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검에도 등장! 딥페이크란?
」딥페이크로 만든 킴 카다시안 영상. 영상 속에서 그가 말한 내용은 모두 만들어진 것으로 실제로 한 말과 행동이 아닙니다.
딥페이크는 ‘딥러닝’과 ‘페이크’ 단어를 합친 말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영상 편집 기술의 일종입니다. 사람 얼굴 위에 컴퓨터 그래픽이나 다른 얼굴 이미지를 덧씌워 합성한 영상이 이에 해당하죠. 이전에도 이런 합성은 가능했지만, 프레임 하나하나 수작업을 거쳐야 하는 등 여러 제약이 뒤따랐습니다. 반면 딥페이크는 AI가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분석한 뒤 영상에 적용하기 때문에 더 정교하고 빠르게 합성이 가능하죠. ‘딥페이스랩’ ‘페이크앱’ 등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앱도 있어 일반인들도 손쉽게 이 기술을 접할 수 있습니다.
(스포주의!) 최근 방영된 ‘맨돌로리안(Mandalorian)’ 중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해 등장시킨 루크 스카이워커의 모습
이를 이용해 이미 세상을 떠난 배우의 얼굴을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시키거나 여러 합성 패러디물, 밈을 만드는 등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어요. 디즈니는 이미 메가 픽셀급의 딥페이크 영상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진짜와 가짜가 구분이 어려울 만큼 해상도도 높고 정교하기 때문에 상업용 영화에 보편적으로 사용하게 될 날이 머지않아 보입니다.
딥페이크를 이용한 뮤직비디오
딥페이크를 더 진짜처럼 만드는 ‘딥보이스’
」딥페이크가 영상 합성이라면, ‘딥보이스’는 음성 합성 기술입니다. 유명인의 음성을 이용해 오디오북을 만들고 내비게이션 음성으로 사용하는 등 ‘딥보이스’는 이미 일상생활에서 아주 흔하게 찾아볼 수 있죠. 딥페이크와 마찬가지로 ‘딥러닝’을 적용해 더 빠르고 정교하게 음성을 합성합니다.
음성합성시스템(TTS, Text-to-Speech)
」딥보이스, 딥페이크를 모두 가능하게 하는 ‘딥러닝’
」
Elyse Samuels/The Washington Post via Getty Images
딥페이크 음란물
」현재 뜨거운 감자인 여성 연예인의 딥페이크 음란물 처벌 청원인은 이렇게 설명합니다. “딥페이크는 엄연한 성폭력이다. 여성 연예인들이 성적 범죄 행위의 피해자가 됐을 뿐만 아니라 불법으로 해당 딥페이크 영상이 판매되기도 한다” “피해자인 여성 연예인들의 영상은 각종 SNS에 유포돼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으며, 성희롱, 능욕 등 악성 댓글로 고통받고 있다”
이미 몇 년째 고군분투하고 있던 ‘딥페이크 음란물 처벌’이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른 만큼 관련 영상 유포자 및 시청자의 처벌 방안이 시급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