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당신의 아기가 우는 이유를 알고 있다 || 엘르코리아 (ELLE KOREA)
LOVE&LIFE

AI는 당신의 아기가 우는 이유를 알고 있다

AI는 바둑만 잘 두는 게 아니예요. 지금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인간에 대해 더욱 잘 알고 있는 세 가지.

ELLE BY ELLE 2019.10.20


당신의 속내를 알고 있다
이미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에 AI 면접 후기가 쏟아지고 있죠. AI 면접 팁은 물론 ‘아이엠 그라운드’ 같은 AI 모의면접 분석 서비스 앱들도 속속 출시되고 있고요. 간단히 말하면, 영화 <그녀>의 한 장면처럼 컴퓨터를 앞에 두고 프로그램과 대화를 나누는 식입니다. 물론 영화처럼 로맨틱한 이야기는 아니고, 자기소개나 지원 동기, 인성검사 같은 재미없고 형식적인 얘기겠지만요.
영화 <그녀>

영화 <그녀>

 
 
거기에 몇몇 AI 면접에서는 게임 면접이라는 형태로 문제 풀이도 등장한다고 해요. 난감한 상황을 던져주면 그에 맞춰 컴퓨터 앞에서 연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한 후기에 따르면 이런 철학적인 질문 또한 서슴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말 사람은 무엇이든 극복할 수 있는 걸까요?” (음… 일단 지금 이 면접도 극복하기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게티이미지코리아

게티이미지코리아

 
“별거 아니니까 겁먹지 말라”는 조언도 적지 않지만, 한낱 ‘휴먼’인 우리로서는 혼란스러운 게 사실이죠. 면접 내내 뇌 신경 과학을 기반으로 게임별로 응답한 반응 시간, 의사 결정 종류와 방향, 학습 속도 등을 살필 뿐만 아니라 표정, 움직임, 음색, 발음, 속도, 시선 등을 분석하거나 주로 쓰는 단어가 긍정인지 부정인지, 미사여구와 접속사는 얼마나 쓰는지를 분석하고 맥박 측정과 안면 색상 평가 또한 이뤄진다는 흉흉한 소문이 있으니까요. 이건 뭐 인공지능 식의 독심술인가요? 효율성과 공정성을 이유로 AI 면접을 도입한 기업의 입장은 알겠지만, 글쎄요. 어쩌면 곧 포커페이스의 종말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당신의 아기가 우는 이유를 알고 있다  
아기가 우는 이유를 파악하기란 아무리 부모라도 쉽지 않은 법이죠. 하지만 곧 국내 인공지능 스타트업 브랜드 ‘디플리(Deeply)’가 그 비밀을 밝혀낼 것 같습니다. 아이가 왜 우는지 알려주는 AI 베이비시터 ‘루미’를 준비 중이거든요.  
 
영화 <나는 마더>

영화 <나는 마더>

언어도 아니고, 소리의 의미를 읽어내는 게 어떻게 가능할까 싶겠지만, 말을 배우기 전인 생후 1년 미만의 아기들은 전 세계적으로 울음소리에 공통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다고 해요. 울음소리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주변의 소음 중에서 정확하게 울음소리만을 가려내는 디텍팅 기술과 수만 건의 아기 울음소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알고리즘이 그 핵심이죠. ‘Listen and Understand Deeply(깊이 듣고 깊이 이해하자)’는 브랜드 모토 그대로 말이에요.  
 
게티이미지코리아

게티이미지코리아

이제 아기가 아파서 우는 건지, 배가 고픈 것인지, 졸려서 보채는 건지, 어딘지 불편한 건지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될 거에요. 정말이지 인공지능 사용의 옳은 예.  
 
당신에게 어울리는 스타일을 알고 있다  
페이스북이 퍼스널 스타일리스트가 될지도 모릅니다. 페이스북의 연구진이 유저들에게 더 패셔너블한 스타일을 제안하는 서비스 ‘패션 ++’를 제공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죠. 이건 그냥 트렌드만 업데이트해주는 뻔한 서비스가 아니에요.  
 
펙셀스

펙셀스

당신의 기존 스타일을 숙지하고 있는 페이스북이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약간의 조언을 건네는 식이죠. 아, 페이스북이 어떻게 우리의 스타일을 알고 있냐고요? 아시잖아요. 원래 페이스북은 모르는 게 없다는 거. ‘좋아요’와 댓글을 바탕으로 당신의 취향이나 내일의 스케줄, 하물며 지난주에 맥주를 몇 잔 마셨고 다음 주에 얼마나 마실 건지 같은 소소한 것까지 친구나 애인, 가족보다도 더 정확하게 예측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정도랍니다. 좀 섬뜩하죠?  
 
영화 <클루리스>

영화 <클루리스>

그러니까, 평소 후드 티셔츠를 즐겨 입는 당신에게 뜬금없이 슬립 드레스를 추천하지는 않는다는 거예요. 오히려 이런 셔츠는 소매를 걷어 입으라거나 혹은 저런 수트엔 너무 클래식한 슈즈 대신 스니커즈를 매치해보면 어떨지 같은 미묘하지만 실용적인 변화를 제안한다고 해요. 아직 구체적인 상용화 일정은 미정이지만 이대로라면 훗날엔 인공지능이 디자인한 컬렉션이 등장할지도 모를 일이죠.  
 

Keyword

Credit

    에디터 권민지
    사진 GettyImages/ Pexels/ 네이버 영화 스틸 컷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