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그 이후, 공존이라는 생존법 || 엘르코리아 (ELLE KOREA)
SOCIETY

코로나19 그 이후, 공존이라는 생존법

우리 사회의 가장 어둡고 구석진 곳에 가장 먼저 파고든 코로나19 바이러스. 소외된 이들에게 더욱 가혹한 지금, 이 재난의 시대에 발견한 연대의 힘과 가능성.

ELLE BY ELLE 2020.04.01
 
지금 이 순간, 우리 모두 무언가 느끼고 체험하고 각성했다. 3인의 피처 에디터가 코로나 시대의 한복판에서 떠올린 단상들, 그 세 번째.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쉽사리 잠들지 못한 나날들. 쏟아지는 불길한 이야기 속에서 유독 가슴 아팠던 2개의 뉴스가 있다. 첫째는 집단 감염이 일어난 청도 대남병원 정신병동의 한 환자가 구급차로 긴급 이송되는 와중에, 10년 만의 외출이라며 들뜬 표정을 지었으나 결국 목숨을 잃고 말았다는 것. 둘째는 확진자 확인 중 신천지 신도들이 집단 거주하는 것으로 밝혀지며 통째로 격리 조치된 대구의 여성근로자 임대아파트에 대한 소식이었다(두 사건 모두 긴급한 사태가 정리된 후, 필히 면밀한 조사와 분석이 있길 바란다).
재난은 소외되고 가난한 이들에게 더욱 가혹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역시 우리 사회의 어둡고 구석진 곳을 제일 먼저 파고들었다. 여성, 빈곤 청년, 노약자, 장애인…. 스스로 보호할 방어막이 약한 이들은 불가항력적 상황 앞에 한없이 무력했다. 집에만 있어서 답답하다는 투정도 당장 생계와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이들에겐 사치인 것이다. 이번에 드러났듯 신천지 신도가 급증한 데는, 외롭고 궁핍한 이들의 심리를 공략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만큼 대한민국이란 사회가 보듬지 못한 아픔과 어려움에 시달리는 이들이 많다는 뜻이다. 내 일이 아니라고 무관심했던 누군가의 문제, 골치 아프다고 눈감았던 불의와 부조리는 결국 더 큰 공동의 위기로 돌아온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제일 먼저 차별과 봉쇄를 외쳤던 국가들이 지금 더 혹독한 전투를 치르고 있는 걸 보면, 더 잘 이해된다. 또 두렵고 불안한 상황에서 기꺼이 가진 것을 나누고 서로를 위로하며 애써 함께 웃음짓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접하며, 위기를 극복하는 연대의 힘과 가능성을 발견하기도 한다. 원하든 원치 않든 우리는 연결돼 있으며 공존·공생만이 해답이라는 것을 확인한 쓰라린 배움의 시간이었다(제발 모두 그러했길 바란다). 이달 ‘지구의 날 스페셜’을 준비하며 여러 환경 이슈를 접하면서 같은 생각을 했다. 기후 변화는 분명 그간 개발의 혜택을 누린 자들이 저지른 환경 파괴에 대한 대가인데, 정작 더 큰 피해를 입는 것은 말 못하는 동물과 가난한 나라의 사람들이다. 스페셜에 실린 기사에서 모델이자 열혈 환경운동가인 릴리 콜은 “많은 이들이 환경보호를 비용 낭비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한다. 어디서 많이 들은 말 아닌가. 저소득층이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정책에 늘 따라붙는 시혜적 시선과 ‘돈 아깝다’는 비난. 릴리 콜의 인터뷰는 이렇게 이어진다. “우리의 생존은 공동 환경 안보에 달려 있다. 자연에 대한 존중 어린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 결국 더 행복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든다.” 자연을 대하는 방식이든, 이웃을 대하는 마음이든 이것만은 기억하자. 우리는 하나라는 걸.

Keyword

Credit

    에디터 김아름
    사진 unsplash
    디자인 오주희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