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도시 컬렉션 리뷰 & 넥스트 시즌 트렌드 프리뷰 || 엘르코리아 (ELLE KOREA)
FASHION

4대 도시 컬렉션 리뷰 & 넥스트 시즌 트렌드 프리뷰

이제 막 S/S 아이템들을 좀 꺼내 입을까 싶더니 뉴욕, 런던, 밀란, 파리 4개 도시에서는 벌써 2010 F/W 컬렉션이 펼쳐졌다. 6개월 먼저 앞서가는 넥스트 트렌드지만 결코 그리 먼 얘기는 아닐 것이다. 우리의 오감을 감동시켰던 넥스트 시즌 키 트렌드와 핫 이슈들, 신선한 업커밍 디자이너들과 자랑스러운 한국 디자이너들의 행보 등 지난 한 달간 전 세계를 들썩이게 했던 4대 도시 컬렉션 리뷰 & 넥스트 시즌 트렌드 프리뷰.

ELLE BY ELLE 2010.04.23

key trends
<엘르>의 감식안으로 걸러낸 2010 F/W 시즌 키 트렌드 리스트. 네 개의 도시에 쏟아져 나온  트렌드 중에서 반드시 짚어 기억해야 할 키워드들을 소개한다.

1 COZY & CHIC, KNITS
내추럴하고 클래식하게 영근 아름다움이 지배하는 2010 F/W 시즌의 키 패브릭은 단연 ‘퍼’와 ‘니트’다. 그중에서도 울 소재의 건축적인 테일러링 피스들이 득세했던 09 F/W 런웨이와 달리, 몸을 부드럽게 감싸는 톡톡한 니트 소재의 아이템과 하이엔드 패션의 상징인 부드럽고 풍성한 퍼 아이템이 트렌드 전방에 나선 것. 그중에서도 니트의 ‘금의환향’은 가히 놀라울 정도다. 프라다의 미우치아 프라다부터 루이 비통의 마크 제이콥스, 돌체 앤 가바나, D&G의 돌체와 가바나 듀오(그들은 D&G 런웨이의 80%를 눈송이 프린트 니트로 채웠다)까지 머리부터 발끝까지 니트 아이템으로 도배된 ‘니트 룩’을 선보인 것. 각양각색의 톱을 필두로 스커트, 팬츠, 코트는 물론 점프수트와 같이 이전까지 니트로 상상조차 하지 않았던 아이템들마저도 다양한

2 POETIC HOURGLASS
클래식하다. 또한 따뜻하다. 그리고 더없이 여성적이다. 여성의 보디라인을 따라 흐르는 톱과 흐드러지는 스커트 자락으로 이어지는 아워글라스 실루엣이 돌아왔다. 이번 아워글라스 실루엣의 특징은 기본적으로 1.5 : 2를 넘어설 만큼 하의의 비율이 상의에 비해 확연히 도드라진다는 것. 미우치아 프라다의 선택은 풍성한 A라인 스커트였고, 펜디와 루이 비통 그리고 마크 제이콥스의 선택은 1950년대로 돌아간 듯한 미디 길이의 플레어 스커트였다. 더없이 여성적인 이 실루엣이 톤 다운된 컬러들과 부드러운 울, 니트 소재와 만들어내는 화음은 이제 더 이상 ‘강한 여자’가 현명한 선택이 아님을 깨닫게 만든다. 이 룩에 꼭 필요한 건, 흐드러지는 플레어 스커트!


3 OVERSIZED OUTER
뉴욕에서 시작된 오버사이즈 아우터 열풍은 런던과 밀라노를 거쳐 파리로 가면서 점점 그 풍채를 키워나갔다. 랄프 로렌과 마이클 코어스 등의 컬렉션으로 대표할 수 있는 뉴욕에서 시작된 오버사이즈 아우터가 맨즈웨어를 바탕으로 가볍게 어깨에 걸칠 수 있는 재킷이었다면, 랑방이나 빅터 앤 롤프 등 파리에 안착된 아우터는 모델들이 마치 공기바람을 주입한 듯 부풀어 오른 형상을 띠고 있다. 만약 쇼핑 없이 트렌드를 즐기고자 한다면 남자친구의 옷장뿐 아니라 아빠의 옷장까지 사정 없이 뒤져야함은 물론, 뻥튀기 기계에라도 넣었다 꺼내야 할 지경! 아우터 사이즈를 키움과 더불어 라펠이나 포켓도 함께 과장해서 연출한 것도 큰 특징 중 하나.


