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풍상사]로 돌아온 김민하의 영화적인 패션 모먼트
빛과 어둠 사이, 이상하고 아름다운 김민하의 방.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작품 속 김민하와 화보 속 김민하는 다른 사람처럼 느껴져요. 화보 작업에는 어떤 방식으로 몰입하나요
두 작업 모두 상상력에서 출발하지만, 화보에서는 일상에서 도전하지 못했던 것들이나 머릿속에 그려온 그림들 혹은 동화에서 본 이미지 같은 걸 구현해 보려고 해요. 돼 보고 싶었던 것들도 마찬가지죠. ‘요정’이든 ‘동물’이든 한 대상을 정해서 몰입하는 걸 좋아해요.

레이스 러플 드레스는 Susan Fang
오늘 컨셉트는 김민하의 비현실적 일상입니다. 실제의 일상은 어떤가요
말 그대로 자고 일어나서 밥 먹고 누워 있는 평범한 모습일 거예요. 일과 쉼을 분리하는 편이라 집에서는 완전히 늘어지거든요. 암막 커튼을 치고 온종일 침대에 누워 있기도 해요. 열심히 일하는 만큼 잘 쉬는 것도 중요하죠.
공개를 앞둔 드라마 <태풍상사>의 경리 오미선이 어쩌면 그간 연기한 인물 중 가장 일상적이지 않을까요. 물론 1997년의 IMF를 겪어낸 사람들 이야기지만
맞아요. 1990년대의 미선이 어떻게 세상을 살아가고, 집에서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고, 일할 땐 어떤지, 고난과 역경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고민했어요. 거의 30년 전 일이니까 그때 모습을 찾아보면서 그 시절의 ‘평범’에 대해 많이 생각했어요.



미선은 ‘K장녀’로도 소개되지만 민하 씨는 언니만 두 명 있잖아요(웃음). 막냇동생과 장녀의 간극은 어떻게 해결했나요
언니들을 자주 생각하면서 찍었어요! ‘장녀’라는 역할이 어렵거나 부담스럽지게 느껴지지는 않았어요. 동생으로 나오는 배우들이 너무 자연스럽게 ‘동생’ 그 자체로 현장에 있어 주거든요. 보호해 주고 싶고, 가끔 잔소리도 하고 싶고…. 그렇게 되더라고요.
이참에 김민하의 언니들을 소개한다면요
언니들은 진짜 저를 너무 사랑하는, 말 그대로 ‘극성’ 언니들이예요. 나이 차도 꽤 나는 편인데요. 언니들 눈에는 아직 제가 애기처럼 보이나 봐요. 제가 일하는 것도 여전히 걱정하고, 매일 뭘 먹여주고 사주고 그러거든요. 언니들 없이는 저도 잘하지 못했을 거예요. 남는 건 가족밖에 없다는데, 나이들수록 더 의지하게 돼요. 어제도 생일을 맞아 가족끼리 식사했는데, 진짜 행복했어요.

레이스 러플 드레스는 Susan Fang.

민하 씨 부모님도 IMF 시기를 겪었겠죠. 부모님과 그에 대해 대화한 적 있나요
많이 여쭤 보기도 했고, 제가 우리나라 1980~1990년대에 관심이 많아요. 문화적으로도 그렇고요. 엄마와 아빠도 물론이지만, 당시 중소기업을 운영했던 삼촌들에게도 많이 물어봐요.
힘들었던, 하지만 어떤 의미로는 낭만이 있었던 그 시기를 살아보고 싶다는 상상도 해봤나요
비단 1990년대뿐 아니라 아주 먼 과거로 돌아가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도 자주 해요. 그래서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도 엄청 좋아해요.

레이스 장식의 실크 드레스와 펜던트 네크리스, 스트랩 펌프스는 모두 Chloé.

그런 시대를 배우로서 재현하는 것이 의미 있고 즐거운 일이겠네요
맞아요. 그런 매력 때문에 배우라는 직업을 계속 해나가는 것 같기도 해요.
1997년의 서울 말투도 완벽히 재현해야 했다죠. 서울 사람인 김민하에게도 어려운 일이었나요? <파친코> 때는 일제강점기 말투 구현이 과제였다면서요
요즘 서울 사투리에 대한 분석이 밈으로 나오기도 하죠. 저도 당시 길거리 인터뷰 영상을 주로 찾아봤는데, 참고는 하되 그 색을 과하게 묻히고 싶지는 않았어요. 말투 한두 스푼에 얹힌 정도로 표현하려 했죠. 그것에 너무 치우치면 인물 표현이 자연스럽지 않을 수 있으니까. 다만 연기하면서 저도 모르게 튀어나오는 요즘 말투나 단어들 있죠? 그런 건 조심해요.

집업 스웨트셔츠와 니트 톱, 숄은 모두 Miu Miu. 진주 브레이슬릿은 All-in.

소설 원작의 <파친코>와 <내가 죽기 일주일 전>, 웹툰 원작의 <조명가게>처럼 주로 원작이 있는 작품을 연기해 온 것 같아요. 원작 인물과 내가 만들어가는 인물이 같을 때 기쁜가요, 전혀 다를 때 기쁜가요
다 좋아요(웃음). 다만 소설 원작인 경우에는 그대로 재현하기보단 제가 새롭게 만들어가는 부분이 더 많아요. 웹툰 원작의 <조명가게> 경우에는 그림체가 분명히 있어서 거기서 많이 벗어나면 기대치가 떨어질 수 있으니, 그 원형에서 조금 더 깊게 들어간 것 같고요. 새로운 모습을 보여줬다는 말도 좋고, 잘 맞는다는 소리도 좋고. 사실 뭐든 다 칭찬이니까요!
같은 시대를 함께 겪어나가는 태풍 역의 이준호 배우와의 호흡도 중요했을 것 같아요
너무 좋았죠. 항상 감사했어요. 무엇을 자유롭게 하든 다 잘 받아주셨거든요. 이 작품의 또 다른 매력은 등장인물 모두의 이야기가 섬세하게 다뤄졌다는 거예요. 태풍이와 미선이가 조금 끌고 나가는 정도랄까요.

