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아파트를 내 취향대로 꾸미는 법! #랜선집들이 || 엘르코리아 (ELLE KOREA)
DECOR

신축 아파트를 내 취향대로 꾸미는 법! #랜선집들이

도심 속 신축 아파트의 첫 입주자가 된 가구 애호가는 새집의 획일화된 구석구석을 유려하고 모던한 빈티지 가구로 채우며 자신만의 온기를 더했다.

ELLE BY ELLE 2021.05.09
 

Home

to

MYSELF 

피터 흐비트의 사이드보드를 거실 한편에 두고 좋아하는 식물과 오브제를 올렸다.

피터 흐비트의 사이드보드를 거실 한편에 두고 좋아하는 식물과 오브제를 올렸다.

취향을 좇는 모험

도심 속 신축 아파트의 첫 입주자가 된 가구 애호가는 새집의 획일화된 구석구석을 유려하고 모던한 빈티지 가구로 채우며 자신만의 온기를 더했다.
 
여덟 살 아들의 방. 초록색 코트 스탠드는 이탈리아 빈티지, 흰색 어린이용 의자는 알렉산더 베게가 디자인한 까사리노 주니어.

여덟 살 아들의 방. 초록색 코트 스탠드는 이탈리아 빈티지, 흰색 어린이용 의자는 알렉산더 베게가 디자인한 까사리노 주니어.

 
용산역과 이촌역 사이의 타워형 아파트. 전직 패션 디자이너인 이주희는 이곳에서 아이 둘, 고양이 두 마리와 ‘집콕’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도심 한가운데에 있는 아파트는 처음이에요. 이 동네 특유의 생활에 아직도 적응 중이죠. 점심 무렵의 식당에서는 근처 회사 직원들과 자리 경쟁이 치열하고, 카페에선 업무 미팅하는 사람들 틈을 아이들과 활보해야 해요.” 어쩌다 보니 신축 아파트로만 이사 다니고 있다는 그녀의 집은 결혼 후 세 번째 집. 드라마틱한 첫 만남은 아니었다. “집을 보자마자 첫눈에 반했거나 기막힌 인연이라는 둥 매력적인 이야깃거리가 있으면 좋겠지만, 그저 모델 하우스로 처음 접했어요. 살기 좋은 동네인 것 같아 청약을 넣었고요. 특별히 마음에 든 부분이 있었던 건 아니었죠.” 어쩌면 아주 현실적이면서 보통의 사연이다. 집을 구하는 일생의 여정에서 내밀한 ‘로망’이 후순위로 밀리는 경우는 얼마나 흔한가. “여전히 적응 기간인 것 같지만, 타워형 건물이라 일조량이 충분하고 층고가 3m에 달할 만큼 높아서 쾌적하게 지내고 있어요. 살면서 아주 만족하고 있는 부분이죠.” 구조와 바닥재부터 문고리 같은 작은 요소까지 사용자의 취향과 무관하게 지어진 공간이지만, 신축 아파트라는 점을 실감하기 어려울 만큼 집 안 곳곳에는 그녀와 가족들이 지닌 온기와 생기가 가득하다. 새집이지만 편안하고 익숙하게 스며들기를 원했다는 이주희의 바람대로 세월을 겹겹이 입은 듯 안온한 기운이 밴 공간이다. 여기엔 빈티지 가구에 심취한 그녀의 관심사가 한몫했다. 보피(Boffi)의 우윳빛 주방 가구와 마치 한 쌍처럼 담백하게 어울리는 빈티지 비초에는 새 제품의 희고 깨끗한 색이 싫어 선택한 것. 크림 컬러로 적당히 태닝돼 베이지 벽지와 잘 어울린다. 그녀가 특히 사랑하는 마틴 비저의 소파 겸 데이베드는 국내 판매자에게서 구매해 푸른색 패브릭을 새로 씌웠다. 그 옆으로는 핀 율 특유의 스타일에 등받이 뒤편으로 쭉 뻗은 나무 프레임처럼 직선적인 느낌이 가미된 ‘재팬 체어’, 목재 합판을 구부려 만든 그레테 야크의 ‘GJ 체어’를 두었다.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실용적이면서도 단순한 디자인의 빈티지 가구들을 골라 연출한 덕에 새집의 곳곳은 군더더기 없이 딱 맞는 맞춤 옷을 입은 것처럼 편안한 멋이 감돈다.
 
