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선일까, 유리일까? 불어서 만든 의자가 등장했다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TAR

풍선일까, 유리일까? 불어서 만든 의자가 등장했다

보기만 해도 기분 좋아지는 양승진의 가구들.

이경진 BY 이경진 2022.04.21
 
유리인가, 풍선인가 하는 마음에 당장 만져보고 싶어요. ‘블로잉(Blowing)’ 시리즈는 어떤 아이디어에서 시작했나요
대학교를 졸업하고 여러 가지 일을 하다가 에폭시 레진 연구를 하게 됐어요. 다양한 방식으로 테스트해 봤는데, 어느 날 풍선에도 에폭시 레진을 발라보고 싶었죠. 바로 실행에 옮겼고, 느낌이 좋았습니다. 이후 계속 발전시켜 왔어요. 처음에는 조명을 만들었고, 차차 스툴과 암체어까지 만들게 됐어요.
 
가볍고 투명한 느낌이 매력적이에요. 그럼에도 사람이 앉을 만큼 견고하죠. ‘블로잉’ 시리즈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가장 도전적이었던 순간은
조명을 만들고 스툴 제작에 나섰을 때요. 조명보다 견고하게 만들면 스툴 작업도 가능할 거라는 지점을 설정했는데, 정말 스툴 작업에 성공했을 때요. 실제로 사람이 앉을 수 있게 되면서 ‘블로잉’ 시리즈가 다시 시작됐어요.
 
‘블로잉’ 시리즈 제작 과정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즐기는 단계가 있다면
풍선을 불어 모양을 만들고 에폭시 레진을 여러 번 발라 형태를 잡는 작업입니다. 매일 작업하다 보니 항상 즐기는 마음으로 작업하기 쉽지는 않아요(웃음). 다만 같은 ‘블로잉’ 시리즈더라도 새로운 형태나 색상으로 제작할 땐 여전히 즐겁죠. 
 
홍익대학교에서 금속조형 디자인을 공부했어요. ‘불어서 만든다’는 ‘블로잉’ 시리즈의 작업방식은 금속조형 방법과 거리가 있습니다. 두드리거나 찍거나 자르지 않으니까요
제가 ‘블로잉’ 시리즈에 매력을 느낀 이유이기도 해요. 가구를 만드는 색다른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이 방식으로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와 색감이 있다는 사실이 즐겁고, 큰 성취감을 느껴요.

 
금속조형 디자인 학부 시절에도 가구 만드는 일에 흥미가 있었던 것으로 압니다.
어린 시절부터 손으로 만드는 걸 좋아했어요. 학부 때는 의자와 수레를 결합한 작품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평소에는 의자로 앉을 수 있고 그것을 접으면 수레가 되는 형태였죠. 졸업 전시에는 알루미늄을 사용해 다양한 가구를 만들었어요. 알루미늄 용접 비드를 살려 작업했죠.
 
양승진의 작업세계를 하나의 키워드로 표현한다면
비주얼 쇼크. 새로운 형태를 찾는 일이 제겐 제일 중요합니다. 새로운 색감을 찾는 여정 역시 흥미로운 일이죠.
 
지금 당신의 일상을 채우는 것들
작업 외의 삶은 단조로운 편이에요. 주변 친구들과 어울려 놀거나 축구, 수영, 골프 등을 즐기죠. 그런 일상적인 것에서 작업의 영감 혹은 에너지를 얻는 것 같아요.
 
일상의 익숙함에서 새로운 즐거움을 찾아내는 법은
많이 시도해 봅니다. 생각만 하지 않고 시도 해보면 오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래야 새로운 걸 볼 수 있죠.
 
‘블로잉’ 시리즈가 놓였으면 하는 공간을 하나 꼽아본다면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박물관에 놓여 있으면 좋겠습니다.

Keyword

Credit

    에디터 이경진
    사진 COURTESY OF YANG SEUNG JIN
    디자인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