너 작업은 그 다음 과정.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보하는 작업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는 스캐노그래피는 하나의 이미지를 위해 100번 넘는 근접 스캔을 하고, 작업당 세 시간이 넘게 걸리는 경우가 다반사.
 
작가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인 공간 풍경. 그간 사용한 소품과 오브제들이 상당 부분 보존돼 있다. 레아튀 뮤지엄(Musée Réattu)에서 전시할 당시 작품 레이블을 작업실 벽에 붙여놓았다.

작가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인 공간 풍경. 그간 사용한 소품과 오브제들이 상당 부분 보존돼 있다. 레아튀 뮤지엄(Musée Réattu)에서 전시할 당시 작품 레이블을 작업실 벽에 붙여놓았다.

지난여름엔 멕시코에서 프리다 칼로의 아카이브 이미지 작업을 했어요. 과거 프리다 칼로가 입었던 코르셋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당시 그녀가 느꼈을 감정이 고스란히 전해졌죠. 흥미롭지만 감정 소모가 많은 작업이었어요. 저녁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기진맥진했거든요.
고된 노동과 감정 소모를 동반한 결과물은 박물관에 걸리고, 사람들에게 알려지며 그녀의 노고를 위로한다.
 
작가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인 공간 풍경. 그간 사용한 소품과 오브제들이 상당 부분 보존돼 있다. 레아튀 뮤지엄(Musée Réattu)에서 전시할 당시 작품 레이블을 작업실 벽에 붙여놓았다.

작가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인 공간 풍경. 그간 사용한 소품과 오브제들이 상당 부분 보존돼 있다. 레아튀 뮤지엄(Musée Réattu)에서 전시할 당시 작품 레이블을 작업실 벽에 붙여놓았다.

1998년 〈Warhol Look〉 세계 순회 전시의 일환으로 휘트니 박물관에 전시된 그녀의 작업은 2016년 프랑스 아를에 있는 레아튀 뮤지엄(Muse′e Re′attu) 개인전으로, 2018년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의 〈Heavenly Bodies: Fashion and the Catholic Imagination〉 전시 공동 작업으로 이어졌다. 또 런던 빅토리아 & 앨버트 뮤지엄, 파리장식미술관, 레아튀 뮤지엄의 영구 컬렉션에 포함돼 있다.
 
작가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인 공간 풍경. 그간 사용한 소품과 오브제들이 상당 부분 보존돼 있다. 레아튀 뮤지엄(Musée Réattu)에서 전시할 당시 작품 레이블을 작업실 벽에 붙여놓았다.

작가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인 공간 풍경. 그간 사용한 소품과 오브제들이 상당 부분 보존돼 있다. 레아튀 뮤지엄(Musée Réattu)에서 전시할 당시 작품 레이블을 작업실 벽에 붙여놓았다.

다소 그로테스크한 작업과는 달리 카테리나 젭을 매료시키는 작업실의 진풍경은 바로 다락방 창문으로 스며드는 햇살이다. 아티스트가 되지 않았다면 정원사나 조향사가 됐을 거라는 그녀는 스스로를 “아임 언 오픈 북(I’m an open book)”이라 부르며 아직도 꾸준히 배우고 이해하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2023년 3월 5일까지 파리의상박물관(Palais Galliera)에서 열리는 〈Frida Kahlo, Beyond Appearances〉전에서 그런 그녀의 작업을 만날 수 있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Woman in A Rain Hat’(1996)과 ‘Libeération Press Pass’(1989, 2012), ‘Eggs’(2013), ‘Two-Headed Chick’(2015), ‘Shoe Last’(2016) 작업을 위한 오브제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Woman in A Rain Hat’(1996)과 ‘Libeération Press Pass’(1989, 2012), ‘Eggs’(2013), ‘Two-Headed Chick’(2015), ‘Shoe Last’(2016) 작업을 위한 오브제들.

 
자신의 아카이브를 손에 들고 있는 카테리나 젭.

자신의 아카이브를 손에 들고 있는 카테리나 젭.

 
작업실 한쪽, 온수기 위에도 어김없이 그녀의 사진이 붙어 있다.

작업실 한쪽, 온수기 위에도 어김없이 그녀의 사진이 붙어 있다.

 
천창에서 쏟아지는 햇살이 매력적인 다락방에도 작가의 아카이브들이 잘 정리돼 있다.

천창에서 쏟아지는 햇살이 매력적인 다락방에도 작가의 아카이브들이 잘 정리돼 있다.

 
 

Keyword

Credit

    컨트리뷰팅 에디터 김이지은
    사진 KATERINA JEBB
    디자인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