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스트의 패션 로맨티시즘 || 엘르코리아 (ELLE KOREA)
FASHION

페미니스트의 패션 로맨티시즘

동의하지 않아도 봄은 오고(최승자), 자그마한 손가락으로 따던 꽃들은 봄마다 다시 피어난다(조지 엘리엇). 여기, 라피아와 밀짚, 라탄 소재의 로맨틱 액세서리들이 봄과 함께 왔다.

ELLE BY ELLE 2020.04.09
 
지난 2월 10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기생충〉이 주요 부문의 트로피를 휩쓸며 말 그대로 새 역사를 썼던 그날, 그레타 거윅 감독의 영화 〈작은 아씨들〉은 의상상을 받았다.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뿐 아니라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과 시카고비평가협회 의상상도 모두 차지한 주인공은 의상 디자이너 재클린 듀런. 그녀가 창조한 〈작은 아씨들〉의 의상은 빅토리아 시대의 사진집부터 1860년대 화가들의 그림까지, 광범위한 자료 조사를 통해 디자인됐다고 한다. 이를테면 윈슬로 호머의 회화 작품이나 줄리아 마거릿 캐머런이 촬영한 사진 속 19세기 여성들의 모습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는 디자이너의 치밀하고 섬세한 계산이 더해졌다. 메그와 조, 베스, 에이미 네 자매 각자에게 특징적인 색을 부여하고, 그 모든 색을 엄마의 의상에 조금씩 넣는 방식 같은. 영화 속 의상이 아름답게 보이는 것은 아마도 그녀들의 이야기 때문일 것이다. 원작 소설의 작가인 루이자 메이 알코트 이전에는 언급되지 않았던 작고 소외된, 보편적인 동시에 진취적이고 혁명적인 이야기. 무려 150년 전에 쓰인 이 작품에는 시대를 초월하는 것이 담겨 있다. 자신이 원하는 일에 열정을 바치고, 기꺼이 약자를 돕고, 끝내 희망을 버리지 않는 것과 같은. 그리고 아름다울 뿐 아니라 야망 넘치는 소녀들의 캐릭터를 잘 설명해 주는 드레스와 망토, 바스켓 백, 모자 같은 것들! 오래전 방식으로 직조된 의상과 액세서리를 통해 재클린 듀런이 제시한 비전 역시 시대를 초월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우리에게 영감을 주는 또 한 명의 여성이 있다. 이번 디올 컬렉션을 준비하던 마리아 그라치아 치우리는 무슈 디올의 여동생인 카트린 디올에게 주목했다. 치우리의 이번 컬렉션은 그저 ‘미스 디올’ 향수의 그 ‘미스’가 지칭하는 인물로만 알려져 있던 카트린에 관해 많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에 맞선 저항군의 멤버로 활동했다는 것, 1944년 나치에 체포돼 고문을 당했고 라벤스부르크 강제수용소로 끌려갔다는 것, 그리고 살아남아 석방된 뒤에는 호미와 쟁기를 들고 가드너이자 식물학자로 살아갔다는 것. “카트린은 진정한 페미니스트였다고 생각해요. 페미니스트란 스스로 선택하는 사람을 뜻하죠. 그것은 모든 여성에게 던지는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자신을 믿고 미래를 생각한다는 것 말이에요.” 치우리는 박시한 재킷과 남성용 셔츠, 보일러 수트, 실크 드레스 등이 혼재하는 룩을 통해 여성스러움과 남성스러움의 경계를 허물었다. 그리고 자연에서 온 것에 주목했다. 라피아 프린지 드레스와 라피아처럼 보이는 효과를 내는 터서 실크 소재의 점프수트, 온갖 꽃과 잎사귀를 수놓은 드레스 등이 숲으로 꾸며진 런웨이를 활보했다. 특히 아름다웠던 건 액세서리들이다. 스테판 존스가 디자인한 라피아 소재의 모자들, 황마를 손으로 길게 꼬아 만든 벨트, 내추럴 소재의 레이스업 부츠와 에스파드리유, 말린 꽃에서 모티프를 딴 골드 주얼리 등이 자연에 대한 카트린의 깊은 경외감을 표현했다.
야자의 잎에서 얻는 섬유인 라피아, 밀알을 떨고 난 밀의 줄기를 꼬아 만든 밀짚, 칼라마스라는 동양 식물의 줄기에서 채취한 거친 섬유인 라탄, 그리고 종이를 꼬아 만든 우븐 스트로까지, 이번 시즌에는 다양한 방식의 크래프트 워크가 다채로운 형태의 액세서리로 선보였다. 제인 버킨을 연상시키는 룩을 런웨이에 등장시켜 데님과 바스켓 백의 조합이 얼마나 ‘쿨’한지 새삼 깨닫게 해준 셀린, 트로피컬 프린트 드레스에 라피아 백을 매치한 발렌티노, 가죽으로 트리밍한 라피아 벌룬 백으로 라피아가 더 이상 바캉스만을 위한 소재가 아님을 설파한 로에베까지. 가방뿐 아니다. 화창한 여름날을 기다리게 만드는 에스파드리유, 면이나 마 소재의 스트링을 발목에 감는 형태의 샌들과 부츠들,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형태와 컬러로 소개한 라피아 모자까지.
이 로맨틱 아이템을 보며 어떤 이는 〈빨강머리 앤〉을 떠올릴 것이다. 어떤 이는 〈작은 아씨들〉을 혹은 〈사운드 오브 뮤직〉을 떠올릴 수도 있겠다. 한 남자의 아내가 되기보다 모험가가 되겠다던 앤 셜리, “내 인생은 스스로 만들 거야!”라고 외치던 조 마치와 자신의 사랑은 스스로 선택하겠다던 에이미 마치, 그리고 평생 작가로, 독신으로 사는 길을 선택했던 루이자 메이 알코트, 권력에 강하게 저항했던 카트린 디올까지. 창조적인 예술가가 되려고 애썼던 뜨거운 여자들이 있다. 소박하지만 격식을 갖춘 옷을 입고 계절을 만끽하며, 세상이 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열망했던 여자들. “당신은 올해 라피아 소재의 액세서리를 사거나 사고 싶어질 것!”이라는 한 문장이 이토록 길어진 까닭은 그녀들, 과거의 멋진 여성들이 자꾸만 우리에게 말을 걸어온 탓이 크다.

Keyword

Credit

    IMAXtree.com
    IMDB.COM
    SHUTTERSTOCK
    에디터 김자혜
    디자이너 온세미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