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여성 크리에이터 탐구 ③ 아일린 그레이 || 엘르코리아 (ELLE KOREA)
CULTURE

근현대 여성 크리에이터 탐구 ③ 아일린 그레이

아일린 그레이, 리나 보 바르디, 발렌타인 슐레겔, 사빈 마르셀리스…. 다시금 다정하게 불러보고 싶은 근현대 여성 크리에이터의 이름들.

ELLE BY ELLE 2022.12.02
 

EILEEN GRAY

아일린 그레이의 모더니즘이 돋보이는 몬테 카를로(Monte Carlo) 소파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E-1027 사이드 테이블.

아일린 그레이의 모더니즘이 돋보이는 몬테 카를로(Monte Carlo) 소파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E-1027 사이드 테이블.

1878년 아일랜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아일린 그레이는 제1 · 2차 세계대전 중 가장 흥미로운 작업을 선보인 여성 창작자이자 모더니즘 운동의 선구자 중 한 명이다. 그녀는 독학으로 가구 디자인 지식을 습득했고, 건축평론가인 파트너와 함께 파리에서 갤러리를 운영하던 중 40대 후반에 건축가로서 첫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모더니스트 빌라 E-1027이 바로 그것. 그녀 역시 여성에게 적대적이었던 모더니즘 세계에 파묻혀 당시에는 이렇다 할 조명을 받지 못했다.
 
아일린 그레이의 포트레이트.

아일린 그레이의 포트레이트.

1973년 94세가 됐을 때 비로소 국제여성의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열린 전시에서 세상에 알려졌으니 말이다. 이 회고전을 통해 그녀가 르 코르뷔지에와 미스 반 데어 로에, 마르셀 브로이어 같은 디자이너보다 앞서 크롬을 가구 재료로 도입한 최초의 디자이너라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녀의 뛰어난 재능을 질투한 르 코르뷔지에와의 일화에서 알려졌듯이 남성 중심 사회에서 많은 고난을 겪은 아일린 그레이.
 
나는 나서는 사람이 아니다. 아마도 내가 마땅히 가져야 할 위치를 얻지 못한 이유일 것
이라고 했지만, 묵묵하게 자신의 작업세계를 펼쳐간 덕분에 모더니즘 디자인의 선구자로서 여전히 우리 곁에 있다.
 
타이어 회사 미셸린의 마스코트 비벤덤에서 영감받은 비벤덤(Bibendum) 암체어.

타이어 회사 미셸린의 마스코트 비벤덤에서 영감받은 비벤덤(Bibendum) 암체어.

 
리듬감 있는 곡선과 흑백의 조화가 돋보이는 로아티노(Roattino) 플로어 램프.

리듬감 있는 곡선과 흑백의 조화가 돋보이는 로아티노(Roattino) 플로어 램프.

 
그녀가 직접 디자인한 가구가 놓인 빌라 E-1027 내부.

그녀가 직접 디자인한 가구가 놓인 빌라 E-1027 내부.

 
부드러운 두 개의 곡선이 균형 있게 구현된 몬테카를로 소파, 20세기 디자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부드러운 두 개의 곡선이 균형 있게 구현된 몬테카를로 소파, 20세기 디자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프랑스 남부 해변 리비에라 절벽에 자리 잡은 아일린 그레이의 첫 건축 프로젝트 E-1027의 전경.

프랑스 남부 해변 리비에라 절벽에 자리 잡은 아일린 그레이의 첫 건축 프로젝트 E-1027의 전경.

 
직조 공방을 직접 운영할 정도로 그녀가 애정을 쏟은 러그 시리즈 카스텔라(Castellar)와 블루 마린(Blue Marine).

직조 공방을 직접 운영할 정도로 그녀가 애정을 쏟은 러그 시리즈 카스텔라(Castellar)와 블루 마린(Blue Marine).

 
직조 공방을 직접 운영할 정도로 그녀가 애정을 쏟은 러그 시리즈 카스텔라(Castellar)와 블루 마린(Blue Marine).

직조 공방을 직접 운영할 정도로 그녀가 애정을 쏟은 러그 시리즈 카스텔라(Castellar)와 블루 마린(Blue Marine).

 
아일린 그레이의 초기작 브릭 스크린(Brick Screen).

아일린 그레이의 초기작 브릭 스크린(Brick Screen).

 
1926년부터 3년간 설계하고 건축된 E-1027의 모던한 디테일들.

1926년부터 3년간 설계하고 건축된 E-1027의 모던한 디테일들.

 
아일린 그레이의 작업세계를 다룬 팀스 앤 허드슨(Thames & Hudson)의 출판물.

아일린 그레이의 작업세계를 다룬 팀스 앤 허드슨(Thames & Hudson)의 출판물.

 
몸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위한 그녀의 대표작 논-콘포미스트 의자, 비대칭의 팔걸이가 돋보인다.

몸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위한 그녀의 대표작 논-콘포미스트 의자, 비대칭의 팔걸이가 돋보인다.

 

Keyword

Credit

    컨트리뷰팅 에디터 김누리&최태순(THE PHRASE)
    GETTYIMAGESKOREA
    ARAM DESIGNS LTD
    ELIAS HASSOS
    THAMES & HUDSON
    WWW.CLASSICON.COM
    mark seelen
    디자인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