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세한 여름옷 늘 새옷처럼 보이게 빠는 법_선배's 어드바이스 #70 || 엘르코리아 (ELLE KOREA)
FASHION

섬세한 여름옷 늘 새옷처럼 보이게 빠는 법_선배's 어드바이스 #70

몇 번만 입어도 후줄근해지는 여름 옷, 그게 다 잘못한 빨래 때문이라고?

송예인 BY 송예인 2021.06.21

눈부시게 흰 옷은 여름의 작은 사치

사진 언스플래시

사진 언스플래시

염료가 비싸서라는 설도 있지만 한민족이 예로부터 흰 옷을 좋아했다는 기록은 사서 여기저기에 남아 있다. 중국 〈수서〉, 〈당서〉에 이미 신라 사람은 흰옷을 좋아한다는 대목이 있고, 조선 세종·성종 때 학자 서거정(1420~1488)은 〈필원잡기〉에서 고려 충렬왕 때 태사국이 오행을 언급하며 흰옷을 입는 걸 금하기를 주청했다고 썼다. 조선시대에도 갖가지 이유를 들어 여러 차례 흰옷을 금하려 했지만 민간에서의 인기는 도저히 막을 수 없어서 빨래하는 아낙들은 잿물을 만들고 옷이 눈처럼 희게 될 때까지 표백하는 노동까지 더해야 했다. 한민족은 아시아에서도 평균 피부 톤이 가장 밝은 그룹인데, 흰색을 입었을 때 환하게 안색이 사는 효과 때문에 위법과 노고를 감수하면서까지 고수하지 않았나 싶다.
 
 
 드미어 점프 수트 - 폴리에스터와 면에 리넨 약간이 혼방된 소재라 흰색이지만 실용적인 편.

드미어 점프 수트 - 폴리에스터와 면에 리넨 약간이 혼방된 소재라 흰색이지만 실용적인 편.

현재도 눈부신 흰옷은 여름의 소소한 사치 같은 것이다. 빙수, 떡볶이 등 간식 먹을 때 아주 조심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튀어 버리고, 땀 흘린 줄 모르고 며칠만 빨래 바구니에 둬도 섬유 깊숙이 누런 얼룩이 파고든다. 실수로 묻은 얼룩은 즉시 화장실에 가서 그 부분만 빨고, 특히 화장품 같은 지용성이면 비누나 핸드 워시로 지워야 한다. 순면, T/C 같은 알칼리에 강한 소재면 이후 집에 와서 산소계 표백제나 과탄산나트륨을 녹인 50도 이상의 뜨거운 물에 20분 정도 담가 표백한 후 미온수에 가루 세제나 약알칼리성액체세제(세탁력을 강조하는 액체 세제)로 빤다. 염소계 표백제인 락스를 쓰려면 먼저 빨래를 한 후 찬물에 정량을 희석해 10~20분 담그고 헹궈 건조한다. 흰 셔츠라면 칼라와 소매에 전용 세제를 먼저 바르고 한동안 방치하거나 표백 비누로 애벌빨래 후 세탁기에 넣는 걸 습관화하는 게 좋다. 찌든 때가 누렇게 변색하는 걸 막을 수 있다.
 
비트 화이트 플러스 - 흰옷을 더 하얗게 빨아 주는 효소가 든 액체 세제.유한락스 흰옷 표백 - 황변 현상을 방지하는 흰옷 표백 전용 락스.
 

청량감의 상징, 리넨 소재는 섬유 유연제 없이 물빨래

사진 언스플래시

사진 언스플래시

최고의 흡습성과 청량감으로 여름 하면 떠오르는 섬유 리넨, 과거엔 전문점에서 취급할 만큼 흔하지 않은 소재였지만 요즘은 SPA 브랜드들에서도 쉽게 리넨 100% 또는 혼방 소재 제품을 살 수 있다. 왠지 관리가 까다로울 것 같지만 몇 가지만 익혀 두면 평생 여름마다 입을 수 있는 좋은 소재기도 하다.
 
리넨은 기본적으로 물과 친한 섬유라 드라이클리닝이 필요 없다. 약알칼리성인 일반 액체 세제로 빨아도 큰 문제는 없지만, 자칫 너무 거칠어지거나 줄어든 느낌이 날 수 있어 중성, 약산성 세제가 안전하다. 단, 울 전용 중성세제가 아닌 일반 빨래용 액체 세제인데 액성이 중성, 약산성이라고 표기된 게 좋다. 세탁기 수류 역시 너무 강력하지 않은 코스를 선택한다. 물은 미온수인 40도나 여름철 수돗물 정도가 좋고 건조기로 말릴 때도 저온이어야 한다. 잘못 빨아 리넨 옷이 확 줄었으면 섬유 사이 공간 문제라서 다시 물에 담가뒀다 가볍게 물을 짠 후 잘 털어서 말린 후 입으면서 어느 정도 다시 늘릴 수 있다. 다림질은 물기가 다 마르지 않았을 때 중간 온도로 한다. 흰색, 밝은색은 표백도 가능하지만 뻣뻣해지는 것과 물이 약간 빠지는 건 감수해야 한다.
 
