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아 후 위 아> vs <페어웰> 신작 '초'이스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TAR

<위 아 후 위 아> vs <페어웰> 신작 '초'이스

볼까 말까 망설여질 땐 뿌려진 ‘떡밥’을 살펴보면 된다.

김초혜 BY 김초혜 2020.11.26

 TO. 바다로 여행하고 싶은 당신에게! 〈위 아 후 위 아〉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으로 티모시 샬라메를 톱 스타로 만든 감독 루카 구아다니노가 새로운 드라마를 만들었다. 믿고 보는 방송사 HBO와 함께 만들었으니 말 다 했다. 여름과 청춘의 단면을 잘 포착하는 감독의 장기는 영화 〈위 아 후 위아〉에서도 본격 발휘된다. 드라마 속 배경은 이탈리아 베네치아 근처의 해변 마을을 배경으로 한다. 부유하는 청춘들의 일상을 천천히 따라 걷는 것처럼 드라마는 관객의 마음을 가만히 사로잡는다.
 
떡밥 1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감독의 첫 번째 드라마다
영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영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영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영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영화 〈위 아 후 위아〉

영화 〈위 아 후 위아〉

티모시 샬라메를 톱스타로 만든 영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을 연출한 루카 구아다니노의 첫 드라마다. 〈위 아 후 위 아〉는 찬란하게 반짝이는 10대의 들끓는 욕망에 대해 담담히 바라본다. 감독은 말한다. 이 드라마를 보는 이들이 잊고 있던 자신의 단면을 발견하길 바란다고.
 
떡밥 2 유명 패션 디자이너가 스타일링을 맡았다
미우미우, 셀린, 발렌시아가, 랑방 등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던 줄리아 피에르산티가 의상 디렉팅을 맡았다. 그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에서 주연 배우들의 짧은 반바지와 헐렁한 셔츠를 스타일링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영화 속 의상은 뜨거운 여름 날의 풍미와 잘 익은 복숭아를 닮은 사랑의 단면을 절묘하게 배가 시켰다. 영화 〈위 아 후 위 아〉의 주인공 프레이저의 의상 역시 주목할 법하다. 음악과 패션을 좋아하는 고독한 소년의 어디로 튈지 모르는 캐릭터를 제대로 반영했다.
 
떡밥 3 튀어나온 감정을 날 것 그대로 포착했다
루카 구아다니노는 카메라 앞에 선 배우를 자기 뜻대로만 움직이게 하는 종류의 감독이 아니다. 10대의 감정을 세밀하게 포착하는 드라마인만큼 감독은 십대인 배우들에게 ‘이 장면에서 어떤 기분이 들 거 같은지’ 계속해서 물으며 영화를 찍었다. 주연 배우 잭 딜런 그레이저는 영화에 대해 “모든 게 다 진짜예요. 진짜로 진짜예요(Everything is Real. Everything is Real. Real)”라고 말하기도 했다.
개봉 2020년 11월 25일 / 플랫폼 왓챠
 
 

TO. 웃고, 울고 싶은 당신에게! 〈페어웰〉

아시아계 최초로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을 받은 영화. 또 전 세계 영화제에서 33관왕 157개의 노미네이트를 거머쥔 바로 그 영화 〈페어웰〉. 영화는 할머니의 죽음을 알게 된 가족들이 이를 숨기고 거짓말과 거짓말을 거듭하는 이야기다. 영화는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시종일관 유쾌하고 감동적이다. 그 속에서 마치 우리 일상을 포착한 것처럼 가족 관계의 미묘한 감정에 대해 세밀하게 묘사했다. 영화를 본 관객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우리 할머니랑 똑같아요!”라는 후기를 쏟아냈을 정도.
 
떡밥 1 77억짜리 가치를 인정받은 영화다
영화 〈페어웰〉은 시나리오 단계에서 투자받기가 굉장히 어려웠는데, 뚜렷한 주인공이 있다기보다 가족 전체의 이야기를 다뤘기 때문에 더 그랬다. 하지만 영화는 제작 후 선댄스 영화제에서 극찬받았음을 물론, 무려 700만 달러로 입찰 되었다. 사실 감독은 계약 직전 한 OTT 업체에서 약 1400만 달러로 영화 상영권 구매를 제안받았지만, 오직 극장 개봉을 위해 거절했다. 덕분에 ‘인디 블록버스터’라는 별명이 생겼을 정도.
 
떡밥 2 감독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2013년 감독 룰루 왕은 베를린에 있었고, 자신의 첫 번째 영화를 편집하고 있었다. 중국에는 할머니가 살고 있었다. 할머니는 암 말기였고, 가족들을 그를 위한 하얀 거짓말을 했다. 검사 결과가 좋다고 말이다. 감독의 가족들은 사촌 결혼식을 핑계로 하나둘 할머니 댁으로 모였다. 단, 그 어떤 진실도 밝히지 않는 게 가장 큰 미션이었다. 감독은 이 순간 ‘이것이 진짜 영화다’라고 생각했고, 이때의 경험을 시나리오로 써 만든 영화가 〈페어웰〉이다.
 
떡밥 3 영화를 찍는 과정에도 거짓말이 있었다
여성 감독이 만든 여성 영화이자, 미국에 살아가는 아시아인들의 소외감을 통째로 담은 작품이다. 감독은 사건의 실마리가 되는 할머니 역할을 캐스팅하기 가장 어려웠다고 밝혔다. 첫 촬영 직전에 캐스팅을 완료할 수 있었다. 할머니 역을 맡은 자오 슈젠은 중국 드라마에 자주 나왔던 배우고, 그는 오디션 단계를 거칠 시간조차 없었다. 감독은 극 중 할머니 역할이 죽는 역할임을 배우에게 알리지 않았다. 거짓말을 이야기하는 영화 제작 과정에도 또 하나의 거짓말이 있었던 거다.
 
* 볼까 말까 망설여지는 신작을 영화 전공자 에디터 ‘초’가 ‘초’이스해 소개합니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