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콘셉트는 갖다 버려! || 엘르코리아 (ELLE KOREA)
FASHION

인테리어 콘셉트는 갖다 버려!

다양한 꿈과 관심사를 품고 유연하게 변화하는 디자이너 이레니 코시의 런던 하우스.

류가영 BY 류가영 2022.11.22
 
훌륭한 홈 오피스로도 활용되는 거실 겸 다이닝 공간. 널찍한 테이블은 바버 오스거비가 디자인한 이소콘 플러스(Isokon Plus), 테이블을 둘러싼 검은색 의자들은 아르텍 제품. 계단 근처에 놓인 한스 베그너의 라운지 체어 ‘CH25’와 베니 워레인 러그는 모두 런던 가구점 모던 웨어하우스(The Modern Warehouse)에서 구입했다. 벽에 걸린 재치 있는 그림은 런던의 페인터 닉 아처의 작품.

훌륭한 홈 오피스로도 활용되는 거실 겸 다이닝 공간. 널찍한 테이블은 바버 오스거비가 디자인한 이소콘 플러스(Isokon Plus), 테이블을 둘러싼 검은색 의자들은 아르텍 제품. 계단 근처에 놓인 한스 베그너의 라운지 체어 ‘CH25’와 베니 워레인 러그는 모두 런던 가구점 모던 웨어하우스(The Modern Warehouse)에서 구입했다. 벽에 걸린 재치 있는 그림은 런던의 페인터 닉 아처의 작품.

우아한 동시에 장난기 넘치는 집을 만들 수 있을까? 매끈한 디자인 가구가 골동품과 조화를 이루는 집은? 더블린 출신의 디자이너 이레니 코시(Irenie Cossey)는 팬데믹 동안 한층 더 창의적인 시선으로 집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밀가루를 사재기했을 때 저는 즐겨 가는 라이프스타일 숍 트웬티트웬티원에 전화를 걸어 비트라의 팁 톤 체어를 몇 개까지 주문할 수 있느냐고 물었어요. 빅토리아 시대에 지어진 이 고풍스러운 집 안 곳곳에 들여놓으려고요!” 2년 전 자신만의 디자인 스튜디오를 차린 이레니는 팬데믹이 몰고 올 주거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누구보다 발 빠르게 예측했다. ‘집’이라는 공간이 지닌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한계를 뛰어넘는 집. 가구와 인테리어가 아닌, 집주인의 개성과 취향이 중심인 공간을 창조하겠다는 마음으로 런던 북부에 자리한 오래된 집을 고쳐나갔다.
 
라프 시몬스가 디자인한 크바드랏의 장미색 벨벳 커튼을 치면 한층 아늑해지는 거실 풍경. 런던의 가구 편집 숍 SCP에서 구입한 노란색 소파와 영국 가구 디자이너 매슈 힐턴이 디자인한 암체어 ‘발자크(Ballzac)’, 덴마크 가구 디자이너 핀 율이 디자인한 암체어 ‘펠리컨(Pelican)’이 마주 보고 놓여 있다. 천장에 달린 고풍스러운 샹들리에는 워터퍼드 크리스털 제품으로 더블린 본가에서 가져온 것.

라프 시몬스가 디자인한 크바드랏의 장미색 벨벳 커튼을 치면 한층 아늑해지는 거실 풍경. 런던의 가구 편집 숍 SCP에서 구입한 노란색 소파와 영국 가구 디자이너 매슈 힐턴이 디자인한 암체어 ‘발자크(Ballzac)’, 덴마크 가구 디자이너 핀 율이 디자인한 암체어 ‘펠리컨(Pelican)’이 마주 보고 놓여 있다. 천장에 달린 고풍스러운 샹들리에는 워터퍼드 크리스털 제품으로 더블린 본가에서 가져온 것.