쟈딕앤볼테르 해피 캡슐 컬렉션 - 리넨, 모달, 리오셀 혼방이라 부드럽고 시원한 티셔츠. 빌려쓰는 지구 세탁세제 - 드물게 약산성이라 섬유에도 순한 세탁세제. 바이오 플라스틱을 사용했고 라벨 분리가 쉽다.
 
 
 

얇고 하늘하늘한 옷, 소재는 다 다를 수 있다

사진 언스플래시

사진 언스플래시

 
여름 옷 중엔 얇고 하늘하늘한 소재가 참 많은데 소재는 서로 전혀 다른 것일 수 있다. 저가라면 폴리에스터일 확률이 높다. 입어 보면 통풍이 잘 안 되고 달라붙는 경향이 있다. 섬유 자체는 튼튼하지만 얇게 짠 직물이면 세탁 마찰에 찢어질 수 있어서 아주 약한 수류로 빨거나 세탁 망에 넣어 일반 세제로 빨면 된다. 단, 열에 약하니 물과 건조기, 다림질 모두 고온을 피한다. 중가라면 비스코스, 모달 같은 재생섬유일 수 있는데 비스코스면 물에 젖었을 때 강도가 확 떨어진다. 드라이클리닝하거나 세탁 망에 넣어 아주 약하게 빨아야 한다. 고가라면 시폰, 오간자 같은 실크일 확률이 높은데 물세탁이 매우 까다롭다. 손빨래, 섬세한 섬유용 중성세제로 조심스럽게 빤다 해도 자칫 뻣뻣해지거나 광택을 잃을 수 있으니 드라이클리닝 맡기는 게 가장 안전한 방법. 둘 이상을 혼방한 소재도 많은데 더 약한 쪽 세탁법을 따른다. 무엇보다 섬유 조성과 세탁 표시를 먼저 확인하고 그대로 따르는 게 좋다.  
 
자라 새틴 원피스 - 비스코스와 폴리에스터 혼방으로 얇고 하늘하늘하며 은은한 광택이 나는 소재.런드레스 델리케이트 워시 - 실크를 비롯 섬세한 소재를 빨 수 있으며 기존 세제 대비 2~3배 고농축이다.
 
 

화려한 무늬 있는 옷은 부위별로 세탁법을 다르게

사진 언스플래시

사진 언스플래시

물세탁이 가능하면서 색이 진한 옷은 색을 보호해 주는 액체 세제로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빨면 되지만 진한 색과 밝은색이 어울린 무늬 옷은 세탁법이 복잡해진다. 대표적인 게 여름의 상징인 보더 스트라이프 티셔츠. 마린 풍이라 시원한 느낌이 들어 나 역시 즐겨 입는데 약알칼리성에 표백 기능까지 있는 강력한 세제로 빨면 흰 부분은 깨끗해지지만 진한 색 무늬 부분이 바래기 쉽고, 중성세제로 빨면 흰 부분이 새하얗게 되지 않는다.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옷이면 목 둘레와 겨드랑이처럼 땀 얼룩이 생기기 쉬운 부분을 세제 소량이나 세탁비누로 애벌 빨래한 후 염색 보호 기능이 있으면서 세탁력도 어느 정도 강한 액체 세제로 전체를 빠는 게 최선책. 세제를 많이 쓰는 사람이 대부분인데 그러면 섬유가 손상되거나 탈색이 일어나기 쉬워서 표기된 정량을 쓰는 게 아주 중요하다.
 
아미 하트 컬렉션 - 빨강 하트가 들어간 경쾌한 컬렉션으로 매일 입을 수 있는 티셔츠 위주.퍼실 딥클린 컬러젤 - 이염 방지제가 들어 짙은 색 옷이나 무늬의 물빠짐을 방지해 주며 각종 효소로 세탁력도 강력하다.
 
 
*지금 반드시 알아야 하는 뷰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그리고 생활의 지혜까지, '선배' s 어드바이스'는 매주 월요일 업데이트됩니다. 
 
.

.

선배's 어드바이스 더 보기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