그레테 야크의 GJ 체어, 르 코르뷔지에가 디자인한 팔리아멘트 램프, 마틴 비저의 소파 겸 데이베드가 어우러진 거실.

그레테 야크의 GJ 체어, 르 코르뷔지에가 디자인한 팔리아멘트 램프, 마틴 비저의 소파 겸 데이베드가 어우러진 거실.

 
SNS에서 관심 가는 디자이너를 태그로 검색하고 마음에 드는 디자인을 ‘캡처’해 자신의 스마트폰에 차곡차곡 모아온 그녀는 지난 2년간 집에 다양한 가구를 들이면서 끊임없이 변주하는 모험을 해왔다. “이제야 나만의 ‘무드’를 정확히 알게 됐어요. 그간 위험을 무릅쓰고 해외 판매자에게서 구매한 빈티지 가구도 많았죠. 패션 디자이너로 일하며 옷을 잘 입고 다니던 시절, 누군가 옷 고르는 요령을 물으면 많이 보고 많이 사 입어보라고 조언했어요. 저는 제 취향을 그렇게 알았어요. 가구도 마찬가지예요. 많이 사고 접하고 실패해 보는 중이에요. 빈티지 가구의 경우 구매한 금액과 비슷한 가격에 되팔 수 있기도 하니까요.”  지금의 아파트에 입주하며 새로 마련한 물건은 피터 흐비트(Peter Hvidt)의 사이드보드. “피터 흐비트는 소파로 유명한 디자이너인데, 이 사이드보드 특유의 동그란 손잡이가 좋아서 구매했어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와 직장이 기능을 상실했을 때, 집의 역할이 얼마나 커질 수 있는지 체감한 이후 그녀는 여러 갈래로 뻗어나가는 자신의 관심사와 가족의 필요가 만나는 ‘취향의 꼭짓점’을 찾는 중이다. 티끌 하나 없이 미니멀한 주방의 아일랜드 조리대 수납장 문을 열면 아직 어린이집에 다니는 둘째 아이와 놀기 위한 보드게임 도구가 가득하다. “아이 둘이 학교와 어린이집에 가지 못하자, 집이 공부방과 놀이방 역할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야 했어요. 지금은 아이 때문에 TV를 아예 없애지 못했지만, 언젠가는 TV 대신 한스 베그너의 하이 사이드보드로 거실 벽을 채우길 꿈꾸고 있죠. 케인 소재의 상부장이 정말 멋진 가구예요.”
 
거실의 창 일부를 알바 알토의 스크린으로 가려서 만든 아늑한 자리. 피에르 폴랑의 노란색 오렌지 슬라이스 체어가 눈에 띈다.

거실의 창 일부를 알바 알토의 스크린으로 가려서 만든 아늑한 자리. 피에르 폴랑의 노란색 오렌지 슬라이스 체어가 눈에 띈다.

 
USM의 모듈러 퍼니처 시스템으로 책상과 책장을 맞춘 중학생 딸의 방. 가장 부드러운 색채로 채웠다.

USM의 모듈러 퍼니처 시스템으로 책상과 책장을 맞춘 중학생 딸의 방. 가장 부드러운 색채로 채웠다.

 
거실과 주방 공간을 이어주는 커피 존. 르 코르뷔지에가 디자인한 람프 드 마르세유 미니를 달았다. 데이비드 멜러의 커피 포트와 모카마스터 등을 두고 즐긴다.

거실과 주방 공간을 이어주는 커피 존. 르 코르뷔지에가 디자인한 람프 드 마르세유 미니를 달았다. 데이비드 멜러의 커피 포트와 모카마스터 등을 두고 즐긴다.

 
부부의 침실. 포인트가 되는 강렬한 컬러의 오브제를 제외하곤 벽면과 침대 시트, 기타 소품 모두를 그레이나 화이트 등 모던한 컬러로 골랐다.

부부의 침실. 포인트가 되는 강렬한 컬러의 오브제를 제외하곤 벽면과 침대 시트, 기타 소품 모두를 그레이나 화이트 등 모던한 컬러로 골랐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