4 VELVET GOLDMINE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그동안 벨벳이라는 소재에 왠지 모를 거리감이 느껴졌다면 다가올 시즌에는 벨벳과 당당히 맞설 각오를 단단히 해야겠다. 벨벳 트렌드가 4대 패션  도시를 관통했으니까. 편안하고 활동적인 스포티즘에 심취해 있던 알렉산더 왕마저 성숙과 우아함의 대명사인 벨벳 소재를 선택했다. 왕의 손을 거쳐서일까? 벨벳의 고리타분함이 세련되게 느껴질 정도. 일본 망가 속 캐릭터처럼 느껴지는 룩에 벨벳을 사용했는데 허벅지까지 올라오는 레그 워머, 어깨에 두른 스카프는 물론 가슴 선에 아슬아슬하게 오는 미니  재킷 속에 배꼽이 보이도록 U라인으로 자른 벨벳 톱을 레이어드한 방식은 아주 신선했다. 이밖에도 조르지오 아르마니, 프링글 오브 스코틀랜드, 리처드 니콜 등 역시 벨벳을 애용했는데 그중 드레이프된 올리브 그린 컬러의 벨벳 스커트에 벌키한 니트를 매치한 프링글 오브 스코틀랜드의 스타일링법이 가장 눈에 띄었다.


5 CAPE  PARADE
이런, 돋보기 들고 탐정놀이라도 하란 말인가! 이번 시즌 런웨이로 쏟아져 나온 수많은 케이프를 보며 탄식했느냐고? 그럴리가. 유치한 이미지를 싹 벗고 우아한 모습으로 거듭난 케이프를 감상해보라. 알렉산더 왕 쇼에는 소매 없는 롱 케이프가, 후세인 살라얀 쇼에는 심플한 빅 캐멀 케이프가, 셀린 쇼에는 포근하고 귀여운 테디 베어 양가죽 케이프가 등장했다. 하지만 케이프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YSL! 블랙 케이프로 시작된 쇼의 거의 모든 룩에 케이프가 등장했으니, 케이프 종합세트라고 칭해도 무리가 없다. 코튼과 새틴 퍼, 그리고 비닐까지, 다양한 소재와 크기의 케이프가 등장했으니까. 그렇다면 케이프를 어떻게 스타일링하면 좋을까? 긴 케이프에는 단연 발목까지 오는 슬림한 트라우저가, 짧은 케이프에는 쇼츠와 롱부츠가 만점짜리 정답이다.


6 PANTS SUIT
뜻밖에도 보테가 베네타의 쇼는 가죽 소재 팬츠 수트로 시작되었다. 에르메스, 페라가모, 구찌, 질샌더 그리고 YSL에도 팬츠 수트는 어김없이 하나씩은 꼭 등장했다. 재킷과 팬츠를 같은 소재로 만들어 한 벌로 입는 팬츠 수트는 매우 남성적인 옷이어서 이전 S/S 시즌의 하늘하늘, 여리여리했던 이미지와는 완전히 상반된다. 매니시 룩이야 늘 있어 왔지만 이번 시즌만큼은 좀 다르다. 뭔가 다른 형태의 섹시함을 드러내기 위한 슬림 핏의 룩도, 하늘하늘한 시폰과 함께 매치하기 위한 것도 아니었다는 점에서. 말 그대로 팬츠 수트를 그대로 차용해 입는다는 점에서 말이다.


7 DARK FORCE 
F/W 시즌마다 블랙 컬러가 돌아오는 건 봄이 오면 제비가 돌아오는 것만큼이나 당연한 트렌드 중 하나지만, 전반적으로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실용적인 무드의 2010 F/W 트렌드에서 잠시 벗어날 줄만 알았던 ‘강한 여자’ 이미지중  잔존하는 몇 안 되는 요소가 바로 다크 포스다. 터프하고 어딘가 음흉한 포스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온통 검은색으로 도배 했고, 붉다 못해 자줏빛으로 보이는 입술이 포인트. 돌체 앤 가바나, 도나카란, 질 샌더, 에르메스 등 올 블랙 룩으로 첫 스타트를 시작한 컬렉션이 눈에 띄게 많았으며 전체 의상의 80% 이상을 블랙으로 채운 쇼 또한 대다수다. 다크 포스에 가장 많이 활용된 소재는 역시나 가죽. 강렬한 매트&샤인 효과를 내기에 더없이 훌륭한 가죽은 블랙의 든든 한 조력자.


8 BOOTS CUT PANTS
드디어, 드디어 등장했다. 스키니한 실루엣의 팬츠와 맥시 팬츠를 지나 이제 등장할 것은 나팔바지, 다시 말해 부츠컷 팬츠뿐이라고 생각하던 찰라였다. 80년대 스타일에 70년대의 글램 록 무드를 더한 발맹의 크리스토퍼 데카르넹은 브로케이드 소재와 핀스트라이프 패턴의 부츠컷 팬츠를 재킷과 매치해 선보였다. 가늘고 긴 섹시한 룩을 대거 선보인 에밀리오 푸치 쇼에는 하이웨이스트 부츠컷 팬츠가 등장했다. 자, 그럼 이번 시즌 나팔바지, 어떻게 입을까? 선택은  둘 중 하나다. 발맹 같은 로 웨이스트 팬츠를 택해 베이식한 재킷과 입거나(소재나 벨트에서 변화를!), 아니면 푸치 같은 하이웨이스트 팬츠를 택해 허리를 가늘게 조이고 짧은 상의를 경쾌하게 매치하거나!