촬영장으로 향하기 전 나만의 루틴이 있다면
우선 샤워하고, 순서대로 스킨과 로션을 바르고, 영양제를 먹고, 출발 10분 전에는 무조건 현관 앞에서 선풍기 바람을 쐬고, 부모님의 배웅을 받아요. 그리고 현장으로 향하는 차에서는 괄사를 합니다. 식물처럼 가만히 누워서요(웃음).
참 다정한 가족이군요. <태풍상사>에는 ‘태풍 정신’이 있다는데, 이 작품을 통과한 김민하가 정의하는 ‘태풍정신’은 무엇인가요
격동의 시대잖아요. 많은 일이 있었지만 거기에는 소망과 희망, 빛이 매달려 있어요. 사람들 모두 힘을 합치고 또 다른 시작을 다짐하면서 다시 ‘잘 살아보자’고 얘기하는, 그런 정신과 의지가 있죠. 태풍이와 미선이도 ‘오뚝이’ 같아요. 문득 연기하면서 느꼈는데, 두 사람은 너무 예쁘고 사랑스러워요. 힘들면 힘들다고 투덜대고, 그럼에도 내일 다시 일어나 또 나아가고, 기쁘면 기뻐하고 슬프면 슬퍼하죠. 이렇게 투명한 구석이 정말 ‘청춘’이구나 싶었어요.

니트 톱과 베스트, 허리에 두른 코트, 두건 모자는 모두 The Row.
요즘은 그런 투명함을 숨기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있잖아요. 민하 씨는 어때요
담담한 편이라 슬픔과 기쁨을 겉으로 크게 드러내지 않아요. 그래도 흔들릴 때는 있죠. 예전에는 그걸 숨기기 바빴던 것 같아요. 하지만 이게 나를 포함한 모두에게 건강하지 않다는 걸 어느 순간 깨닫고는 솔직하게 말하기 시작했어요. “나도 좀 힘든 것 같아.” 너무 좋다고, 행복하다고 말하는 것도 마찬가지예요. 점점 표현하는 걸 배워 나가고 있어요.
‘민하 정신’이 있다면? 태풍이 와도 버틸 수 있는 김민하만의 힘은
확실히 있습니다. 늘 느끼지만, 사랑이 가장 큰 버팀목이에요. 가족들의 사랑, 친구들의 사랑 그리고 나를 사랑하는 사랑. 너무 힘들어서 넘어질 때도, 괜찮지 않을 때도 저를 잡아주고, 사랑해 주면 저는 금방 다시 일어납니다.

메탈릭 롱 드레스는 Jaden Cho.

<파친코>를 통해 슬픈 시대를 연기하기도 했고, <조명가게>에서는 영혼 같은 존재들과 호흡하기도 했지만, 창작자들은 당신에게서 어떤 ‘밝음’을 발견하는 것 같습니다. <내가 죽기 일주일 전>의 장인정 작가가 선자를 보고 희완을 떠올린 것처럼
하다 보니 그런 걸 많이 하게 됐는데 그런 이야기에 매력을 느끼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 희망과 밝음이 좋아요. 일상에서도 희망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그게 없다면 앞이 깜깜할 것 같더라고요.

시폰 드레스와 하네스, 손에 든 페이크 퍼 액세서리는 모두 Simone Rocha.

보통 감독이나 작가들은 당신을 처음 보거나, 캐스팅했을 때 어떤 면을 봤다고 하던가요? 스스로 말하긴 쑥쓰럽겠지만
제가 들었던 말 중에 가장 인상 깊었던 건 “민하를 보면 대체 몇 살인지 모르겠어”라는 말. 어떤 나이인지도 모르겠고, 어디에 사는지, 가끔 무슨 생각을 하는지도 모르겠다는 말이 좋았어요.

코튼 셔츠와 미디스커트, 드롭 이어링, 레더 펌프스는 모두 Prada. 타이츠는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배우로서 요즘 어떤 이야기에 관심이 가나요
많은 이야기를 좋아하지만, 유독 ‘소근소근’거리는 것들이 좋아요. 내면의 이야기들에 조금 더 관심이 가고, 여전히 하고 싶은 이야기도, 연기해 보고 싶은 인물도 많아서 탈입니다.

이브닝드레스와 해바라기 모티프의 이어링과 링, 포인티드 토 레이스업 부츠는 모두 McQueen.

사랑이 동력이라는 김민하가 사랑하는 자신의 모습은
마음에 안 드는 부분도 많지만, 저는 제 투명함을 좋아해요. 솔직한 것과는 달라요. 보이는 그대로 바라보고, 있는 것 그대로 생각하는 것. 그런 면을 지녀서 다행이에요.
Credit
- 패션 에디터 김명민 / 피처 에디터 전혜진
- 스타일리스트 김소정
- 헤어 스타일리스트 장혜연
- 메이크업 아티스트 황희정
- 아트 디자이너 강연수
- 디지털 디자이너 김민지
- 어시스턴트 임주원
엘르 비디오
엘르와 만난 스타들의 더 많은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