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르보이스] 섹스가 '전복적'이라는 착각

광고, 공간을 통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김진아가 본 연말 이색 풍경.

12월의 이태원은 거리 전체가 클럽 같다. 6년째 이 동네에 살면서 체감한 것이다. 연말이 다가오면 더욱 간절히 상대를 찾아 헤매는 이른바 짝짓기 문화로 인한 ‘클럽 특수’라고나 할까. <러브 액츄얼리> <로맨틱 홀리데이> 이후 크리스마스에 러브도 로맨스도 없는 ‘혼자’는 ‘환자’처럼 안쓰러운 상태가 돼버렸다. 평소엔 운동 커뮤니티, 북 클럽 등에서 신중하게 상대를 고르던 여자들도 덩달아 조급해진다. 머라이어 캐리의 크리스마스캐럴이 ‘All I want for Christmas is Sex’로 들리기라도 하는 걸까? 데이팅 앱 스크롤을 부지런히 내리는 모습에서는 어떤 필사적임마저 느껴진다.
얼마 전 박나래의 스탠드업 코미디 <농염주의보>가 넷플릭스에 공개됐을 때 고개를 갸웃했다. 재능 있는 여성 코미디언의 도전과 성취에 보내는 박수와 별개로 말이다. 질문은 이것이었다. ‘지금 한국에서 섹스는 과연 전복적인가?’ ‘여자에게 섹스하라는 이야기가 새롭나?’ 여자친구끼리 모이는 자리엔 이미 코미디보다 더 웃기고 황당한 ‘망한 섹스 썰’이 넘쳐난다. <섹스 앤 더 시티>가 고전이 된 지는 오래다. 온갖 인터넷 커뮤니티도 마찬가지. 이번 연말이 지나면 클럽에서, 틴더에서 만난 국경을 뛰어넘는 원 나잇 스토리가 또 수북하게 쌓일 것이다. 요즘 시대에 ‘여자도 섹스할 자유가 있다’는 말은 ‘여자는 꾸밀 자유가 있다’는 말처럼 감흥이 없다. 예전에는 미니스커트가 저항이고 섹스가 해방이었지만 지금은? “미역도 섹스를 한대….” 몇 년 전 케이블TV에서 방영됐던 드라마 속 대사다. 뒤에 생략된 말은 ‘섹스 안 하는 나는 인간으로서 문제가 있다’일 테다. 연애와 결혼을 안 하면 어딘가 문제 있는 취급을 받는 것처럼 이젠 섹스를 안 해도 ‘비정상’ 라벨이 은근슬쩍 붙는다. “얘도 하고 쟤도 하고 미역도 하고… 그럼 나도 해야 하는데!” 한국인을 빨리, 자발적으로 움직이게 하려면 남보다 뒤처지는 느낌을 주면 된다. 그러면 특히나 부지런한 한국 여자들은 남보다 더 잘하기 위한 노력(심지어 과감한 체위까지도!)을 아끼지 않는다. 우리는 성애 과잉 시대에 살고 있다. TV를 켜면, 유튜브를 열면, 번화가를 걸으면 온 세상이 섹스하기를 권한다. 크로스 핏을 하러 가도, 독서 토론을 하러 가서도 만나는 거의 모든 이성을 잠재적 연애 상대, 섹스 상대로 가늠해 보는 스위치가 자동으로 켜진다. 나 역시 성애적 관계에 몰두한 시간이 길었다. 인간에게 그것만 한 엔터테인먼트가 없다고 떠들었다. 하지만 돌아볼수록 의심이 든다. 정말 그랬나? 정말 섹스가 최고의 엔터테인먼트였나? 누구 하나라도 ‘우머나이저’급 쾌감을 준 적이 있었나? 여자 몸에 삽입 섹스가 안전하긴 한가? 종종 여자의 몫으로 남는 임신 부담은 어떻고? 내가 느껴온 짜릿함은 육체적 감각보다 남성을 애태우고 남성에게 욕망당하는 내 모습에 흥분한 것에 가까웠다. 어디선가 본 표정과 몸짓을 흉내 내면서. ‘쿨 걸’이라면 응당 섹스를 좋아하고 즐겨야 하니까. 그래서일까. 언제부터인가 거리의 수많은 커플을 볼 때면 ‘예수 천국 불신 지옥’을 외치는 전도사의 마이크를 빼앗아 묻고 싶다. “여성분들, 옆에 있는 남자와의 섹스가 정말 좋나요? 오르가슴을 느끼나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이 “그렇다”이기를 나는 간절히 바란다.
주로 번식기에만 교미하는 동물과 달리 인간은 정해진 구간 없이 언제 어디서든 섹스를 한다. 일부 과학자들은 섹스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장병을 예방하고, 다이어트에도 좋다며 권장한다. 하지만 여성은 자극과 번식이 필요 없다고 판단될 때, 신체적으로 부담을 느낄 때 섹스하지 않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대가 원해서, 졸라서, 관계 유지를 위해서 등의 이유로 굳이 섹스에 응할 필요는 없다. 섹스를 하지 않는다고 자괴감이나 자책감을 느낄 필요는 더더욱 없다. 결국 삽입 중심적인 섹스 문화의 수혜자는 누구인가? 우리에겐 먼저 상대를 성애 대상이 아닌 그저 사람으로, 동료 시민으로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얼마 전 림 킴이 ‘I am Unfuckable Creature’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들고 나왔을 때 탄성이 절로 나왔다. 여성을 섹스로 소비하는 세상에 한 방 먹이는 것. 지금 시대엔 이거야말로 전복적이지 않은가?
 
Writer 김진아
김진아는 광고, 공간을 통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렉터다. 책 <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를  썼다. <뉴욕 타임스>에 서울의 페미니즘 공간으로 소개된 ‘울프소셜클럽’을 운영 중이다.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구독 신청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구독 신청

관심 없이 지나쳤던 세상의 일면을 들여다볼 때, 우리가 더 강하고 흥미로운 존재가 된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나요?
소설가, 북튜버, 아나운서, 싱어송라이터까지! 격주 화요일, <엘르>가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반짝이는 이야기로 가득한 <엘르보이스> 시리즈를 보내드립니다. 재치있고 공감 넘치는 그녀들의 이야기를 메일함에서 바로 만나 보세요!


*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기사는 엘르 웹사이트 (www.elle.co.kr)에서 'ELLE 보이스'로 검색하시면 미리 맛보실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이야기들을 업데이트하여 메일로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엘르가 진행하는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