가장 과감한 변화는 건물의 한쪽 벽을 완전히 허물고 실내를 뒷마당까지 확장시킨 것. 주방과 다이닝 공간, 거실과 정원의 경계가 허물어진 구조는 이레니와 건축가인 남편 그리고 세 명의 아이를 아우르는 다섯 가족을 더욱 끈끈하게 교류하게 만들어준다. 창의적인 디자인을 즐기는 영국 디자인 듀오 바버 오스거비(Barber Osgerby)의 커다란 테이블이 놓인 널찍한 공간이 때에 따라 학교나 공유 오피스, 레스토랑으로 변신하면서. 이뿐 아니다. 아르텍과 비트라, 헤이 등에서 구입한 산뜻한 컬러의 소품으로 가득한 집에 차분한 색감의 아이템이 더해지며 한결 편안한 분위기가 뿜어져 나왔다. 강렬한 오렌지색 세면대 하부장이 포인트인 안방 욕실에 이레니가 디자인한 무티나(Mutina)의 차분한 녹색 타일을, 알록달록한 아이들 방에 절친한 텍스타일 디자이너 수아드 라루시(Souad Larusi)의 우아한 러그를 깔면서 벌어진 일이다.
 
아름다운 패턴의 수아드 라루시 러그로 포근함을 더한 안방은 꼭대기 층에 자리하고 있다. 목재 침대와 화장대, 책상 모두 빈티지 제품. 천장에 달린 펜던트 조명 ‘버블(Bubble)’은 조지 넬슨이 디자인한 헤르만 밀러 제품이다.

아름다운 패턴의 수아드 라루시 러그로 포근함을 더한 안방은 꼭대기 층에 자리하고 있다. 목재 침대와 화장대, 책상 모두 빈티지 제품. 천장에 달린 펜던트 조명 ‘버블(Bubble)’은 조지 넬슨이 디자인한 헤르만 밀러 제품이다.

복도를 덮은 짙은 산딸기색 카펫과 거실을 가려주는 장미색 벨벳 커튼 등 채도 낮은 거대한 폭과 크기의 패브릭이 집 안 분위기를 포근하게 감싸줘요. 형형색색의 가구와 소품이 한층 아름답게 어우러지도록 만들어주기도 하고요.
 
독일 테이블웨어 브랜드 빌레로이 앤 보흐에서 공수한 흰색 타일로 깔끔하게 마감한 욕실. 라프 시몬스가 디자인한 크바드랏의 코발트블루색 패브릭으로 제작한 블라인드가 포인트가 돼준다. 프레데리시아에서 구입한 한스 베그너의 흔들의자 ‘J16’과 빈티지 제품인 나무 벤치가 독특한 아우라를 뽐낸다.

독일 테이블웨어 브랜드 빌레로이 앤 보흐에서 공수한 흰색 타일로 깔끔하게 마감한 욕실. 라프 시몬스가 디자인한 크바드랏의 코발트블루색 패브릭으로 제작한 블라인드가 포인트가 돼준다. 프레데리시아에서 구입한 한스 베그너의 흔들의자 ‘J16’과 빈티지 제품인 나무 벤치가 독특한 아우라를 뽐낸다.

다음으로 한 일은 남다른 수집가인 엄마의 애장품을 ‘모셔온’ 것. 거실 유리 장식장에 진열된 아기자기한 장신구와 골동품은 집을 더욱 소중한 공간으로 느끼게 한다. 안방의 목재 침대와 화장대, 아이 방의 서랍장 등 시간이 갈수록 빛을 발하는 빈티지 아이템도 빼놓을 수 없다.
 
알록달록한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준 아이들 방. 초록색 담요는 토스트(Toast), 망고색 ‘팁 톤(Tip Ton)’ 체어는 비트라, 러그는 수아드 라루시 제품이다. 침실에 딸린 욕실 역시 바버 오스거비가 디자인한 무티나의 ‘프리마베라’ 컬러 타일과 이레나가 디자인한 오렌지색 세면대 하부장으로 산뜻하게 꾸몄다.