9 MILITARY CAMP
매 시즌 디자이너들에게 러브콜을 받는 밀리터리 룩. 버버리 프로섬이나 막스마라와 같은 브랜드에게 밀리터리는 단골 손님 같은 주제였지만 이번엔 평소 밀리터리에 관심조차 없어 보이던 드리스 반 노튼까지 에스닉을 버리고 이 대열에 합류했다. 이번 시즌 밀리터리 무드의 핵심 키워드는 여성성과 남성성의 균형 있는 조화. 이제 각진 어깨에 견장 장식을 얹은 과거의 남성적인 밀리터리 무드는 잊고 드리스 반 노튼식의 밀리터리 공식을 유념해야겠다. 여자가 원하는 옷이 무엇인지 꿰뚫고 있는 드리스 반 노튼은 밀리터리 룩을 대표하는 기본 요소인 카키 컬러의 캔버스 천으로 사용해 페미큘린 무드의 밀리터리 룩을 완성했다. 버버리 프로섬 역시 속이 비치는 레이스 소재의 드레스에 에비에이터 스타일의 박시한 아우터를 믹스했고, 막스마라는 A라인으로 펼쳐지는 미니멀한 밀리터리 코트를 통해 밀리터리 룩으로도 여성성을 잃지 않게끔 한 노력의 흔적을 엿볼 수 있었다.


10 HORSEBACK- RIDING
천둥번개와 ‘뚜구닥뚜구닥’ 말발굽 소리에 이어 줄줄이 등장한 디올의 룩은 그야말로 사치스러운 동시에 경쾌했다. 마치 귀족들의 사냥 놀이를 구경하는 듯한 장면들. 화려한 러플 장식의 시폰 드레스 밑에는 가죽 부츠가, 그 위에는 커다란 판초 형식의 코트가 더해졌다. 체크무늬의 조드퍼스 (jodhpurs: 승마바지)에 체크무늬의 바 재킷이 더해진 룩도 흥미로웠다. 안토니오 마라스 쇼에도 역시 승마바지가 연상되는 팬츠에 가죽 부츠를 덧신 그 위에 빅 사이즈 베스트를 입은 룩이 등장했고, 셀린에는 이보다 훨씬 정제된 승마복(에서 영감을 받은 듯한 룩)이 나왔다. 얇게 비치는 블라우스와 가는 벨트, 짧은 소매 등 여성스러운 요소가 살짝 더해진 이 룩들은 그 옛날, 초원을 누비며 껄껄 웃었을 귀족들의 풍요로운 사치를 담고 있다.

11 LONG&LEAN
디자이너들은 시대를 넘나들며 실험을 즐기기보다는 기존의 신뢰할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새로운 형태와 표현법에 주목했다. 시대를 관통해 아름다운 실루엣으로 대표할 수 있는 롱&린 실루엣도 그런 맥락과 일치하는 요소 중 하나. 허나 동양인에겐 절대적으로 불리한 롱&린 실루엣의 부활을 보고 우리는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르겠다. 가슴 아래에서 출발해 무릎을 스쳐 발등에 이르는 동안 큰 군더더기 없이 유연하게 흘러내리는 길고 가는 실루엣은 마크 제이콥스, 후세인살라얀, 랑방 등 많은 컬렉션을 통해 소개됐다. 랄프 로렌, 마이클 코어스 등의 컬렉션에서 제시한 맥시 스커트에 긴 길이의 아우터와 매치한 프로포션 플레이를 보니, 우리에게도 희망이 있다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12 SEASONLESS LIGHTNESS
2010 F/W 런웨이를 바라보다 보면 문득 ‘이 쇼는 S/S 시즌일까,  F/W 시즌일까?’라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그도 그럴 것이 S/S 시즌의 전유물이라 여겨지던 시스루와 레이스 소재의 드레스들이 당당히 슈퍼 디자이너들의 쇼의 한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 스텔라 맥카트니와 지암바티스타 발리, 로다테 등이 과감한 도전에 시도한 대표적인 컬렉션. 그러나 생각해보면 F/W 시즌이라 해서 꼭 두터운 소재만 보여주고, 입어야 한다는 룰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닐뿐더러 S/S 시즌에도 땀띠날 가죽 소재와 퍼가 버젓이 등장하지 않던가! 패션계에서 시즌이 허물어진 건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니 말이다. 게다가 하늘하늘한 피스들을 로베르토 카발리 쇼처럼 풍성한 퍼 코트나 두터운 니트와 믹스매치하면 더없이 멋스러운 룩이 완성될 테니, 언제든  활용 가능한 하늘하늘한 피스들에 대한 관심을 365일 내내 늦추지 마시라.



* 자세한 내용은 엘르 본지 4월호를 참고하세요!


Keyword

Credit

    editor 최순영, 채신선, 김선민, 김자혜, 김영글, 이경은
    IMAXTREE.COM(컬렉션), GETTYIMAGEs(자료)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