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핫한 반려동물 인테리어 #펫테리어 || 엘르코리아 (ELLE KOREA)
DECOR

요즘 핫한 반려동물 인테리어 #펫테리어

귀여운 생명체가 우리 집을 침공했다. 사랑스러운 침략자들에게 기꺼이 빼앗겨버린 공간을 보며 얻은, 함께 사는 방법.

ELLE BY ELLE 2021.05.16
 

비밀의 문

경기도 용인의 한 단독주택에는 닫힌 문의 뒤편을 늘 궁금해하는 호기심 많은 고양이 두 마리가 산다. 힘껏 점프한 뒤 손잡이를 돌려 기어코 문을 열 거나, 열 수 없는 문을 만나면 그 앞에서 큰 소리로 시위하곤 했던 고양이들. 부부는 주택을 설계하며 고양이들이 집 안 모든 공간을 누빌 수 있도록 과감히 방문을 없애기로 결심했다. 이 집의 유일한 방이 된 안방에만 이동에 방해되지 않는 고양이 문을 설치한 정도. 패브릭과 가죽 소재의 가구는 배제하고, 스크래치가 생겨도 수리가 쉽고 털이 잘 붙지 않는 나무 가구로 곳곳을 채웠다. 아파트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작은 곤충과 새가 놀러 오면 고양이들은 볕 아래에 앉아 그 모습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고양이들이 우당탕 뛰어다니는 소리가 참 즐겁게 들려요. 그 소리를 듣는 것 자체가 힐링이에요.” @ da_illy_co
캣 문, 캣 타워를 포함한 가구들은 공방을 함께 운영하는 가구점에 제작 의뢰했다. 모두 애시 무늬목 소재. 
 

반려의 정원 

햇살 명당에 자리한 집은 바람이 불면 꽃과 풀 향기가 은은하게 퍼진다. 산책할 때 꽃만 보면 달려가 킁킁 냄새를 맡는 강아지가 자기만의 공간에서도 꽃과 풀 향기를 듬뿍 맡을 수 있도록 꾸민 곳. ‘산소탱크’라는 별명의 휘카스 움베르타 나무 옆은 강아지의 최애 낮잠 스폿이다. 계절마다 바뀌는 꽃과 그 시간만큼 성장한 강아지의 잠든 모습을 바라보는 게 가장 큰 행복이다. 강아지는 자신의 삼각형 집 안에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소중한 물건을 잔뜩 모아두는데, 반려자의 양말 한 짝이나 머리 끈이 자주 발견된다고. “강아지가 저를 생각하며 모아둔 것을 보면 뭉클해요.

매 순간 아낌없이 사랑해 줄 거예요.” @ bichon_holy
강아지 집은 노이오. 밥그릇은 스몰스터프. 스피커는 제네바. 장 스탠드는 포라이트. 
 

라탄 랜드

고즈넉한 단독주택. 고양이 3남매의 공통취미는 함께 몰려다니며 ‘우다다다’ 발자국 소리를 내는 것이다. 아파트에 거주하던 시절, 층간 소음이 늘 걱정이던 부부는 2세와 고양이들이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집을 꾸리기로 했다. 획일화된 구조에서 벗어나 온전히 가족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주택을 짓기로 마음먹은 이들은 해외 ‘펫테리어’ 자료를 참고해 멋진 집을 완성했다. 일반 아파트에서는 보기 힘든 튼튼한 캣 워커를 설치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라탄 소재의 펫 하우스를 각각 선물했다. 벽면에는 3남매를 똑 닮은 고양이 민화도 붙여두었다. 고양이들은 높고 너른 공간을 실컷 누비며 행복을 만끽한다. “우리만을 위해 지어진, 세상에서 하나뿐인 특별한 집이기에 일상의 모든 순간이 소중해요.” @gamseongbubu
원목 소재의 캣 워커는 주택 시공 당시 함께 설치했다. 라탄 등은 까유. 민화 포스터는 루씨손의 작품. 라탄 소재 고양이 집과 수초 러그는 모두 감성부부마켓.
 

미스터 선샤인 

햇살과 창밖 풍경을 좋아하는 두 마리 고양이는 심심하면 아파트 발코니로 놀러 가곤 했다. 반려자는 발코니 한쪽을 기꺼이 그들만을 위한 공간으로 내주었다. 시원한 원목 소재의 조립 마루를 깔고, 편하게 뒹굴 수 있는 라탄 소재의 스툴도 선물했다. 이 공간에서 여전히 틈만 나면 바깥세상 구경에 여념 없는 고양이들. 오래된 아파트라 창밖에는 오랜 세월을 견딘 크고 튼튼한 수목이 우거진다. 계절마다 거실 한가득 펼쳐지는 다채로운 풍경. “햇살 가득 맑은 날 저는 발코니에서 커피를 마시고, 고양이들은 햇빛 아래서 낮잠에 빠져요. 그 평화롭고 한적한 오후가 삶의 원동력이 되는 순간이에요.” @regina_diseno
원형 식탁은 데코룸. 의자는 마켓비. 스크래처는 모두 캣모나이트.


프라이빗  레스토랑

경기도 분당의 어느 빌라에서는 포메라니안 네 자매가 매일 투닥거린다. 자율 배식을 하던 세 자매에게 덩치 큰 막내가 찾아오면서 서로 견제하느라 무질서에 빠진 식사 시간. 그래서 각자의 식사 공간을 만들어주기로 결심했다. 쓰던 가구를 개조하거나 기성품을 구입할까도 고려했지만 영 내키지 않았다. 쉽게 그릇을 내려두려면 윗부분이 뚫려 있어야 했고, 유연한 공간 분리를 위해 여닫이문도 필요했다. 여러 공방을 수소문해 마음에 드는 디자인 숍을 찾고, 몇 주간 사이즈와 컬러를 고심한 끝에 탄생한 ‘프라이빗 맛집’. 이제 밥때가 되면 강아지들은 제자리를 알아서 찾아와 기다린다. 제 몫의 식사를 마치면 옆 식당 메뉴를 호기심에 흘깃 쳐다보기도. “이곳에서 맛있는 밥을 맘 편히 먹는 모습이 더할 나위 없는 행복감을 줘요. 앞으로도 이 식당에서 맛있는 거 먹으며 모두 건강하게 지내길 바라요.” @celceri
블루와 레드 컬러의 밥그릇과 나무 받침대는 브릿지독. 직접 주문 제작한 강아지 식당은 소나무와 자작나무 혼합 소재로 벤저민 무어의 친환경 페인트로 마감했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