알록달록한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준 아이들 방. 초록색 담요는 토스트(Toast), 망고색 ‘팁 톤(Tip Ton)’ 체어는 비트라, 러그는 수아드 라루시 제품이다. 침실에 딸린 욕실 역시 바버 오스거비가 디자인한 무티나의 ‘프리마베라’ 컬러 타일과 이레나가 디자인한 오렌지색 세면대 하부장으로 산뜻하게 꾸몄다.

트렌디한 편집 숍 같았던 집을 가족의 역사와 취향이 묻어나는 독특한 보금자리로 만들고 싶었어요. 손때 묻은 사물은 공간을 더욱 특별한 곳으로 느끼게 해주죠.
 
알록달록한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준 아이들 방. 초록색 담요는 토스트(Toast), 망고색 ‘팁 톤(Tip Ton)’ 체어는 비트라, 러그는 수아드 라루시 제품이다. 침실에 딸린 욕실 역시 바버 오스거비가 디자인한 무티나의 ‘프리마베라’ 컬러 타일과 이레나가 디자인한 오렌지색 세면대 하부장으로 산뜻하게 꾸몄다.

알록달록한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준 아이들 방. 초록색 담요는 토스트(Toast), 망고색 ‘팁 톤(Tip Ton)’ 체어는 비트라, 러그는 수아드 라루시 제품이다. 침실에 딸린 욕실 역시 바버 오스거비가 디자인한 무티나의 ‘프리마베라’ 컬러 타일과 이레나가 디자인한 오렌지색 세면대 하부장으로 산뜻하게 꾸몄다.

이 외에도 다이닝 공간에 걸린 닉 아처(Nick Archer)의 위트 있는 회화 작품 ‘날고 있는 덤보(Flying Dumbo)’(2000)와 새하얀 욕실에 무심하게 놓인 원목 흔들의자까지, 열린 마음으로 공간을 새롭게 매만진 집의 면면이 독특한 감상을 일으키는 이곳에서 이레니는 더할 나위 없는 평온을 느낀다고 말한다.
 
알록달록한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준 아이들 방. 초록색 담요는 토스트(Toast), 망고색 ‘팁 톤(Tip Ton)’ 체어는 비트라, 러그는 수아드 라루시 제품이다. 침실에 딸린 욕실 역시 바버 오스거비가 디자인한 무티나의 ‘프리마베라’ 컬러 타일과 이레나가 디자인한 오렌지색 세면대 하부장으로 산뜻하게 꾸몄다.

알록달록한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준 아이들 방. 초록색 담요는 토스트(Toast), 망고색 ‘팁 톤(Tip Ton)’ 체어는 비트라, 러그는 수아드 라루시 제품이다. 침실에 딸린 욕실 역시 바버 오스거비가 디자인한 무티나의 ‘프리마베라’ 컬러 타일과 이레나가 디자인한 오렌지색 세면대 하부장으로 산뜻하게 꾸몄다.

그동안 집을 꾸밀 때 왜 그토록 키워드와 컨셉트에 집착했는지 다시 생각하게 됐어요. 사랑이 넘치고, 소중한 것들로 가득 차 있으며, 끊임없이 변신하는 이 집이야말로 나다운 공간인데 말이죠. 저와 점점 더 닮아가는 집에서 피어나오는 안정감과 소속감이 요즘 제 삶의 원동력이에요.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풍경처럼 변신을 거듭해 온 이레니의 집. 다섯 가족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뒤쪽을 증축하고, 슬라이딩 도어로 실내와 정원을 연결해 개방감을 더했다.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풍경처럼 변신을 거듭해 온 이레니의 집. 다섯 가족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뒤쪽을 증축하고, 슬라이딩 도어로 실내와 정원을 연결해 개방감을 더했다.

Keyword

Credit

    에디터 류가영
    사진 JIM STEPHENSON
    글 CLARE SARTIN
    번역 박우정(UNJ)
    디자인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