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LE DECOR
오래된 서점의 노래
인사동 거리를 굳게 지켜온 고서점 '통문관'.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인사동 번화가 초입에 있는 고서점, 통문관. 유리문을 열면 비밀스러운 고서들이 나타난다.

오래전 독일의 구텐베르크 인쇄박물관 관장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통문관 앞에서 찍은 흑백 기념사진.
오래된 서점의 노래, 통문관
평안남도 출신의 소년이 있었다. 16세가 되던 1934년에 서점 ‘금항당’의 직원이 됐고, 9년 후 해방을 맞아 사장이 됐다. 청년이 된 이겸로는 상호를 ‘통문관’이라 명명했다. 책을 매개체로 많은 이의 지식과 교류가 흐르고 연결되는 장소이길 바랐던 것. 현재의 통문관은 그의 손자이자 3대인 이종운 대표가 운영하고 있다. 그에게 통문관은 어릴 때부터 집이자 놀이터였다. 학교에서 배운 <용비어천가> 원본이 있을 정도니 때로는 이곳이 박물관 역할도 했다. 통문관의 시작은 여느 서점과 다르지 않았지만 이제는 조선시대의 고서,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에 발간된 인문학 서적과 희귀본, 각종 도록과 도감을 시대별로 갖춘, 국내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90년 역사의 서점이 됐다. 
종종 사람들의 손을 타는 걸 방지하기 위해 책을 포장해 두기도 한다. 고서 중에 한글이 섞여 있는 시집은 많은 이가 찾는 책이다.

주인의 책상을 기준해 양쪽으로 책장이 펼쳐지는 통문관의 구조. 대부분의 책장은 이곳이 건설된 1960년대에 나왕으로 튼튼하게 만든 것이다.

조선시대 고서들이 쌓여 있는 통문관의 책장.

노천명 시인의 시집 <창변> 무삭제본의 한 페이지.
Credit
- 컨트리뷰팅 에디터 정윤주
- 사진가 해란
- 아트 디자이너 김강아
- 디지털 디자이너 오주영
엘르 비디오
엘르와 만난 스타들의 더 많은 이야기.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