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한 보통학교, 서울서진학교
학교는 기존의 공진초등학교 교사동을 일부 이용한 증축과 신축을 통해 완성됐다. 학교 전체를 중정을 갖는 ‘ㅁ’ 자로 계획해 순환형 동선을 만들고, 중정에는 북 카페를 두어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이 함께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수직적으로 두 개의 층이 열려 있는 오프닝, 천창을 만들어 특별한 공간감을 자아낸 북 카페 등으로 학생들의 거리를 충분히 배려하는 동시에 학년과 발달 정도가 다른 학생들이 시선과 경험을 주고받으며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했다. 북 카페는 동서 방향으로 건물의 주 진입로와 운동장을 이으며, 남북으로는 접이식 문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확장된다. 중정의 외부 공간에는 저학년부터 고학년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마감재와 구조물의 높이, 형태 등을 세세하게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비밀의 정원 같은 중정.

일반 학교의 2배 정도로 넓은 폭(약 4.5m)의 복도.

교실 외의 공간에서 벌어지는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담는 POD 공간이 층당 두 개씩 있다.
흘러내린 도서관, 서울 신목고등학교 S라이브러리
도서관 외부의 흘러내린 벽은 학생들의 야외활동이 이뤄지는 유동적인 공간이다. 운동장으로 흘러내린 벽이 땅과 만나는 경계에는 학생들이 앉을 수 있는 40m 길이의 벤치가 형성됐다. 측면으로 길게 흘러내린 벽에 만들어진 입체적인 스탠드는 동아리 활동과 작은 공연 등 자기 주도적인 야외활동이 가능한 장소가 됐다. “우리가 경험한 학교 건축은 운동장을 면한 외부 공간도 상당히 권위적이었습니다. 높은 스탠드와 조례대, 운동장 사이의 명확한 경계를 흐리는 개념을 적용하려고 했어요.” 도서관 내부 역시 흘러내린다. 기존의 학습동부터 연결된 다리를 통해 진입하면 학생들은 도서관 1층에서 1층 열람실로 연결되는 계단식 서가를 통해 흘러내려오듯 이동하게 된다. 도서관 내부의 계단식 서가와 벽면 서가를 최대한 활용해 도서를 수납하고 건물 중앙부는 비웠다. 책이 아닌 학생이 주인공인 공간이다.

도서는 계단식 서가 한 편에 수납하고, 학생들이 앉아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계단이 중앙부에 놓였다.

도서는 계단식 서가 한 편에 수납하고, 학생들이 앉아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계단이 중앙부에 놓였다.

도서관 외부의 흘러내린 벽은 운동장으로 이어진다.
작은 나무 교실, 용암초등학교 숲속 공방
용암초등학교 숲속 공방은 용암초등학교 건물 외부에 지어졌다. 학생과 부모, 주변의 이웃을 연결하는 작은 나무집이다. 학교에서 공방이라는 한 가지 기능만 수행하는 별도 건축물을 목구조로 짓겠다는 시도는 새로웠고, 턱없이 부족한 예산은 난관이었다. 박스형 공간을 만들면 예산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겠지만 설계를 맡은 ‘조호건축’은 학생들을 위한 창의적인 공간을 완성하기 위해 제약을 해결하는 데 집중했다. “학교는 유년기의 추억과 감성이 이뤄지는 공간이에요. 아이들의 감성적인 성장을 일궈낼 수 있어야 하죠. 교실의 냄새와 책상의 촉감, 운동장의 흙먼지 등 학교에서 얻는 모든 감각적 경험은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쳐요. 이에 대한 고민이 학교 건축의 토대가 돼야 한다고 생각해요. 건축가는 좋은 공간을 조금 더 친절하게 만들어야 하고요. 학교를 설계하는 모든 건축가는 학생들에게 좋은 감성을 체험하게 할 의무가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학생들과 지역민을 위한 목공소로 지어진 숲속 공방은 용암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지역 주민들과 함께 융합하는 공간으로 활약 중이다.

용암초등학교 본관과 떨어진 외부 공간에 자리 잡은 숲 속 공방. 주변과 단절되어온 학교 건축의 틀을 깨고 지역 주민과 소통하는 장소다.

실내공간을 이루는 마감재와 집기들의 대부분은 나무와 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