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인데 술이 아니야 #무알코올 드링크! || 엘르코리아 (ELLE KOREA)

술인데 술이 아니야 #무알코올 드링크!

알코올 없어도 술맛은 나는 무알코올 음료의 대반격!

이경진 BY 이경진 2021.08.11
 
무알코올 맥주를 여성들이 임신 중에 잠시 즐기는 음료라고 여긴다면? 당신은 옛날 사람. MZ세대는 자신의 일상이 술에 희생되는 것이 싫다는 이유로 무알코올 음료를 찾는다. 술에 취해 SNS에서 잘못된 댓글을 달거나 살이 찌는 걸 용납하지 못하는 걸까? 알코올을 기피하는 젊은 층의 움직임은 해외에서 더 활발하다. ‘Dry January’ ‘Sober October’라는 이름을 붙인 금주 캠페인이 유행할 정도다. 전 세계 주류 중 판매량이 가장 높으며 특히 젊은 층에게 인기인 맥주 시장에는 일찍부터 무알코올 제품이 나왔다. 국내만 하더라도 ‘하이트제로0.00’이 시장에 나온 때가 2012년이다. 최근 세계에서 가장 덩치 큰 맥주 회사 AB인베브는 2025년까지 무알코올·저알코올 맥주의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상징적인 맥주 브랜드 하이네켄, 버드와이저 등은 물론, 알코올이 없는 맥주는 용납하지 못한다던 고집 센 크래프트비어 양조장들도 무알코올 제품을 내놓고 있다. 마치 몇 년 전 패티의 ‘육향’을 버거의 미덕이라 주장하던 버거킹이 비건 버거를 내놓은 것과 같다. 일상에서 알코올을 퇴출시키고 싶다면 그냥 주스나 음료수를 마시면 될 것을 왜 굳이 술을 개조하려는 건지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어쩌면 비건을 선언하고도 여전히 햄버거는 먹고 싶은 것과 마찬가지 아닐까. 한번 길들여진 입맛은 좀처럼 바꾸기 힘드니까.
 
흔히 무알코올, 논알코올이라고 부르는 제품군은 엄밀히 비알코올과 무알코올로 나뉜다. 맥주로 비교하자면 비알코올 맥주는 맥아즙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킨 맥주에서 알코올을 쏙 분리한 것. 이때 알코올을 아예 없애는 건 불가능하기에 1%를 기준으로 그 미만에 해당하는 음료를 비알코올로 분류한다. 많은 전문가는 1% 미만의 알코올은 된장, 간장 등의 발효 식품이나 잘 익은 과일에도 들어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안한 사람들을 위해 등장한 것이 무알코올 맥주다. 무알코올 맥주는 아예 발효를 거치지 않는다. 문제는 맥주의 풍미란 것이 대부분 발효 과정에서 얻는 향기 성분이라는 점이다. 팥 없이 붕어빵을 만들려 하니 합성 향료 등 잡다한 것이 들어간다. 백종원이 시판 제품과 조미료를 조합하여 노포나 엄마 손맛을 재현하는 것과 같은 논리다. 아무튼 비알코올의 알코올 함량은 거의 0에 수렴하므로 그냥 아울러 무알코올 음료로 부르기도 한다.
 
무알코올 음료는 맥주의 경계를 넘어 와인과 위스키까지 번졌다. 오랫동안 음주의 미덕을 찬양해 온 양조사들이 무알코올 제품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영국의 무알코올 리큐어 브랜드 ‘시드립(Seedlip)’은 찬반 논란 속에서도 그만의 ‘힙’함으로 전 세계에 이름을 알리고 있다. 와인 전문 수입사 ‘어벤져스와인’의 최소동 대표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와인 이외의 음료를 수입하는 일을 상상하지 못했지만, 지난해부터 해외에서 무알코올 음료의 생산과 수요가 느는 한편, 국내에선 무알코올 맥주를 대대적으로 마케팅하는 동향을 보며 국내에 수입된 무알코올 와인을 조사했다. 그 결과 국내에 소개된 제품 중 대다수가 와인에서 알코올을 제거한 형태가 아니라 와인의 느낌을 가미한 주스였다고 한다. 그가 독일의 와인 명가 ‘라이츠’와 영국의 ‘톰슨 & 스콧’ 와이너리의 무알코올 와인을 직접 수입하는 이유다. “파인다이닝 신에서는 이미 수요가 많았다고 해요. 운전해야 하거나 중요한 일정이 남아서 혹은 임신을 이유로 무알코올 음료를 찾는 손님들이 꾸준히 있었죠. 그런데 기존의 무알코올 와인은 너무 달거나 와인 느낌이 전혀 없어 손님도, 레스토랑도 난감한 실정이었어요.” 현재 라이츠, 톰슨 & 스콧의 무알코올 와인은 모수, 가온, 권숙수, 정식당 등의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에서 판매하고 있다. “손님들이 처음에는 반신반의하며 잔으로 주문했다가 뜻밖의 풍미에 병으로 추가 주문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라이츠와 톰슨 & 스콧은 모두 풍미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진공 증류법을 활용해 무알코올 와인을 빚는다. 고난이도 방식이지만 알코올을 제거하는 순간 어쩔 수 없이 맛의 구조가 변하며 풍미가 가벼워지고 말 텐데, 그럼에도 국내외의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소믈리에들이 무알코올 와인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로 맛과 향이 정교한 편이다.
 
그런가 하면 와인 정기 구독 서비스를 운영하는 바 ‘위키드와이프’의 이영지 대표는 최근 무알코올 와인을 취급해 달라는 요청이 많아 적지 않게 놀랐다고 한다. 오히려 손님들이 무알코올 와인은 온라인 거래도 가능하다는 팁을 주며 독려하는 양상. 향후 와인 대체품으로 콤부차를 상품으로 개발하는 방향도 고려 중이다. 술에서 알코올을 떼내면 그만큼 칼로리도 줄어드는 법. 최소동 대표는 자신이 수입하는 무알코올 와인의 칼로리가 100mg당 14kcal 이하라고 귀띔했다. 살찔 염려도 적은 무알코올 음료는 당신이 바라든 말든 머지않아 국내에도 ‘힙’한 문화로 정착할 예정. 곧 취하지 않는 인간들의 밤이 도래할 것이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