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노보가 돌아왔다 || 엘르코리아 (ELLE KOREA)
FASHION

아티스트 노보가 돌아왔다

삶과 예술이 이음새 없이 연결된 아티스트 노보의 작품 세계.

ELLE BY ELLE 2021.02.27
 

자유로운 선 

회화, 조각, 설치미술 등 매우 다양한 장르를 뛰어넘어 작품마다 노보만의 시각적 언어가 뚜렷해 보인다. 얼핏 단순하고 즉흥적이지만 결과물은 의도한 단순함으로 보이는데
어떤 작품이든 일단 드로잉으로 시작한다. 머릿속에 있는 걸 가시화·명료화하는 시작점이자 설계도인 셈이다. 그런데 드로잉이 점점 더 간략해지고 있다. 아주 간단한, 필요한 선 몇 개만 있으면 바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구상을 많이 하면 최종 결과물이 안정적으로 나온다. 하지만 내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건 즉흥적인, 날것 그대로의 감각에 가깝다. 어떤 물건과 동물, 사람, 일상 등이 촉발하는 감정을 그대로 담아내는 것은 즉흥적인 선이라고 생각하고 그런 작업을 할 때 개입되는 우연성도 즐기는 편이다. 앞으로 표현 방식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겠지만.
성수동 아틀리에 아키에서 2월 18일부터 3월 27일까지 열리는 기획전 〈제3의 화법〉은 동시대 미술의 지평을 확장하는 1980~1990년대 작가 5인의 그룹전이다. 이번 전시에서 어떤 작품을 소개하나
내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표현한 정물 작업 ‘Still Life’ 연작을 소개할 예정이다. 오브제처럼 물성이 있는 것이든 음악처럼 무형의 것이든 내가 좋아하는 대상을 오래도록 관찰하고 그와 연관된 이야기와 감정이 켜켜이 담긴 작업이다.
어떤 문장이나 단어, 물건 이름 등을 나열하거나 이미지에 조합한 작품들이 눈에 띈다. 노보의 작품 세계에서 텍스트는 중요한 요소인가
사실 텍스트라고 의식하며 작업하지는 않는다. 내 작업에서 텍스트는 단어나 문장이기보다 그 자체로 표현하고 싶은 색감, 질감 같은 이미지에 가깝다. 물론 그렇게 그림이나 조각에 표현된 단어는 오랫동안 머릿속에 자리하면서 갖가지 사유를 낳기도 한다. 이를테면 어떤 단어일지 ‘Hope’! 우리는 이 단어를 일상적으로 쉽게 사용하지만 꿈을 위해 진심으로 희망을 품지는 않는 것 같다. 나는 희망이 닿을 수 없는 유토피아처럼 표현되는 게 싫고, 가시화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희망을 그린다.
전시공간뿐 아니라 SNS와 브랜드와의 협업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유롭게 소통하는 대표 작가다. 당신에게 이런 활동이 갖는 의미는
21세기에 SNS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일은 피할 수 없을뿐더러 점점 더 생활에 밀착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미술 작품을 실제로 대면했을 때만 느낄 수 있는 감동은 분명 모니터 화면 너머에 생생하게 살아 숨 쉬고 있다. 그리고 그건 직접 전시장을 찾은 사람만 할 수 있는 체험이다. SNS에서 미술을 즐기되 매체의 특성상 더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은 많은 아티스트가 더 많은 기회를 통해 다양한 시도를 하길 바란다. 다만 그 과정에서 지금보다 훨씬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돼야 할 것이다. 

Keyword

Credit

    컨트리뷰팅 에디터 안동선
    사진 신채영
    웹디자이너 김희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