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르보이스] 여성 서사의 역습

기자이자 번역가이며 작가인 이원진은 철학이 세상을 해독하는 가장 좋은 코드라 믿는다.

“최봉기, 솔직히 대답해 줘. 내가 예쁜 편인가?” “타미, 이건 위력에 의한 답정너죠.” “예쁜 편이냐고?” “존경하는 편입니다. 존경합니다! 타미.” 언뜻 황당한 이 대사는  코미디 프로그램이 아니다. 지난 7월 종영한 드라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이하 <검블유>) 이야기다.  <검블유>는 기존의 성 역할을 반전시킨, ‘여성 오피스 누아르’다. 또 여성이 주인공인 뒤집어진 ‘호모소셜( 동성 간 강력한 유대관계를 지칭하며, 흔히 남성 집단 속 사회관계)’ 서사다. 이 드라마는 위력에 의한 미투 운동이 휩쓸고 지나간 한국, 아내도 엄마도 되지 않는 쪽을 택한 여성 캐릭터 3명(배타미, 차현, 송가경)을 위력의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다. 이들은 각기 대기업 회장, 대표이사, 본부장으로 세상을 움직이고 그 주인공 옆에는 순정파 남성들이 트로피처럼 나열된다. 세상을 움직이는 데 이성애는 중요치 않다. 이곳은 살아남기 위해 남성을 사랑해야 할 필요가 없는 청정지대다. 확신을 갖고 말하건대, 한국 드라마에서 이런 설정은 처음이다. 배타미(임수정)의 비혼주의는 일관되며, 타미와 하룻밤을 보낸 박모건(장기용)은 “이제 나 버리게요?”라고 묻고, 가경(전혜진)의 도움으로 연예인이 된 한민규(변우석)는 호스트 바 시절이 들통나자 자살을 시도한다. 과거 이런 반응은 순결 신화에 갇힌 여성의 몫이었다. 엘리베이터 성추행범은 주짓수로 단련된 차현(이다희)에게 난타당한다. 책 <여자는 인질이다>에 따르면 호신술과 자기 주장 훈련은 여자의 의식을 고양시키는 효과가 있다. 문화평론가 이승한의 말을 빌리자면 그래서 <검블유>는 ‘올해 가장 중요한 드라마’다.
물론 그래 봤자 겨우 판타지, 그것도 미래형 판타지이긴 하다. 기존 미디어의 젠더 감수성 테스트는 여전히 방어전만 치르고 있는 실정이다. 새삼스럽지만 미국 여성만화가 앨리슨 벡델이 1985년 남성 편중 서사를 계량화할 방법을 궁리해 개발한 벡델 테스트(Bechdel Test)를 거론해 보자.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한 화에서 이름을 가진 여성 캐릭터가 두 명 이상인가? 2. 이 여성끼리 한 번이라도 대화를 하는가? 3. 그 대화 속에 남자 주인공에 관한 것이 아닌, 다른 주제의 내용이 있는가? 아니, 이름이 있고, 여성끼리 대화를 하는지, 이렇게 당연한 질문이 말이 되냐고? 그러나 아직도 많은 영화의 성평등 지수는 이 벡델 테스트 기준으로 분류되며, 심지어 거대 자본이 투입된 영화일수록 테스트를 통과하기 어렵다. 세계적인 시리즈 <스타워즈> 오리지널 3부작에서 레아 공주를 제외한 여자들이 말하는 장면은 상영 시간 386분 중 63초에 불과하고, 넷플릭스 ‘띵작’이라 불리는 <블랙 미러> 시즌 4는 페미니즘 관점에 충실하지만 이 테스트에 비춰보면 아직 갈 길이 멀다. 물론 테스트의 허점도 많다. 놀랍도록 퇴행적인 여성상을 보여준 <트와일라잇>은 달랑 벨라와 엄마의 대화 장면 하나로 벡델 테스트를 통과하지만, 용감하고 똑똑하며 흥미로운 여주인공이 나오는 <그래비티>는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다. 성평등을 추구하는 연극인 단체 스핑크스도 1975년에 테스트를 만들었다. ‘무대 중앙에 여성이 있는가?’ ‘여성 캐릭터가 능동적인가?’ 등이 질문에 해당한다. 이 밖에 영화 <호빗>에 등장하는 엘프 여전사 ‘타우리엘’에서 유래한 타우리엘 테스트(Tauriel Test), 섹시한 램프 테스트(Sexy Lamp Test; 여성 등장인물을 ‘램프’로 대체해도 이야기에 지장이 없는가) 등이 있지만 어쩐지 미시적이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해어화(말은 알아듣지만 할 수는 없는 꽃)’ 테스트라고나 할까.
우리는 여성 캐릭터의 진화를 앞으로 더 세게 밀어붙여야 한다. 캐릭터와 스토리텔링, 내러티브가 상상력을 촉진하고, 그 상상력이 미래를 선점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여성 캐릭터의 가상 신체가 미디어를 넘어 남성 편향적인 현실 속에서 여성의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서서히 인식하고 있다. 실제로 가상의 여성 캐릭터는 결국 현실을 바꿔낸다. 영화 <헝거게임> 시리즈의 제니퍼 로렌스는 남성과 동등한 임금을 요구하는 ‘페이 미투(Pay Metoo)’를 제기했다. 미드 <하우스 오브 카즈>의 로빈 라이트는 동료 케빈 스페이시와 동등한 임금을 요구했으며, 케빈 스페이시가 2017년 미투 폭로로 배우로서 커리어를 마감했다는 현실은 상징적이다. 그만큼 캐릭터를 통해 언어 자본을 나눠 갖는 것은 중요하다. 머지않아 우리는 벡델 테스트 같은 젠더 감수성을 뛰어넘어 종차별주의를 벗어나야 하는 감수성의 시대로 진입할 것이다. 그때 필요한 테스트는 어떤 모습일까? 이미 <작은 아씨들> <빨간 머리 앤> <하이디> 그리고 <소공녀> 등 150년 전에 벡델 테스트를 통과한 작품들의 리스트를 참고하는 게 상상력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이원진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을 공부했고, 10년간 기자로 일했다. <니체>를 번역하고, <블랙 미러로 철학하기>를 썼다. 철학이 세상을 해독하는 가장 좋은 코드라 믿는다. 
 
* '엘르 보이스'는 지금을 사는 여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에세이입니다. 매주 목요일 업데이트!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구독 신청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구독 신청

관심 없이 지나쳤던 세상의 일면을 들여다볼 때, 우리가 더 강하고 흥미로운 존재가 된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나요?
소설가, 북튜버, 아나운서, 싱어송라이터까지! 매주 화요일, <엘르>가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반짝이는 이야기로 가득한 <엘르보이스> 시리즈를 보내드립니다. 재치있고 공감 넘치는 그녀들의 이야기를 메일함에서 바로 만나 보세요!


*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기사는 엘르 웹사이트 (www.elle.co.kr)에서 'ELLE 보이스'로 검색하시면 미리 맛보실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이야기들을 업데이트하여 메일로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엘르가 진행하는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