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아침 김조은, 기억을 그리는 사람
고통, 돌봄, 사랑. 아침 김조은이 생생하고 내밀한 기억을 꺼내어 그리는 이유에 대하여.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Next Time’
브루클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귀국해 여는 첫 개인전 <최소침습>은 글래드스톤이 선보이는 최초의 한국인 작가 전시이기도 하다. 감회가 새롭겠다 아직도 꿈같다. 어제 오프닝 행사를 치렀고, 오늘 인터뷰를 하고 있지만 여전히 현실감이 없다. ‘최소침습’은 본래 신체적 위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외과 수술 용어가 아닌가. 실제 경험에서 나온 제목인지 재작년 겨울에 수술을 받았다. 병명은 호두까기 증후군. 당시 받은 수술법이 최소침습인데, 이 단어의 의미가 나라는 사람과 굉장히 맞닿아 있다. 일종의 인생관이랄까. 나는 표면에는 아주 작은 흔적을 남기지만, 실은 깊게 들어가는 사람이고 싶다. 밀도 높고 효율적인 사람. 최소한으로 자신을 드러내길 바라면서도 누군가의 기억에 강렬하게 남는. <최소침습> 프로젝트는 한자 뜻에 따라 ‘최最/소小/침侵/습襲’ 네 장으로 나뉜다. 귀국해 처음 선보이는 전시에서는 ‘작음’ ‘적음’ 등에 주목한, 그중 가장 아름다운 챕터인 ‘소小’만 펼쳤다. 고통, 돌봄, 사랑 등 다층적인 복잡성을 수반하고 개인사에 기반을 둔 기억을 가시화했다. 투명감마저 느껴지는 작품에선 어떤 낭만이 풍기는 것 같다. 프로젝트의 다른 챕터에는 편지 형식의 글도 포함돼 있다고 수술해 주신 선생님이자 최소침습술의 대가인 의사의 성이 ‘홍’이어서 닥터 H에게 쓴, 절대 보낼 수 없는 편지로 볼 수 있다. 누구나 그렇지 않나. 살면서 경험하는 대부분의 실제 상황에서는 진짜 내 사정을 말할 수 없는 법이다. 의사 앞에 누운 나라는 환자도 마찬가지였다. 구구절절 털어놓고 싶었던 말들, 하지만 입 밖으로 꺼내지 않았던 이야기를 가장 아름다운 형태로 하면 어떤 모습일까 생각한 데서 이 작업이 시작됐다.

하이퍼판타지아를 지닌 입장에선 어떤 레퍼런스도 보지 않기로 한 결심을 이행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어떤 욕망이 그런 작업을 촉발한 걸까 떠오른 것을 빨리 그려야겠다는 거의 신경증적인 욕망. 지금 이것을 기억하고, 그려내지 않으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그림으로 남긴 기억, 그런 장면을 만드는 일이 내가 가진 ‘슈퍼 파워’다. 나는 살면서 예술을 하는 게 아니고 예술을 하면서 가끔씩 사는 것 같다. 작업하러 갈 때도 작업 외엔 무엇도 하지 않는다. 정말로 가만히 있는다. 머릿속으로 끊임없이 시뮬레이션하면서. 오롯이 기억으로 구현하는 작업을 위해 필요한 환경 요건도 있을지 고립된 환경을 만든다. TV도 없고 아무것도 없는 방에 나와 침대, 고양이 그리고 내 그림뿐이다. 모든 것을 덜어낸 환경에서 밀도 높은 작업을 하고 싶어서다. 기억 혹은 머릿속에 있던 장면을 실크라는 투명감 있는 재료 위에 표현해 초현실적인 느낌마저 든다. 이 역시 당신의 모든 기억이나 생각을 관통하는 부분인가 나는 이 전시도 브로슈어가 출력돼 나올 때까지 혹시 내가 상상하는 일이 아닐까 했다. 내 상상이 워낙 현실적이고 생생해서 실제 현실과 경계가 모호할 때가 있다.

‘Unshoved’

‘Smiles from Kloster Mariastein’
Credit
- 에디터 이경진
- 사진가 양중산
- 아트 디자이너 김민정
- 디지털 디자이너 정혜림
- COURTESY OF JOEUN KIM AATCHIM
- COURTESY OF GLADSTONE
엘르 비디오
엘르와 만난 스타들의 더 많은 이야기.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